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수명주기별 이익조정과 미래경영성과

        황인옥(Hwang In-ok),김정교(Kim Jeong-kyo) 한국국제회계학회 2017 국제회계연구 Vol.0 No.74

        본 연구에서는 기업을 수명주기단계를 성장기와 성숙기로 구분하고 이익조정을 발생액 이익관리(AEM)와 실물이익조정(REM)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수명주기단계별로 이익조정에 차이가 있을 것 이라고 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발생액 이익관리(AEM)와 실물이익조정(REM)에 의한 이익조정이 차기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수명주기단계별로 조사하였다. 첫째, 실증분석을 위하여 성장기단계에서는 실물이익관리(REM)를 통한 이익조정을 적게 하는 반면, 발생액 이익관리(AEM)를 통하여서는 이익조정을 많이 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을 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차기경영성과를 분석하기 위하여서는 성장기단계에 있는 기업을 실물이익조정(REM)을 통하여 이익관리를 실시한 의심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Non-REM)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발생액 이익관리(AEM)를 통한 이익관리를 실시한 의심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Non-AEM)으로 분석도하였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에 있는 기업들은 성숙기에 있는 기업들에 비해 이익조정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여 분석 결과, 성장기에서는 실물이익관리(REM)를 통한 이익조정은 적게 하는 것으로 즉, 유의적인 음(-)의 회귀계수를 나타났다. 둘째, 음(-)의 이익보고회피표본과 음(-)의 이익변화표본을 의심기업으로 보고, 또한 이익조정 의심기업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성장기에 있는 기업들 중에서 전체를 5분위수로 구분하여 상위 20%에 속하는 기업들의 이익동기를 분석하여 이익조정의심구간(0과 0.01사이)과 이익측정치와 이익변화측 정치의 임계치인 0을 달성하려는 실물이익관리(REM)와 발생액 이익관리(AEM) 의심기업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할 때, 성장기에서는 실물이익관리(REM) 의심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미래경영성과가 낮을 것이라 예측하였는데, 결과적으로 유의적인 음(-)으로 나타나 차기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기경영성과가 음(-)으로 나타난 것은 경영자가 단기간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도가 기회주의적인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는 연구결과와 같다. 또한 발생액 이익관리(AEM) 의심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미래경영성과가 낮을 것이라고 예측하였는데, 결과적으로는 비유의적인 음(-)으로 나타나 발생액을 통한 이익관리에서는 차기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s the extent to which firms exercise earnings management(EM) conditioning on their life cycles and examines their levels of operating performance subsequent to EM. This study takes into account two kinds of earnings management, accrual earnings management(AEM) and real earnings management(REM). This study employs the method developed by Anthony and Ramesh(1992) for life-cycle classification. And, to main consistency with previous studies, EM-suspected firms are defined as the intersection of firms with abnormal accruals, abnormal levels of operating cash flow, production costs, or discretionary expenses and firms with asset-scaled earnings or asset-scaled earnings changes meeting the zero threshold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rms in the growth stage exhibit less evidence of REM(and AEM) than firms in other stages,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REM(and AEM) may result in severe economic consequences and consistent with the earning smoothing. Second, with respect to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EM, firms suspected in REM(and AEM) generally perform worse than those that do not, consistent with the opportunistic intention of managers in conducting EM, particularly for firms in the growth stage. Our results indicate that EM-suspected firms in the growth stage have lower Adj-ROA(Adj-CFO) than non-REM firms in any of the subsequent two years. Furthermore,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how that firms in the growth stage that engage in REM have a low Adj-ROA(Adj-CFO) in the subsequent two years than firms in other stages. The results present interesting topics for future research. Existing studies on EM have focused on upward earnings manipulation. Investigating downward earnings manipulation may reveal another aspect of the subsequent economic consequences of REM(and AEM).

