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浮休子(부휴자)”를 내세운 成俔(성현)의 말하기와 그 의미 -『浮休子傳(부휴자전)』『浮休子談論(부휴자담론)』을 중심으로-

        황아영 ( Young Ah Hwa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7 No.1

        성현이 부휴자라는 가상의 인물을 내세워 말하고 있는 『浮休子傳』 과 『浮休子談論』을 중심으로 부휴자의 말하기와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현은 자탁전의 형식을 가진 『부휴자전』 에서 부휴자의 성품과 즐거움을 이야기하며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을 그려내었다. 그리고 寓言의 형식을 갖춘 『부휴자담론』은 이야기 방식에 따라 『雅言』, 『寓言』, 『補言』가지 양식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각 양식마다 부휴자와 허구 인물, 역사인물을 등장 시킴으로써 현실문제에 대한 직설적인 화법을 피하여 자신의 주장을 내세우 고 있다. 성현이 자신을 드러내어 직접 말하지 않고 부휴자라는 인물을 내세워 말하 고자 한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면, 첫째로, 임금에 대한 강한 勸戒와 諷刺임을 알 수 있다. 부휴자를 통해 이전의 훈구관각파가 주장한 ‘임금은 하늘이다’ 라는 의견을 따르는 듯하지만, 그 이면에는 ‘임금은 다만 백성을 위한 하늘의 대리자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렇게 간접화법을 통해 말함으로써 자신을 드 말하는 데에 따르는 화를 면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성현은 표면적으로 ‘재주와 능력은 배워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말하는 듯하지만 결국 ‘능력 과 재주는 타고나는 것이며 쉽게 변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타 고난 재능과 능력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그러면서 훈구관각파와 도학 사림파 사이에서 어느 한쪽의 편도 아닌 중간자적 입장의 정치적 견해를 밝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성현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직접 말하기 어려운 자신의 정치적 견해와 강한 자긍심을 간접적으로라도 드러내기 위하여 부휴 자라는 인물을 통해 주장을 펼친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article scopes out a fictional charater - Buhyuja`s speaking and means in The story of Buhyuja and Discussion of Buhyuja written by Sung Hyun (1439-1504). Sung Hyun described Buhyuja, an ideal type of human character, with Buhyuja`s personality and enjoyment in an autobiographical essay The story of Buhyuja. Meanwhile, Discussion of Buhyuja composed of three type of fascicles: ‘Graceful Words’, ‘Foolish Words’ and ‘Complementary Words’. In Discussion of Buhyuja, fictional characters had appeared in each section so that contemporary issues had been described with indirect narrations, which purposed to escape punishments derived from direct and straightforward speaking. In accordance with direct speaking from imaginary persona and bitter satire on society in The story of Buhyuja and Discussion of Buhyuja, Sung Hyun had sincere remonstrance and satire on a king. Sung Hyun seemed to conform demand - ‘The king is the Heaven’. However rather, Sung Hyun actually emphasized a king is a representative of the Heaven only for the public. In addition, Sung Hyun looked like to follow an assertion - ‘Personal talent and ability are obtainable with learning’, though Sung Hyun, in fact, highlighted one`s natural ability inborn characterized as well as scarcely changed. On the other hand, Sung Hyun had stated a middle coursed view of political opinions without single-side-on stance. Eventually, Sung Hyun applied various speaking on a fictional charater - Buhyuja. Then, Sung Hyun directly expressed meaning of his political opinions and self-esteem against contemporary social situations.

      • KCI등재

        하담(荷潭) 김시양(金時讓)의 산문(散文) 연구(硏究)

