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国人における日本語終助詞の習得と喪失 - 帰国生日本語と植民地日本語の比較 -

        黃永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8 No.-

        본 연구는 잠복기 상태에 있는 귀국생일본어와 식민지일본어에 보이는 종조사의 대조를 통해 한국인이 아동기에 습득한 일본어의 상실 단계에 보이는 변화, 접촉도에 따른 사용빈도 와 언어기능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기술한 것이다. 조사대상자(자매 2명)의 담화, 조사문조사 자료에 보이는 종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귀국생일본어의 종조사의 전체적 사용상황에서 보통체와 공기하는 종조사가 현저하게 많다. 연령(일본어접촉도)에 따른 사용차를 보면,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KB는 KA에 비해 중 간언어화용론의 영향을 받은 가능성이 크다. (b) 쇠퇴해가는 일본어의 구문에는 습득기에 보인 종조사의 자연스러운 사용이 많이 없어 지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다만, 종조사의 기본적인 용법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용법까지 모어 화자와 동등한 운용능력을 가졌던 것과 Ⅴ기(재학습기)에도 잠재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양상 이 관찰된다. 잠복기상태의 식민지일본어나 학습자일본어와 비교하면, 모어의 영향 등에 의 한 오용은 거의 없다. (c) 상실 과정의 종조사를 적절성에서 보면 청자지향성의 종조사가 먼저 마멸되는 가운데 잠정적이지만 ‘학습자일본어>귀국생일본어>식민지일본어’와 같은 마멸의 단계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개인차가 있어 특정 종조사는 특정 화자에게 편중되는 경우도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s of linguistic change and Japanese contact in the stage of acquisition, maintenance, attrition, and loss of the L2 acquired in childhood through a comparison of sentence-final particles in Korean returnees’ from Japan and colonial Japanese in the incubation period. It describ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frequency and fun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course of two Korean sisters and the translation survey,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In the overall usage of sentence-final particles, there is a significant number of casual styles. Looking a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KB with a low Japanese contact level is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inter-language pragmatics than KA; 2) It is confirmed that during the declining Japanese phrase much of the natural uses shown in the acquisition period were lost. However, in addition to the basic usages, additional usages were observed. They have the same operational ability as native speakers and potentially maintained in the fifth (=reconstruction) stage. Comparing to colonial Japanese or learner's Japanese, there is little misuse due to the influence of transfer; 3) In view of the appropriateness of L2 loss process in sentence-final particles, it is possible to see the stages such as ‘learners’ Japanese> returnees’ Japanese> colonial Japanese’ while the listener-aimed particles are first forgotten. Nevertheless, these are tentative. However, due to individual differences, certain particles may be used more by specific speakers.