      • KCI등재후보

        약물중독자의 회복 및 사회복귀에 관한 사례연구

        한부식(Han Boo-Sik),황인옥(Hwang In-O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7년간 부산지역 NA모임의 스텝으로 봉사하면서 만난 약물중독자들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약물중독자들의 회복과 사회복귀를 도모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의도적 표집방법에 의하여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총 7명을 선정하였고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바닥을 치는 경험과 약물을 남용하면서 쌓인 많은 문제들로 인하여 약물의 남용을 후회하지만 스스로 단약 할 수 없었고, 결국 타인의 도움으로 병원, 치료공동체에 참여 하면서 약물 없는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사회적 재활을 위하여 무절제하고 혼돈된 생활에서 벗어난 신앙생활, 규칙적인 생활, 새로운 취미활동, 대인관계와 가족관계의 회복을 위한 노력, 약물중독에 대한 공부 등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사회적 재활을 통하여 취업에 성공한 연구대상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게 되었지만,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재활의 부재로 인하여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정시설 내에서의 중독에 대한 교육과 NA모임을 통하여 출소 후 치료재활 현장으로 유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회복된 약물중독자들에 대한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하다. 셋째, 약물중독자 가족이 약물중독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회복된 약물중독자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다른 약물중독자들의 치료재활 교육에 투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recovery and rehabilitation for drug addicts through a case study of drug addicts who are participating in NA meetings that the researcher met in Busan NA meetings while volunteering for 7 years. A total of 7 study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applied for this study.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subjects experience the very bottom of their lives and face various difficulties and pains, they start to feel regret abusing drugs, but they were not able to stop abusing drugs by themselves and support and help from other people were required to live without using drugs as they participated in therapy groups. Second, The subjects were able to live and feel pleasure in daily life through social activities such as religious life, regular life, new hobbies, efforts to recover interpersonal and family relations, and study of drug addiction for social rehabilitation. Third, although they had been able to feel pleasure in daily life by social rehabilitation, they were having hard times returning to society due to lack of job rehabilitation for it.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a plan is required to lead drug addicts to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fter they are released from a jail by making them understand drug addiction through NA meetings and by education about treatment in a correctional facility. Second,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recovered drug addicts is required. Third, a training program to help drug addicts families understand drug addiction is necessary. Fourth, there is a need to invest in therapeutic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other drug addicts through education about recovered drug addicts.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이 노인에 대한 태도와 돌봄이행에 미치는 영향

        김지영(Ji-Young KIM),황인옥(In-Ok HW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3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이 노인에 대한 태도와 돌봄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의 G시와 T시에 소재한 요양시설 및 재가노인복지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 27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요양보호사의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은 노인에 대한 태도와 돌봄이행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과 하위요인인 간호에 저항과 정신증상은 노인에 대한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과 하위요인인 신경증상이 돌봄이행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aregivers care burden for dementia problematic behaviors o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care fulfillment. To that end, 274 caregivers working at nursing homes and in-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G and T cities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o acquire the relevant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aregivers care burden for dementia problematic behaviors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care fulfillment. Second, caregivers care burden for dementia problematic behaviors and resistive to care and psychotic features, which are sub-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ird, caregivers care burden for dementia problematic behaviors and neurotic features, which are sub-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care fulfillment. Therefo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周易』이해를 통해 본 花潭 徐敬德의 處世觀

