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황정숙(Hwang, Jung-soo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07 창의력교육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유아 창의성 교육과 관련된 논문의 연도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 창의성 교육 분야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연구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분야의 전문 학술지 5종을 대상으로 1970∼2006년까지 유아 창의성 교육에 관련된 논문 총 104편을 추출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 창의성 교육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내용 분류기준 및 연구방법별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연도별동향과 창의성 본질ㆍ개념ㆍ이론, 창의성 발달, 창의성교육방법, 교사,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창의성 측정과 평가, 기타 7개의 기본범주의 하위범주를 나누고 연구내용별 분류기준 및 연구대상, 연구유형, 연구자료 수집방법의 연구방법별 분류기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연구결과 1980년대 3편, 1990∼1994년까지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1995년 이후로 점차 증가 하여 2001년 이후부터 그 증가폭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연구내용에서는 ‘창의성 교육방법’, 교사, ‘창의성 발달’,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창의성 측정과 평가’, 창의성의 본질ㆍ개념ㆍ이론에 관한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에서는 인적 대상에 편중되어 있었고, 만 5세가 가장 많았으며, 양적 접근방법의 실험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중 가장 빈도가 높은 검사법의 창의성 측정도구로는 TTCT검사와 유아종합창의성검사(K-CCTYC), 문미옥의 교사역할평정척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varied and balanced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field of child creativity education with analysis of research trend by year, by content, and by method of theses related with child creativity education. For this, from 5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early child education, total 104 theses were chosen from 1970-2006 issues and were analysed. Accordingly, in this study,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 were suggested to analyse the trend of child creativity education. Yearly trend and essence, concept, theory, development, education method, teacher, influencing factors, and measurement & evaluation of creativity including 7 subordinate categories were classif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object, type, and materials collection method were classification standard according to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in the research showed that in 1980s there were 3 theses, 1990-1994 there were none, since 1995 the number gradually increased, and from 2001 there was rapid increase. In research content, there was a sequence of ‘creativity education method’ teacher, ‘creativity development’,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creativity measurement and evaluation’, creativity essence concept theory. In research method, human objects were overemphasized, children aged 5 were most numerous, and experimental researches of quantitative approach were most numerous. Most frequently used creativity measurement instrument of most frequent test methods were TTCT, K-TTCYC and Moon Mi-ok's teacher role evaluation standard.