        황아영 ( Hwang Ah-yo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荷潭 金時讓(1581~1643)은 조선 중기 청백리로 이름난 문신이다. 宣祖 14년 (1581)에 태어나 壬辰倭亂을 겪으면서 부모님을 여의고, 선조 38년(1605년)에 문과에 등제하면서 光海君과 仁祖를 모셨다. 하담은 임진왜란과 丁卯胡亂, 丙子胡亂과 같은 국가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면서 시, 필기와 함께 많은 산문 작품을 남겼는데, 그 중 산문 작품들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진한 상태이다. 하담의 문학관을 알기 위해서는 시와 필기뿐 아니라 산문 작품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담 김시양의 산문에 나타난 주제의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담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이전까지 옳다고 여겼던 성리학이 무너지고 소중화라 자부하였던 가치관이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음을 목도하였다. 일반적인 서민, 하층민이었다면 그것에 대한 기대가 크지 않았을 것이고, 높은 관직에 있는 사대부였다면 성리학과 소중화라는 사상만을 중시하였을 텐데, 김시양은 사대부이지만 유배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었기에 당시의 상황과 현실을 객관적으로 보고 평가할 수 있었고, 이후 인조대에 관직에 돌아와 여러 중요한 임무를 맡으면서 유연한 사고와 대처를 강조하였다. 또한 김시양은 임금과 신하로서의 태도에 대하여 자주 언급하였는데, 특히 임금에게는 강한 임금을 요구하였고, 신하에게는 책임감을 강조하였다. 임금은 임금으로서의 威儀를 가지고 나라를 어지럽히는 소인들을 두렵도록 다스려야 하며, 신하는 임금에게 간하는 것을 중히 여기고 자신이 맡은 일에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임해야 함을 여러 번 언급하였다. 그리고 하담은 자신이 맡은 직책과 임무에 관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음에 대한 높은 자신감과 자부심을 표출하기도 하였다. 그러하기에 하담은 자신의 의견을 당당하고 떳떳하게 주장할 수 있었고, 진퇴에 관하여도 소신껏 임금에게 아뢸 수 있었다. 이는 하담이 공과 사를 철저히 구분한 점과도 관련이 있다. 공적인 일에 관한 글은 물론이고, 친구와 주고받은 글에서도 공과 사를 구분하여 글을 적고 있음이 잘 나타난다. 이와 같이 하담의 산문 작품은 시와 필기와는 또 다른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담의 산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지만, 하담 김시양은 조선 전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중기의 여러 가지 대내외적 영향을 받아 시, 산문, 필기 문학에서 다양한 글쓰기를 선보인 인물이므로 다각적 접근의 과정을 거친 뒤에 김시양 문학에 나타난 통일된 가치관과 의식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17세기 그리고 조선 중기 문학사에서 김시양의 문학이 차지하는 위상과 의의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선 중기 사회와 문학에 대한 이해가 풍성해지길 기대해 본다. Hadam Kim Si-Yang(1581-1643) is a famous incorrupt government officer in the mid of Chosun period. He entered the government office in 38th year of king Seonjo(1605), then served for King Gwanghaegun and King Injo. Hadam had wrote many prose works along with poems and essays during the difficult invasion times of the country such as Imjin-waeran, Jeongmyo-horan and Byeongja-horan. In order to understand his literary views and values, it is important to study his proses as well as poetry and essays. However, his proses have yet to be done much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thematic consciousness shown in the prose literature of Hadam Kim Si-yang. Through Imjin-waeran and Byeongja-horan, Hadam witnessed that the Neo-Confucianism, which had previously been considered right, was collapsed, and its sub-sinocentrisme did not help him at all. If Hadam were a commoner or low-class man, he would not have high expectations for the Neo-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if he was a high-class of official, he would have only valued the thought of the Neo-Confucianism and sub-sinocentrisme. However, Kim Si-yang was a senior officer, but he remained in exile, so Hadam was able to objectively assess the situation and reality of state of affairs. Hadam later returned to government posts during the King Injo era and took on various important duties with emphasizing flexible thinking and management. In addition, Hadam frequently mentioned an attitude between a king and an officer. He requested powerful royal authority from the king, and emphasized responsibility from an officer. He mentioned that a king should have his status as the king and rule over men fearfully who disturb the country. Then, he repeatedly mentioned that an officer should carefully offer his opinion to the king and take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is duties. Hadam also expressed his high confidence and pride in doing his best in his position and duties on his proses. In reality, he stated his opinions confidently and proudly and he offered his opinions to the king with his faith at retirement. The aforementioned is related to Hadam's thorough distinc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affairs. He wrote separately between public and private matters not only in writing about public affairs, but also in writings with his friends. In summary, the prose works of Hadam have a different theme than his poetry and essays. As Hadam inherited the traditions of the early Chosun period, he also showed various writings in poetry, prose, and essays under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influences of the mid Chosun period. Therefore, this paper enables to investigate the unified values and thoughts shown in Hadam Kim Si-yang's literature with a process of multi-lateral approach. And, this paper reveals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Hadam Kim Si-yang's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and the mid Chosun of literature history. Through this Hadam study, we believe to enrich our understanding of society and literature in the mid Chosun period.