      • KCI등재

        韓国人帰国生日本語の可能表現からみる第二言語接触史

        黃永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2 No.-

        본 연구는 한국인귀국생의 일본어에 나타난 가능표현에서 제2언어의 습득・유지・마멸・상실 의 단계에 보이는 언어적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조사대상자(한국인 자매 2명)의 담화, 작문 과 (번역식)조사문조사 자료에 보이는 가능표현을 분석한 결과 그 일본어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는 점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a) 파생동사류의 사용에 관해서는 <五段動詞:가능동사, サ行変格動詞:デキル>라는 현대 일본어의 표준어 규범과 거의 일치하는 경향이 보이지만, <一段動詞>에서는 ラ抜き言葉 가 유지됨과 동시에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화자에게 동요(動搖) 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b) Ⅲ기와 Ⅳ기가 되어도 (오류는 있지만) 가능동사형과 デキル가 어느 정도 균등하게 사 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일본어접촉도가 낮은 화자에게는 형태적인 처리능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한국어와 한국어 구조에 끼워 맞춘 가능표현과 유사가능표현 등이 사용 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어접촉도가 높은 화자A에게는 정중도의 차이에 따른 스타일 면에서의 사용구분도 의식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c) 제2언어습득에서 상실까지의 모든 과정을 보면 한국인귀국생의 제2언어접촉사의 후기 에는 한국어로부터의 전이와 함께 <단순화>와 동사 활용의 <회피>와 같은 학습자 전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linguistic features seen between the acquisition, maintenance, abrasion and loss stages of L2 Japanese in the potential expressions by Korean returne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tential expressions in the data of the discourse, compositions, and research surveys, the following features are found. (a) Regarding the use of derivative verbs, there is a tendency to agree with the standard language norm of contemporary Japanese, such as the <consonant-stem verbs : potential verbs, vowel-stem verbs : auxiliary verbs(RARERU)>. At the same time speaker B, who has a low level of Japanese contact, is often maintained as 'RA' removed word. (b) In stage III and IV, potential verbs and DEKIRU are used to some extent equally even if they are wrong.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morphological processing ability for speaker B with relatively low level of Japanese contact, potential expressions and similar expressions that can be fitted to Korean and Korean structures are beginning to be used. For speaker A, who has a high level of contact with Japanese, it is conceivable that the usage classification in the aspect of sty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meditation is consciously used. (c) In whole the process from the acquisition to the loss of L2, the learners' strategies such as <simplification> and <avoidance> of verb conjugation appear prominently later in the language contact history of the returnees with transference of Korean.

      • KCI등재

        中国延辺地域の朝鮮族高年層日本語における無声破裂音

        黃永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5 No.-

        본고는 중국연변지역의 조선족노년층화자가 1945년 이전의 일본식민지시기에 일본어교육을 통해 습득한 일본어에 나타나는 음성영역(특히, 무성파열음)의 사용실태를 통해 70여 년 간 유지되어 온 동아시아지역 식민지일본어의 유성음ㆍ무성음의 보존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광복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형태ㆍ접촉기간이 다르고 광복 이후에는 일본어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피조사자 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담화조사와 (읽기 방식의)조사문조사의 결과를 대조하면서 음환경 및 어종별로 그 보존 실태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관련한 언어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한국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파열음의 구별능력은 1945년 이전의 일본어와의 접촉도와 현재의 일본어능력에 따라 화자별로 연속성을 띠면서 보존되고 있다. 한편, 일본어가 제3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중국지역보다 제1언어환경에서 제2언어로서 보존되고 있는 한국지역에서 보다 많이 나타나고 있다. (2)무성음화와 고착된 유성음화는 거의 보이지 않으며 사용수와 정확도에서 볼 때 중간언어적인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 음환경면에서는 ‘語中[t]→[d]의 유성음화’가 두 지역 모두 현저하지만, 특수음 다음에는 유성음화현상이 적게 나타난다. 그리고 어종별로는 고유어에서 가장 많다. (3)(잠정적인 결론이지만) 식민지일본어는 메타언어에 의한 일본어음성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당시의 일본어학습환경에 기인해 일본어능력이 낮은 층을 중심으로 ‘무성파열음의 유성음화’가 화석화된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was analyzed for retention mechanism of unvoiced plosive sound in L2 retention period through the actual use situation of ethnic elder Koreans speaker of China Yanbian region appearing to learn the Japanese under the colonial education environment. Discourse research for four informants (that is not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since 1945) were carried to the subject of the sentence reading investigation while results combined. They are different to the contact form, contact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scribing in detail the actual conditions that held in the sound environment and language external factors that are relevant.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Korean colonial Japanese data, the followings were found. (1)(Voiced/Unvoiced) Plosive sound of the distinct ability of contact to Japanese before 1945 has been preserved by the continuous phase, depending on the current speaker of the Japanese language skills. On the other hand, the voiced plosive sound of Japanese appear much more preserved in Korea as L2 in L1 environment than the area being preserved as L2 in L3 environment. (2)Unvoiced/Fixed vocal sound of maintenance and the intermediate language can be used when viewed from the aspect and accuracy. The environmentally sound ‘in word [t]→[d] voiced’, China has more less the voiced sound and most often in the words of native language types. (3)Having tentative conclusions,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colonial education has made the Japanese voice did not ‘silent voiced plosive’ focused on the lower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group due to the learning environment of not meta-language been in fossilized state.