      • KCI등재

        유아의 놀이유형, 성, 연령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황정숙(Jung Sook Hw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만 2~5세 유아를 둔 부모 66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유아의 놀이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아버지와 어머니, 유아의 성별·연령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의 놀이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놀이참여의 중요성과 놀이유형별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구성놀이, 교수놀이, 게임, 역할놀이, 기능놀이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지만, 신체놀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은 구성놀이, 교수놀이, 역할놀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신체놀이, 게임, 기능놀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버지는 유아의 역할놀이, 구성놀이, 교수놀이, 게임, 신체놀이 순으로 적극 참여하도록 돕고, 어머니는 유아의 구성놀이, 역할놀이, 기능놀이의 순으로 적극 참여하도록 돕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uses a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level of 667 parents in their children’s play. The analysis takes into consideration parents’ gender, children’s gender, and children’s age. The objective is to shed light on the roles of parent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in children’s play by the different types of play. The study produc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participation levels of father and mother were similar in physical play but differed significantly i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aly, game play, pretend play, and functional play. Second, the parents’ participation level in children’s pla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the children’s gender. Third,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 parents’ participation level, while similar in physical play, game play, and functional play, differed significantly in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lay, and the pretend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what are needed ar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encourage fathers take mor of a part in pretend play,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lay, game play, and physical play (by order of importance), and that encourage mothers to take more of a part in constructive play, pretend play, and functional pla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정숙(Jeong-Sook Choe),전혜경(Hye-Kyung Chun),대용(Dae-Yong Hwang),남희정(Hee-Jung Na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의 주부 5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안전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65.4%, 불안을 느끼지 않는 사람이 34.6%로 식품안전성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의 비율이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나 초등학생의 자녀여부, 학력, 채소류 구입장소, 브랜드, 보존료나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 원재료의 원산지 등이었다. 불안요인 중 잔류농약은 대상자의 96.0%가, 보존료나 착색료 등 식품 첨가물 95.7%, 환경호르몬 93.0%, 식중독균 등 유해미생물 91.7%, 유전자변형식품은 90.2%가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로는 잔류농약이나 식품첨가물보다 미생물의 발생으로 인한 식품오염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식중독의 경우 더욱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이러한 사실을 일반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불안을 느끼는 식품으로, 도시락은 대상자의 93.3%가, 수입식품은 92.7%, 패스트푸드 89.9%, 햄과 소시지 등 식육가공식품 88.7%, 외식(패스트푸드 이외의 식품) 85.6%, 통조림과 냉동식품 등 가공식품 83.5%, 컵라면 등 인스턴트식품 82.0%, 쌀 47.4%, 식용유 53.8%, 우유 및 유제품은 56.6%가 불안하다고 느꼈다. 식품의 제조(재배) 및 원료(원산지)를 제시해주는 식품표시에 대하여 신뢰하지 못하고 불안을 느끼는 대상자가 많으므로(75.2%) 표시제도와 인증제도의 적절한 운용을 통해 식품에 관련한 충분한 정보가 소비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신선식품(농축산물) 구입시 가장 우려되며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사항은 ‘수입산인지 국내산인지’이었으며 ‘유통기한’, ‘무농약 및 유기재배 여부’, ‘만질 때 혹은 외관상으로 느껴지는 신선함’ 등이 그 다음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 구입시에는 ‘보존료 및 착색료 등의 식품첨가물’(93.6%), ‘유통기한’(92.4%), ‘원재료가 무농약ㆍ유기재배인지’(88.8%)에 대하여 염려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생산에서 소비단계까지 개선사항으로 ‘비료, 농약 살포, 수확시 관리 등 생산단계’(59.6%) 및 ‘물, 토양, 대기 등 자연환경’(43.6%)의 개선이 중요하다는 견해가 많았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식품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식품위생과 안전성, 식품표시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농장단계에서 오염원을 줄이는 방안이 최종생산물의 검사에 기반을 둔 식품안전정책보다도 안전성 확보에 훨씬 유효하다는 사고방식이 보편화되고 있으므로 농산물 생산단계에 우수농산물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를 정착시키고, 나아가 사전예방 원칙을 적용한 HACCP 시스템을 도입하여 식품(특히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하겠다. 또 food chain 전반에 관한 이력정보의 부족과 정보의 신뢰성이 문제가 되므로 생산단계부터 가공단계, 유통단계, 그리고 판매단계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소비자가 역으로 거슬러 올라가 확인할 수 있는 ‘이력정보체계(traceability system)’를 활성화하여야 하겠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 in 500 housewives from all over Korea.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y skilled interviewers. The results showed that 34.6% of the respondents felt secure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food safety, and 65.4% were concerned about food safe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brands, food additives (such as food preservatives and artificial color), and imported foodstuffs indicated the current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Other related factors indicating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were education level and care for children’s health. The respondents who cared about food safety expressed a high degree of concern on processed foodstuffs such as commercial boxed lunch (93.3%), imported foods (92.7%), fastfoods (89.9%), processed meat products (88.7%), dining out (85.6%), cannery and frozen foods (83.5%), and instant foods (82.0%). The lowest degree of concern was on rice. All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residues of chemical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and food additives, and endocrine disrupters were the most potential food risk factors, followed by food-borne pathogens, and GMO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scientific judgment. Therefore, more education and information were needed for consumers’ awareness of facts and myths about food safe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ut lower trust in food products information such as food labels, cultivation methods (organic or not), quality labels, and the place of origin. Nevertheless,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overcome alien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nowing of the origin or the producers of food. They identified that people who need to take extreme precautions on food contamination were the producers, government officials, food companies, consumers, the consumer’s association, and marketers,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They also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stage of agri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tep for improving the level of food safet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safety systems in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s follows: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and Traceability System (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Preparation of the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the Zppspores of Allomyces macrogynus

        최소영,황정숙,김정섭,박경희,조정원,윤현주,Choi, So-Young,Hwang, Jung-Sook,Kim, Jung-Seoup,Park, Kyung-Hee,Cho, Chung-Won,Youn, Hyun-Joo 한국생명과학회 1996 생명과학회지 Vol.6 No.4

        Allomyces macrogynus의 유주자에 대한 단일클론항에를 만들었다. 고정된 유주자를 주사하거나 유주자 단백질 용액을 주사함으로서 생쥐를 면역화 하였으며, 하이브리도마 세포들은 효소면역흡착법을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약 30개의 하이브리도마 클론이 유주자에 대한 항체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중 일부는 단일세포클론으로 분리되었다. 이들이 만들어내는 항체는 정제되어, 간법면역형광법에 의하여 유주자의 표면에 반응하는 항체로 확인되었다. 또한, 하이브리도마 배양상등액을 이용하여 유주자의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클론을 조사하여 보았다. 조사한 배양5상등액중 두가지의 하이브리도마에서 얻은 배양상등액이 germ tube 의 성정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the zoospores of Allomyces macrogynus were prepared using standard hybridoma technique. Mice were immunized either with the fixed zoospores or the zoospore proteins, and the production of the antibodies from the resulting hybridomas were screen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Thirty hybridomas were initially identified ans six hybridomas were purified to the single cell clones. Culture supernatants from the hybridomas were tested for the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germ tubes, and some of the hybridoma culture supernatants studied showed growth stimulatory effects.