        황인옥(Hwang, In-Ok)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8 No.2

        花潭徐敬德은 16세기의 處士型학자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자연에서 사색하며 관찰을 즐겼다. 그는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진리에 대해 주체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는 정주학뿐만 아니라 북송의 소옹과 장재의 철학도 깊이 연구하여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그 결과 氣哲學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조선 성리학사에서 理氣論의 논의를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산림에 은거하며 현실에 좌우되지 않고 好學하는 정신은 진리를 탐구하는 전통을 이루는데 한몫을 담당하였다. 花潭은 『周易』을 중시하였다. 그가 復卦에서 復齋라는 호를 취한 것만 보아도 이러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저술에서도 『周易』과 관련된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는 『周易』을 상수역학적 입장으로도 해석하였지만, 도덕적 수양과 실천, 그리고 정치적 이상을 중시하는 의리학적인 시각으로도 이해하였다. 花潭은 『周易』에서도 특히 復卦와 艮卦를 중요시하였다. 그는 天道의 원리를 復卦와 연결시켜 「冬至吟」과 「復其見天地之心說」을 통해 설명하였다. 모든 만물은 시작도 끝도 없는 영원한 움직임을 끊임없이 해나가고 있다. 이것은 ‘生生不息’하는 마음이며, 천지의 마음이다. 화담은 사람이 復의 이치를 알면 道는 멀지 않다고 여겨 復의 이치를 인간의 행위나 처세에 중요한 지침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人道로서 艮卦의 ‘止’를 강조한다. 화담은 艮卦를 도덕적 수양과 실천의 원리로 삼았다. 그의 저술 중「送沈敎授序」에는 이러한 마음이 잘 나타나있다. 그침의 의미는 인간이나 자연현상에서 볼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특성이다. 그칠만한 때에 그치고 떠나야 할 때 떠나야 하는데, 이때 ‘止’는 ‘時中’을 의미한다. 사람은 학문을 통해 ‘止’의 이치를 깨달아야 하고 그것이 학문을 하는 목적이라고 花潭은 말한다. 花潭은 人道와 天道를 ‘時中之道’로 연결하고, 우주가 늘 일정한 법칙을 계속하는 復의 이치, 즉 天道를 깨닫고‘ 止’의 이치대로 人道를 실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는 이러한 이치를 그의 처세에서 중요하게 여기고 실천하였다. 그는 자신이 살던 상황에서 출사보다는 은거가 ‘時中’이라고 판단하고, ‘止’의 이치대로 그침의 삶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여러 번의 천거에도 출사하여 벼슬에 오르기를 거부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출사하여 세상의 영욕에 휩쓸리기 보다는 은거하여 우주의 법칙에 순응하는 그침의 철학을 선택한 것이다. 그가 이러한 삶을 선택한 데에는 『周易』이 적지 않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그는 『周易』에서 얻은 조화와 절제로서 자족하며 안빈낙도하는 인생관과 처세관으로 고고하고 청백한 삶을 살았다. Hwadam Seo Gyeong-Deok i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falls into the type of not serving the power. Since his childhood, he had enjoyed contemplating and observing in nature. Based on profound confidence in human nature, he tried to independently explore truth and be self-satisfied. Not only was he interested in study of Cheng Zhu, the then mainstream but he also studied deep into philosophies of Shao Yong and Zhang Zai in Northern Song to construct his own world of study. As a result, he established the theory on Qi philosophy and offered an opportunity to deepen discussion on Liqi theory in history of Joseon’s Neo-Confucianism. His spirit of enjoying study in forest played a role to form a tradition of exploring truth without being swayed by reality. Hwadam put emphasis on Zhouyi, which is well demonstrated from the fact that he took his pen name Bokjae (復齋) from Bokgwae (復卦) and it is also easy to see Zhouyi-related contents on his writings. Hwadam interpreted Zhouyi in an emblemo-numerology perspective but he understood it in a viewpoint of righteousness philosophy that emphasized moral cultivation, practice and political ideals as well. Hwadam regarded Bokgwae and Gangwae (艮卦) as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Zhouyi. He connected the principle in the way of Heaven with Bokgwae and explained that reason in his writings of Dongjieum (冬至吟) and Bokgigyeoncheonjisimseol (復其見天地之心說). All things are constantly making movements without either start or end. This is mind of ‘constant growth and development (生生不息)’ and that of heaven and earth. Reason in the world we live in is of constant repetition of Yin and Yang and the logic of Bok (復, repetition) continues. If one knows the reason of Bok, he will soon become enlightened but Hwadam thought that this reason of Bok also was an important guide in human action or art of living. In addition, he stressed ‘Ji (止, stop)’ of Gangwae as humanity. Hwadam regarded Gangwae as the principle of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His idea is well presented in his writing of Songsimgyosuseo. The meaning of stop is the most universal feature observed from human or natural phenomena. One should stop and leave when he should. ‘Ji’ here means ‘timeliness’, which means that one should realize the reason of ‘Ji’ through study and it is the very purpose of one’s studying. Hwadam emphasizes that humanity and the way of Heaven should be connected with ‘truth of timeliness (時中之道)’; that one should realize the logic of Bok that the universe always follows certain laws, the way of Heaven and; humanity should be practiced as the reason of ‘Ji.’ He regarded this logic as highly important in his art of living and practiced it. In his own situations, he thought that a retired life was the ‘timeliness’ rather than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and selected the life of stop as in the logic of ‘Ji.’ Despite of many times of recommendations, therefore, he rejected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or entering the government but he devoted himself to study in a life in seclusion. He lived a retired life to practice the stop to adapt to laws of the universe rather than being swept away by world’s glory and shame caused by going into government service. Zhouyi is regarded having much impact on why he chose this life. He was self-sufficient with balance and moderation he learned from Zhouyi and led a detached and upright life with view of life and outlook on art of living by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 KCI등재