      • 美 軍政期의 私學 硏究

        黃永熙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1989 敎育硏究 Vol.- No.8

        After the Korean people were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U.S. Military governed south Korea for three years (1945-19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nges in Korean private schools and examine how much the private schools contributed to Korean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U.S.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MGIK). Except for special classes, most Koreans were limited educationwise and had no opportunity to enter secondary schools or higher institu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ing period. After the liberation of Aug. 15, 1945, USMGIK, in order to help Korea to be a democratic country, adopted a democratic educational system. Thus, the Korean people could have an equal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were able to go to school was increased more and more. But it was not financially practical for USMGIK to allow all that wanted to enter schools. But USMGIK wanted many private schools to be established whether they had good facilities or not. Many mission schools which had been closed down by Japanese imperialists were reopened, and many that wanted Korea to be reconstructed as a new and great country participated in founding private schools. The main educational policy of USMGIK was 1) publish and supply new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2) retrain teachers, 3) incline for a single line of school system, 4) combat illiteracy, 5) establish compulsory education, 6) expand secondary and higher education and 7) establish teacher’s colleges. Under this educational policy there was an increase of 350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about 800,000 students, but about 20 private elementary schools were eliminated and the attendance of private schools dropped from 26,000 to 7,000. Private secondary schools doubled from 35 to 78, and private higher institutions tripled from 10 to 30. This means that the private secondary schools and higher institutions played a large role in Korean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USMGIK. We can be sure that the private school founders and leaders were very proud to take part in this noble cause also.

      • KCI등재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를 둘러싼 언어교육사적 특징

        황영희(黃永熙)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39

        본고에서는 제4차(1981∼1988년) 및 제5차(1988∼1992년)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이하, 각각 (H)(J)라 한다)를 집필한 일본인 저자와의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집필을 둘러싼 언어교육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당 시기는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가 1종으로 한국인 저자에 의해서만 제작된 제2차(1963∼1974년) 및 제3차(1974∼1981년) 교육과정에 이어 5종으로 확대되고 최초로 일본인 저자가 집필에 가담하게 되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30여년이 지나)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 있었던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에 대해 해당 일본인 저자와의 인터뷰 및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일본어교육사의 흐름 속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교과서 집필의 과정과 관련한 문제<영역Ⅰ>를 살펴보면, 집필 시의 역할 분담, 본문의 선정, 일본어 체크, 발음 연습의 추가, 다양한 화제의 선정, 문체의 결정에 있어서 (H)는 한국인 저자가, (J)는 일본인 저자가 담당하였다. (2)교과서 집필에 영향을 끼친 교수 내용상의 문제(교과서 내적 요인)<영역Ⅱ>를 살펴보면, 회화, 독해, 참고문헌, 내용, 구성 기준, 어휘, 삽화(사진&그림), 문형, 배경의 선정, 교과서 집필의 문제점이라는 측면에서 (H)에 비해 (J)는 기존의 독해 위주에서 벗어난 회화 중심의 교재 구성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 선정, 기존 교재와 차별화된 문법 설명, 많은 삽화의 도입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3)교과서 집필에 영향을 끼친 사회 환경적 문제(교과서 외적 요인)<영역Ⅲ>와 관련해서는 (H)(J) 모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이론과 현장교육 사이의 괴리감, 미디어 자료의 부족, 단일 교재를 통한 단순화된 읽기와 쓰기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기성세대를 중심으로 일본어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거부감이 컸음을 말하고 있다. 한편, 일본인 저자의 교육현장 경험,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요소의 실질적 반영, 한국인 교사와의 교류, 영어 전공 및 교수 경험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H)는 대부분 불가능했던 반면, (J)는 인식하고 경험하여 교과서에 반영·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상, 일본인 저자가 최초로 참여한 제4차 교육과정에 비해 제5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 집필이 발전적이고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하였고 거기에는 일본인 저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韓国人帰国生日本語の存在表現に関する縦断的考察