      • KCI등재

        Penicillium citrinum KACC43900에 의한 갯메꽃과 갯쇠보리의 생장촉진활성

        Young-Hyun You(유영현),Jeong-Sook Hwang(황정숙),Hyeokjun Yoon(윤혁준),Sumera Afzal Khan(수메라),Soon-Ok Rim(임순옥),Jeong-Jin Bae(배정진),Yeon-Sik Choo(추연식),In-Jung Lee(이인중),Won-Sik Kong(공원식),Byung-Moo Lee(이병무),Jong-Gu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9

        해안사구식물은 다양한 미생물과 외생균근과 내생균근의 도움으로 효과적으로 생존할 수 있다. Penicillium citrinum KACC43900를 이용하여, 해안사구식물인 갯메꽃과 갯쇠보리에 대해 생장 촉진효과를 조사하였으며, 지상부길이, 식물체길이 그리고 식물체건량을 분석하였다. P. citrinum KACC43900 배양액을 20일간 처리 시, 지상부 길이는 16.30 ㎝와 10.56 ㎝이었으며, 대조구는 8.60 ㎝과 8.12 ㎝인 것을 확인 하였다. 마찬가지로 P. citrinum KACC43900 배양액을 20일간 처리 시, 갯메꽃과 갯쇠보리의 식물체길이는 24.06 ㎝와 17.06 ㎝인 것을 확인 하였고, 대조구는 14.90 ㎝과 14.80 ㎝인 것을 확인 하였다. 갯메꽃의 식물체건량은 배양여과액 처리의 경우, 0.163g이었고 대조구가 0.123 g이었다. 그리고 갯쇠보리의 식물체건량은 배양여과액 처리의 경우, 0.032 g이었으며 대조구가 0.027 g이었다. 갯메꽃과 갯쇠보리의 지상부길이는 P. citrinum KACC43900의 배양여과액에 의해 89.54%와 29.60% 촉진되었다. Coastal sand-dune plants can survive very effectively with the help of various microbes, especially ecto- and endomycorrihizae. Penicillium citrinum KACC43900 was screened according to growth promoting activity on sand-dune plants Calystegia soldanella and Ischaemum anthephoroides. In this study, coastal sand-dune plants were treated with a fungal culture filtrate of endophytic fungus P. citrinum KACC43900 to confirm the promotion of plant growth.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were used as representative coastal sand-dune plants, and their shoot length, plant length, and dry weight were analyzed. The shoot lengths of control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were 8.60 ㎝ and 8.12 ㎝, and those of samples treated with fungal culture filtrates of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for 20 days were 16.30 ㎝ and 10.56 ㎝, respectively. The plant lengths of control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were 14.90 ㎝ and 14.80 cm, and those of samples treated with fungal culture filtrates of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for 20 days were 24.06 ㎝ and 17.06 ㎝, respectively. The dry weight of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treated with fungal culture filtrates of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for 20 days were 0.163 g and 0.032 g,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growth of shoots in C. soldanella and I. anthephoroides was promoted, 89.54% and 29.60%, by culture filtrate of P. citrinum KACC43900.