        훈민정음에 반영된 의리학적 역학사상

        황인옥 ( Hwang In-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40 No.-

        우리가 문자로 인식하는 훈민정음은 문자이면서도 그 속에는 우주만물의 보편적 이치가 담겨 있는 철학이다. 훈민정음은 문자와 소리가 조화를 이루도록 만들어졌으며 천지자연의 이치를 소리에 담아 풀어낸 유일한 문자이다. 훈민정음은 음성학적인 체계와 함께 역학 원리와 동양의 철학적 사유가 함축되어 있는 수준 높은 문자라고 할 수 있다. 훈민정음은 태극, 음양오행, 삼재(三才), 등 역(易)의 기본 사상들이 성음과 함께 초성, 중성, 종성 그리고 이들을 합자하는 제자의 기본 원리가 된다. 세종은 역학에 담긴 철학과성리학이론을 훈민정음에 적용하였다. 훈민정음에는 창제 당시의 시대적 요구와 창제자의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는데 이것은 훈민정음만이 가지는 특별한 점이다. 창제자의 가치관은 중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종은 천지간에 사람의 역할을 중요하게 여겨 사람을 천지에 참여해서 만물을 이롭게 하는 적극적인 존재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훈민정음 성음의 구성단계에 인간에게 요구되는 도덕실천과 의리학적 측면을 부여하였다. 그는 백성들이 천지와 조화를 이루며 인간에게 주어진 오상(五常)을 바탕으로 천도(天道)와 인도(人道)를 실현해가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인간이 되기를 바랐던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실천적 역할을 중시하는 『주역』의 의리학적 관점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세종은 백성들이 자기의 뜻을 전하지 못함을 불쌍히 여기고 백성을 도울 방법을 생각하였고 그 결과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세상의 모든 소리와 이치를 담아낼 수 있는 쉬운 글을 탄생시켰다. 이것은 학문을 존중하고 백성을 사랑했던 애민의식의 결과물이다. 훈민정음 창제보다 더 위대한 점은 훈민정음의 창제목적이 문자사용에서 배제된 백성을 위한 애민의식에서 출발하였다는 점이다. 세종은 훈민정음으로 백성을 교화하고 국가를 성인(聖人)의 도가 실현되는 이상국가로 만들고 싶었던 것이다. 훈민정음은 도덕적 실천과정치적 이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주역』의 의리학적 관점을 음운학에 적용한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Hunminjeongeum that we recognize as characters is literally a character system and also philosophy that in which there is universal reason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Hunminjeongeum was created in harmony with characters and sounds and it is the only character with reason in Mother Nature on its sound. It can be said that Hunminjeongeum is a sophisticated character on which a phonological system, moral-principle fundamentals and thoughts and Oriental philosophical reasoning are implied. Basic principles in creating Hunminjeongeum characters lie in fundamental theories for Zhouyi study such as Taiji theory,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hree-principle theory and Sangsu theory for vocal sounds and combination of initial consonant, syllable nucleus and final consonant. King Sejong applied philosophies in Zhouyi Study and Neo-Confucian theories to Hunminjeongeum. In Hunminjeongeum, the needs of the times when it was created and the creator`s values are reflected, which makes Hunminjeongeum distinctive from other character systems. The creator`s values are shown as emphasis on the role of syllable nucleus. It means the creator highly valued the role of human being in the whole universe and recognized human as a participant in heaven and earth and as active existence that benefits all creation. King Sejong granted every aspect of practicing morality required from human being upon organizing vocal sounds of Hunminjeongeum. He wanted people to be active and independent human beings that fulfill the way of heaven and human morality in harmony with heaven and earth based on five constant virtues given upon human. It can be regarded as emphasis on righteousness philosophy perspective of Zhouyi that considers human`s practical role as important. Feeling pity that people could not express themselves, King Sejong came up with an idea to help people and as a result, Hunminjeongeum was invented that could embrace every sound and reason in the world by combining simple and easy consonants and vowels. It is the product of his love for the people to encourage learning and improve human right and what is greater than Hunminjeongeum creation is that it was invented from the King Sejong`s love of the people who were excluded from using characters. King Sejong wanted to edify people and make Joseon an ideal state where cultural order was well maintained with Hunminjeongeum. Hunminjeongeu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applies moral-principle theory of Zhouyi to phonology in order to realize righteousness practice and political ideal.