        黃永熙(황영희) 한국일본어학회 2018 日本語學硏究 Vol.0 No.56

        본 연구는 한국인 귀국생 두 자매가 일본 체재 중에 습득한 이후 10년 이상 유지하면서도 쇠퇴해가고 있는 제2언어로서 일본어 존재표현에 나타나는 여러 언어적 특징을 기술한 것이다. 자매끼리의 자연담화와 작문자료, 번역식조사문조사의 데이터와 유사하게 마멸해가는 제2언어인 식민지일본어를 비교 · 분석한 결과 한국인귀국생일본어의 존재표현에 관해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a)귀국 후 6개월까지의 유지기에는 일본어가 대화의 기본이며, 6개월 이후의 마멸기에는 한국어가 대화의 기본이 된다. 1년이 지난 쇠퇴기에는 일본어의 사용이 전혀 없어지게 된다. 존재표현의 체제는 イル와 アル가 두 축을 이루면서 有情物主語의 능동적이고 적절한 イル의 사용이 일본어와의 접촉도가 높은 화자A(언니)를 중심으로 많이 나타난다. 그리고 화자의 속성 면에서 보면 일본어와의 접촉도가 낮은 화자B(동생)가 비표준적인 アル를 도입하고 있으며 アル로 이행하는 과정이 도출된다. (b)제2언어습득기에 서일본지역의 방언형에도 접촉하였지만, オル의 사용은 보조동사와 일본어모어화자의 발화를 반복한 경우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귀국생일본어는 성인층의 일본어접촉자의 쇠퇴기에 보이는 분석형「존재동사+デス」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통합형 マス형이 보존되기 쉽다. (c)제2언어마멸기에 이루어진 조사문조사에서는 「イル · アル · ゴザル를 有情物述語의 프로토타입으로 인식하는 화자A」와 「有情物述語의 프로토타입을 アル로 이행해가는 화자B」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ゴザル・イラッシャル는 화자A에게 대우형식으로서 보존되기 쉽다. (d)제2언어로서 존재표현의 습득 · 유지 · 마멸 · 상실과 관련한 언어외적 요인으로 「자매의 연령차」와 「(아주 잠정적인 결론이지만) 화석화」를 생각할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linguistic features seen in the existence expressions of Japanese after more than 10 years, which was acquired while two Korean sister returnees were staying in Japa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the sister"s natural conversation, composition and survey text, the following was found about the existence expressions of Japanese in the incubation period. (a) In the retention period up to 6 months after returning to Korea, their conversation is Japanese-based. In the retention period after 6 months, it becomes Korean-based and Japanese is no longer used in the attrition period after one and a half years. The system of existence expressions is mainly seen in the speaker A (older sister) who has a high level of contact with the active and appropriate use of the two axes of ARU and IRU. Additionally, the speaker B (younger sister) who has low contact with Japanese is using a non-standard ARU and showing the process to migrate to ARU. (b) In the acquisition period, they are also in contact with the dialects of the West Japan regions, but the use of ORU is not seen as a repetition of native speakers or auxiliary verbs. The analytical type of "existence verb+DESU" seen in adult Japanese learners does not appear and it usually can be left as an integrated type. (c) In the surveys of the attrition period, it is divided into "speaker A : a prototype of a physical object predicate is IRU/ARU/GOZARU" and "speaker B : a prototype of a physical object predicate is ARU". GOZARU/IRASSHARU may be easy to maintain in speaker A as honorific forms. (d) The difference of age in sisters and (although very tentative) fossilization may be considered as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acquisition, retention and loss of existence express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