      • KCI등재

        주거 안전성을 신장하는 사회자본 형성의 기제로서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

        김경년(Kim, Kyun-Nyun),강경애(Kang, Kyung Ae),황정숙(Hwang, Jung So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8 평생교육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이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매개로 주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기반 형식의 평생교육 참여는 주민 간 의사소통의 준비성에 대한 공개적인 의례의 성격을 띠고 있어 주민 간 이에 대한 공유지식 형성이 사회자본 구축을 촉진할 수 있다. 지역주민들은 평생교육 참여를 통해 열린 대화를 조건화해주는 공유지식을 창출한다. 공유지식의 형성은 사회자본 구축을 촉진하고 주민 간 대화와 의사소통의 길을 열어주는 조정자 역할을 한다. 주민자치센터는 주민 접근성이 용이한 장점을 활용하여 문화․여가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주민 간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이 주민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근린주거의 주민 학습장이 주민 간 의사소통을 통한 사회자본을 향상시키며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참여가 주민의 문화자본을 유의미하게 신장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역사회 기반 평생교육으로 신장된 사회자본은 주민의 주거 안전성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나 문화자본의 영향을 소멸시켰다. 지역기반 평생교육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참여가 주민의 문화적 소양의 제고에 기여하지만 주민 간 상호작용을 통한 주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자본의 영향과 공유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이 실행되는 형식 즉 지역성, 주민 간 상호작용, 소속감과 같은 평생교육의 지역사회 기반성이 가지는 중요성을 확인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on local safety through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in a community-based format is a public ceremony about the readiness of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s. Thus, the formation of shared knowledge among residents can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Local residents create shared knowledge that conditions open dialogue through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The formation of shared knowledge among residents can act as a mediator to open the way for dialogue and communication. The residents self-governing center takes advantage of easy accessibility to residents and establishes cultural and recreational programs, allowing resid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creating relationships with their neighbors along with conditions for interact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implemented by the local community such as the Citizens Autonomy Center significantly increases the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f the residents through improved communication with neighbors. At the same time, participation in cultural arts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residents autonomy center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ultural capital of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cial capital expanded by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significantly improved residential security, while cultural capital had no impact on residential security. Unlike cultural capital, which is embodied in individual residents, social capital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nd the improvement of social capital affects the safety of residents.

      • KCI등재후보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에 따른 체중 변화; Valproic Acid와 Topiramate의 비교

        김수진(Su-Jin Kim),박혜순(Hye-Soon Park),황정숙(Jung-Sook Hwang),정영진(Young-Jin Jung),고태성(Tae-Sung Ko)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 Valproic acid를 비롯한 몇몇 항경련제가 체중 증가를 유발하여 순응도 저하와 비만의 위험이 문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새로 개발된 항경련제 중 topiramate는 오히려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효과가 소아 간질 환자에서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간질환자에서 valproic acid와 topiramate의 사용에 따른 체중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간질의 진단을 받고 valproic acid나 topiramate를 복용하고 있는 소아환자 124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치료 전후의 체중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 평균 치료 기간 10개월 동안 valproic acid 복용군에서는 3.7 kg의 체중 증가를 보인 반면 topiramate를 복용한 군에서는 0.3 kg의 체중 증가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 소아 간질 환자에서 topiramate는 체중 증가를 유발하지 않았으며 비만한 간질 환자에서 선택적인 치료약제로 고려해 볼 수 있겠다. Purpose : The use of antiepileptic drugs for the seizure control has been a remarkable breakthrough. However, excessive body weight gain is a common side effect of some antiepileptic drugs. Topiramate is a novel and highly effective antiepileptic drug that has been associated with weight loss in some patien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change of body weight in children treated with valproic acid and topiramate for epilepsy. Methods : Children who took medications for epilepsy with either valproic acid or topiramate were recruited. We collected the data of the initial weight and the follow-up weight on average, 10 months documented in the medical records. We analyzed the change of body weight due to antiepileptic drugs in the study subjects.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weight gains after treatment with valproic acid were observed(mean±SD, 3.7±3.2 kg). However, there have nearly no change of body weight after the treatment with topiramate(mean±SD, -0.9±2.3 k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weight changes between two groups of two different antiepileptic drug.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opiramate caused little weight gain in children with epilepsy. Antiepileptic drugs should be selected by individual patient's characteristics.

      • KCI등재

        관상동맥 조영술 후 체위변경이 불편감과 출혈에 미치는 효과

        김필자,정정인,정숙,나향,김가연,김경선,이근화,이은숙,홍순복,정화,김선경,한송이,김희순 병원간호사회 2009 임상간호연구 Vol.1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on change on discomfort and bleeding in patients undergone coronary angiography with a vascular device and required bed-rest. Method: This study utiliz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18 inpatients after coronary angiography and stayed in general ward at Y hospital in Seoul, from June 5 to August 12, 2008. After coronary angiography, position change was perform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sisted of 59 patients. They stayed in supine position just after angiography and then head-up position with 15 degrees was applied 1 hour later. After that, they could change the position alternatively into lateral position with leg down and supine position. The control group was positioned keeping the affected leg immobile with supine position for 4 hour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more comfortable than control group after position chang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des of bleeding or hematoma at puncture sit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position change in patients undergone angiography could be applied without any harm such as bleeding or hematoma, but effective in reducing back pain and subjective patients' discomf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