      • KCI등재

        서계(西溪)의 『중용』 분장절(分章節)체계에 관한 연구

        황인옥 ( Hwang In-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3 No.-

        본 연구는 서계의 『중용』 20장 분장(分章)체계를 바탕으로 『중용』 대지(大旨)의 분절(分節)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의 『중용』 분장절체계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주요텍스트는 『사변록 중용(思辨錄 中庸)』과 『중용장구』이다. 서계는 『중용』을 중용의 도를 설명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방법과 실현했을 때의 공효를 설명한 책으로 이해하고 20장으로 분장하였다. 본 연구는 서계가 『중용』을 5대절로 분절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사변록 중용(思辨錄 中庸)』의 장하주를 근거로 한것이다. 1대절은 1장(『장구』 1장)으로 『중용』 총론이며, 2대절은 2~4장(『장구』 2~11장)으로 중용의 뜻을 설명하였다. 3대절은 5~9장(『장구』 12~16장)으로 신독을 강조하여 실천의 중요성을 말하였고, 4대절은 10~12장(『장구』 17~20장)으로 여러 성인이 중용을 실천하여 중용의 덕이 지극함을 말하였다. 5대절은 13~19장(『장구』 21~32장)으로 중화위육의 공효를 설명한 부분이다. 서계의 『중용』 분장절체계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중용』의 편차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주자학과의 차별화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독창적인 체계이다. 또한 『중용』을 형이상학적 성리설로 해석하지 않고, 형이하학적 중용 실천론으로 해석하여 분장절체계에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맥락간의 의미의 연결을 중시하여 분장(分章)하고 장과 장 사이의 맥락을 중시하여 『중용』을 전면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서계는 『중용』의 분장과 분대절에 심혈을 기울였는데, 그의 분장절체계에 다음과 같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첫째, 『중용』 전체를 해체하여 일관된 논리로 재정리하고 문맥이 연결되는 일관성 있는 분장과 분절체계를 보여줌으로써, 『중용』을 공부하는 학자들에게 구체적인 『중용』학습법의 예시를 제공하였다. 둘째, 실천에 중점을 두는 주석으로 장을 구성하고 대절을 구분함으로써 『중용』을 형이상학적인 이론서가 아니라, 중용지도를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천서로 인식하게 하였다. 셋째, 주자학이 고무되어 있던 당시의 분위기에서 장을 새롭게 구성하고, 그에 맞는 주석을 가함으로써 한국 유학 사상사에 새로운 학문의 발전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how Seogye (西溪) divided (分節) the main ideas (大旨) of Zhongyong based on Seogye's 20-chapter Zhongyong division system, and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eogye's system to divide the chapters and sections of Zhongyong. The main texts are Sabyeonrok Zhongyong (『思辨錄中庸』) and Zhongyong Zhangju. Seogye understood Zhongyong as a book explaining the ways of moderation, how to realize it, and the benefits of practicing it. In this research, based on the chapter footnotes of Sabyeonrok Zhongyong, Seogye's Sabyeonrok Zhongyong was divided into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is Chapter 1 (Chapter 1 of Zhangju) and the introduction of Zhongyong, and the second section is from Chapter 2 to Chapter 4 (Chapter 2 to Chapter 11 of Zhangju) explaining the meaning of moderation. The third section is from Chapter 5 to Chapter 9 (Chapter 12 to Chapter 16 of Zhangju) emphasizing self-regulation and the importance of practice, and the fourth section is from Chapter 10 to Chapter 12 (Chapter 17 to Chapter 20 of Zhangju) talking about the fact that many saints had practiced moderation so the virtue of moderation became extreme. The fifth section is from Chapter 13 to Chapter 19 (Chapter 21 to Chapter 32 of Zhangju) explaining the benefits of ‘Junghwawiyuk (everything in harmony)’. Seogye's Zhongyong chapter division system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scholars. First, in the process of correcting the deviations of Zhongyong, its differentiation from Neo-Confucianism was clear so it can be said to have an original system. In addition, it interpreted Zhongyong not as metaphysical Neo-Confucianism but as a physical moderation practice theory, and reflected this feature in the chapter and section division system. Last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s of different contexts was regarded as important, and Zhongyong was restructured completely by dividing and connecting chapters. Seogye devoted himself to dividing the chapters and sections of Zhongyong, and the following meanings can be attached to his chapter division system. First, by dismantling the whole Zhongyong and then reorganizing it with coherent logic and showing a consistent chapter and section division system with connection to the contexts, he offered the scholars studying Zhongyong specific methods to study it. Second, by organizing footnotes focusing on practice and dividing sections, he helped recognize Zhongyong as a practical book to put the virtue of moderation into action in daily life rather than as a metaphysical and theoretical book. Third, he structured the chapters in a new way in the atmosphere of those times being inspired by Neo-Confucianism, added proper footnotes, and therefore opened new potential of academic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 KCI등재

        『독서기중용』의 원두(原頭)와 지근(至近)의 일원적 해석

        황인옥 ( Hwang In-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8 No.-

        이 글은 원두와 지근을 일원으로 보는 윤휴의 「독서기중용」 해석에 관한 연구이다. 윤휴가 말하는 ‘원두(原頭)’란 하늘의 근원성, 즉 천명이고, ‘지근(至近)’이란 하늘의 근원성을 자각하고 사천(事天)하고 외천(畏天)하여 위기(爲己)하는 군자의 모습이다. 따라서 원두는 천도가 되고, 지근은 인도가 된다. 윤휴의 해석에서 천명은 고원한 세계에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천명은 다만 원두처가 되는 것으로써, 이것은 인간이 중용의 도를 실현해야만 구체화 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해석에서는 원두와 지근이 하나로 연결되며, 지근만 설명하여도 그 속에는 항상 원두가 내포되어 있다. 원두란 만물과 현상의 근원으로 이것은 지근의 실천을 통해야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윤휴의 생각이다. 그가 원두와 지근을 일원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그의 『중용』 해석에서는 하늘·만물·인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는 하늘이란 애당초 사람을 위하고 사람은 하늘을 위하며, 나는 애당초 타인을 위하고 타인은 나를 위한다고 하였다. 하늘의 도는 둘이 아니므로 지근의 실천을 통하여 원두인 천명의 세계로 나아가는 것이 『중용』의 목표라고 하였다. 그의 해석에서는 인간의 실천성과 주체성이 강조된다. 천은 실천 주체자인 군자의 성정, 즉 심 속에 자리할 때 확인이 가능하다. 그에게 하늘이 중요한 까닭은 인간의 실천을 보편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존심양성 이후에 사천(事天)이 가능하다고 여겼으며, ‘천지위만물육(天地位萬物育)’ 또한 도덕실천으로 가능하다고 여겼다. 인간의 주체적 도덕 실천을 근본으로 삼지 않는다면 하늘은 인간과 별개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여긴 것이다. 그에게 있어서는 하늘인 원두보다 인간의 실천 문제인 지근이 훨씬 중요하다. 이러한 윤휴의 『중용』 해석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인륜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interpretation of Yunhyu’s Dokseogijungyong (讀書記中庸) that considered Wondu (原頭) and Jigeun (至近) from a monistic point of view. In his view, Wondu refers to the origin of Heaven, in other words, Heaven’s will, while Jigeun indicates the way of living of a noble man who understands the origin of Heaven and cultivates himself, serving and fearing Heaven. Therefore, Wondu becomes the way of Heaven while Jigeun becomes the way of man.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Yunhyu, Heaven’s will does not exist separately in a lofty world. Heaven’s will is only the place where Wondu is located, which can be materialized only when men realize the way of moderation. Therefore, in his explanation, Wondu and Jigeun are coupled into one, and even if one explains only Jigeun, Wondu is contained in it at all times. Yunhyu thought that Wondu could be accessed only through the practice of Jigeun as Wondu was the foundation of the change of all things. Since he interpreted 『Jungyong』 from a monistic view of Jigeun and Wondu, Heaven, all things and man were organically linked in h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He argued that Heaven was for man while man was for heaven from the start and that I existed for other people while other people exist for me from the beginning. Therefore, saying that the way of Heaven was not two but one, he considered, as the goal of 『Jungyong』, moving toward the world of Heaven’s will, which was Wondu, through the practice of Jigeun. Inaddition, the practicability and subjectivity of man were emphasized in his interpretation. Heaven could be identified only when it was placed in the middle of mind of noble man who practices. The reason why heaven was important to him was that it could universalize human practices. He thought that Sacheon (事天) could be accomplished only after cultivating the nature given by Heaven (存心養性) and that the state that the world was placed in its right place and all things were cultivated (天地位萬物育) could also be secured through practicing morality. In other words, he understood that heaven would be working separately from man unless the subjective moral practice of man was not taken as the foundation. For him, Jigeun, which was about the matter of human practice, seemed to be far more important than Wondu, which represented heaven. It can be said that Yunhyu’s interpretation of 『Jungyong』 was an attempt to find a way to practice morality in a voluntary and active manner.

      • KCI등재

        장유의 「중용장구중유의자삼(中庸章句中有疑者三)」에 대한 정제두의 견해

        황인옥 ( Hwang In-ok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4 儒學硏究 Vol.66 No.-

        This study is a study on how Jeong Je-du reflects and interprets the three questions raised by Jang Yu after reading 『Jungyongjang-gu』 in his 「Jongyong-seol」. Jang Yu raised questions about Zhu X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through the article ''Jungyongjanggujungyuuijasam(中庸章句中有疑者三)''. In Jeong Je-du's interpretation of 『JungYong』, this question of Jang Yu is inherited. To summarize it simply, it is as follows. First, Jang Yu raised questions regarding in the first chapter 'Sudojiwigyo(修道之謂敎)', 'develop(修)' is called distributed by saint(聖人) and presenting Etiquette, Music, Punishment, Politics(禮樂刑政), which was classified by saints, as a method of 'teaching (敎)'. In response to this, Jeong Je-du defined the subject of studying and practicing Tao as a human being and presented the goal of reaching the state of sainthood through awareness of the mind. Rather than being a passive human being who just follows what the saints say, it emphasizes active and subjective practice based on the human heart that contains the character of heaven. Therefore, 『JungYong』 becomes a book for studying and practicing Tao(修道之書), and everything presented in 『JungYong』 becomes a way to learn. Second, Jang Yu raised questions about Zhu Xi's application of Bi-eun(費隱) only to chapters 12 to 20. Regarding this, Jeong Je-du said that even though the word Bi-eun appears only in Chapter 12, in terms of meaning, the entire content is Bi-eun. Jeong Je-du interpreted 'bi(費)' as studying and practicing Tao(修道) and 'eun(隱)' as following one's nature(率性), and viewed the gist of the entire 『JungYong』 as follow one's nature and studying and practicing Tao. Therefor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Bi-eun is the entire 『JungYong』. Third, Jang Yu raised questions about the fact that Chapter 5 of 『Jungyongjanggu』 consists of one phrase. Jeong Je-du reorganized the 33-chapter system into 7 chapters and largely divided them into upper and lower chapters. He said that the central points of all seven chapters were following one's nature and studying and practicing Tao. In the upper and lower part system, the upper part is chapters 1 to 3 and explains the principle of things(道體) and is called the Principle(道) of Yong(庸), and the lower part is chapters 4 to 7 and describes JungYong's studies and is called Yong's Study(學). He believed that 『JungYong』 contained the Principle and study methods in equal proportion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at is, the practice of a scholar, by emphasizing the word Yong(庸). Jang Yu raised three questions about 『JungYong』, which Zhu Xi changes over as an explanatory note, and Jeong Je-du inherited Jang Yu's opinion and interpreted 『JungYong』. However, if we analyze these three questions in detail, we ultimately come to one conclusion. That is, 『JungYong』 is a book of teachings, and what was intended to be emphasized in the entire 『JungYong』 is practice based on human awareness. It is hoped that individuals will actively practice the path of JungYong through awareness of the mind. This shows that although Jang Yu and Jeong Je-du accept the study of Zhu Xi to a certain extent, they understand 『JungYong』 based on Yangming Studies(陽明學)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ey looked at 『JungYong』 from the position of Yangming Studies, which values practicing one's principles and cultivation to emphasize human practice.

      • KCI등재

        성호의 경(經)⋅전(傳) 체제 『중용』 해석 연구 -『중용질서(中庸疾書)』를 중심으로-

        황인옥 ( Hwang¸ In-ok ) 한국동서철학회 2020 동서철학연구 Vol.0 No.98

        본 연구는 『중용』을 경(經)·전(傳) 체제로 해석한 성호의 『중용질서(中庸疾書)』의 체제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경·전 체제 『중용』 해석의 의의와 한계점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성호는『중용』 2~11장을 ‘공자 중용’인 경(經)으로 보아 핵심내용이라고 하였고, 12~32장을 ‘자사 중용’인 전(傳)으로 보아 경을 설명하는 내용이라고 하였다. 그는 『중용』을 공자가 중용의 도를 세상에 실현하기 위하여 경세적인 입장을 밝힌 경전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입장에 주목하여 『중용』을 해석하였다. 성호의 『중용』 해석은 독창적인 경전 이해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중용』을 시작하는 말, 공자 중용, 자사 중용, 맺음말 체제로 나누었고, 1장을 공자 중용의 원리를 설명한 내용이라고 하여 『중용』 해석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용의 도가 인간관계의 기본인 오륜의 실천으로부터 시작된다고 설정하여 주체자의 실심(實心)을 강조하였다. 셋째, 공자 중용의 내용을 중용의 지극함과 중용이 현실에서 행해지지 않는 것에 대한 공자의 안타까움, 중용의 도가 행해지던 과거의 증명, 중용지도의 미래 전망 등이라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자사 중용은 공자 중용을 알기 쉽게 설명하여 실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그가 『중용』을 개인의 도덕 실천은 물론이고, 경세적인 의미까지 담고 있는 경전으로 해석하여 『중용』의 효용성을 강조한 것이다. 성호의 『중용』 해석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나타난다. 첫째, 경과 전으로 나누었으나 주자의 33장 구조를 그대로 따름으로써 주자의 분장 구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둘째, 2~11장을 공자 중용으로 보는 이유를 2~11장 안에 다른 사람이 말이 없고 문장이 ‘중니왈’, 또는 ‘자왈’로 시작되며 문장의 체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자사 중용 부분에서도 ‘자왈’로 시작되는 장이 6개나 되며, 문장의 체제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설명도 하지 않았다. 셋째, 수장을 공자의 말이 간략하고 어려운 것을 염려하여 그 근원을 추구하여 자사가 썼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것의 정확한 근거나 설명을 제시하지 못했다. 넷째, 『중용』을 성(誠)을 위주로 하는 책이라고 하였고, 『중용질서』의 후반부에서 성에 대해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러나 그는 성(誠)을 공자 중용의 지·인·용을 부연 설명하는 보조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경전해석은 성리학적 풍토에서 실학으로 이어지는 전환기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Seongho’s 『Jungyongjilseo (中庸疾書)』 that is divided and interpreted as 『Jungyong』 into the system of Saint writing (經) and a wise man's writing (傳), as well as investigating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h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in the system of Gyeong and Jeon. Seongho interpreted 『Jungyong』 considering Chapter 2 to Chapter 11 of 『Jungyong』 as Saint writing (經) of ‘Confucian Jungyong’, and from Chapter 12 to Chapter 32 as a wise man's writing (傳) of ‘Zisi Jungyong’. Confucian Jungyong is the core content, and Zisi Jungyoung is a part giving additional explanation of Confucian Jungyong. He understood 『Jungyong』 as the scripture making Confucius’s administrative position clear in order to realize Confucius’s Jungyongjido, and interpreted 『Jungyong』 as focusing on this stance.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with the Gyeong and Jeon system is Seongho’s original method, and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he divided 『Jungyong』 into preface, Confucian Jungyong, Zisi Jungyoung, and postface. He gave his own ingenious opinions in the interpretation of 『Jungyong』, e.g. understanding the first chapter as that which explained the principle of Confucian Jungyong. Second, he set the morality of Jungyong as beginning from the practice of Ohryun (the five moral disciplines), the basis of human relationships, and emphasized a principal agent’s sincere heart (實心, sincerity). Third, he thought that Confucian Jungyong as Gyeong included the contents of the trueness of Jungyong, Confucius’s pity for that Jungyong was not in practice in the reality, the verification of the past when Jungyongjido was performed, and the prospect of the future of Jungyongjido, and he understood Zisi Jungyong as the structure to explain it. Therefore, he stressed the usefulness of 『Jungyong』 by interpreting 『Jungyong』 as the scripture covering not only personal practice of ethics but also administrative meanings. Yet, Seongho’s interpretation of 『Jungyong』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he divided it into Gyeong and Jeon, but he followed Zhuxi’s 33-chapter structure as it was, so failed to overcome the problems in Zhuxi’s chapter division structure. Second, he explained that he thought Confucian Jungyong wa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because there were no writings from others, the sentences began with ‘Zhongni says’ or ‘Zi says’, and the sentences had different systems from Chapter 2 to Chapter 11. Yet, Zisi Jungyong also has as many as six chapters beginning with ‘Zi says’, and he didn’t explain how the structures of the sentences were different. Third, he inferred that regarding the first chapter, Zisi pursued the origin worrying that Confucius’s words were brief and difficult. However, he couldn’t offer the accurate grounds or explanations for this. Fourth, he said that 『Jungyong』 was a book focusing on diligence (誠), and dealt with Seong importantly in the latter part of 『Jungyongjilseo』. But, in his interpretation, Seong remains as a supplementary concept additionally explaining Confucius’s Jungyong Ji(knowledge), In(benevolence), and Yong(cou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