      • KCI등재

        최부(崔溥)의 『표해록(漂海錄)』에 나타난 문학적 서술방식 연구

        황아영 ( Hwang Ah-yo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9 漢文古典硏究 Vol.38 No.1

        錦南 崔溥(1454~1504)의 『漂海錄』은 최부가 바다를 표류하다가 중국에 도착하고 중국 내륙을 통하여 조선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 경험을 成宗의 명을 받아 기록한 기행문이다. 최부는 『표해록』에 150일 간의 경험담을 일기 형식으로 빠짐없이 기록하였는데 이를 통해 당시 조선에 알려지지 않았던 북경 이남 지역의 풍속과 지리, 자연환경 등이 상세하게 전해지게 되었다. 『표해록』은 견문의 내용과 일기의 형식을 갖추었다는 점에서 잡기류이기도 하고 수필과 잡록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필기류로도 볼 수 있다. 특히 최부가 살았던 조선 성종조는 실용적 성격의 학문을 진흥시켰고, 많은 필기류 저서들이 성행하였던 시기이다. 최부도 이러한 실용서적 편찬에 참여하였고 해박한 지식과 견문을 가지고 있었기에 왕명을 받아 『표해록』을 저술하면서 자신의 특별한 경험에 대한 기록과 함께 정보의 전달을 위한 기록을 함께 아우르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해록』에 나타난 정보전달보다는 특별한 경험에 대한 문학적 표현에 대해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최부는 여러 사람들과의 대화를 그대로 기록하며 사실성과 현장감을 높였고, 주변 상황과 현장을 상세하게 묘사하여 생동감을 전달하였다. 그리고 자신이 겪었던 생사가 오고가는 긴박한 상황들, 그러한 문제가 해결되는 순간들을 적절히 배치하면서 스토리를 긴장감 넘치게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서술방식으로 인해 『표해록』은 정보전달이라는 목적 달성은 물론이고 문학적으로도 높은 성취를 이루어 이후의 조선 문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Choi-bu's 『Pyohaerok(漂海錄)』 is a travel diary that describes the experience of Choi-bu arriving in China after drifting in the sea and returning to Joseon(朝鮮) land via inland China. Choi-bu recorded every 150 day of his experience in the 『Pyohaerok』 in the form of a diary, which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customs, geography and natural environment in areas south of Beijing, which was not known to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The 『Pyohaerok』 is a part of 'Jobgi(雜記體)' that is a form of a record of personal experience and a diary, and is also a part of 'Pilgi(筆記體)' that records essays and miscellaneous books. In particular, King Seongjong(成宗) of the Joseon Dynasty promoted practical studies so that it was time when many books of Pilgi were in vogue. Choi-bu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such practical books, and he had extensive knowledge, so he received a royal command and wrote 『Pyohaerok』 which included a record of his special experience and a record for delivery of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focus more on literary expressions of special experiences rather than on information delivery in the 『Pyohaerok』. Choi-bu had recorded many conversations with people, which enhanced realism in literature and delivered much animated expression by describing the surroundings and the scene in detail. In addition, Choi-bu continuously expressed many stories with being suspenseful, with proper arrangements of the life-and-death crises that he had experienced, and with moments when such problems had been resolved. This method of narrative had greatly influenced the subsequent Joseon Dynasty paragraphs by achieving not only the purpose of information transfer but also literary achievements.

      • 요구사항 데이터와 GUI 디자인 패턴 모델간의 Mapping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황아영 ( Ah-young Hwang ),이동현 ( Dong-hyun Lee ),인호 ( Hoh Peter I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웹 어플리케이션을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주자와 수주자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그러나, 잦은 요구사항의 변경과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인해 요구사항의 추출 및 검증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사항 데이터와 GUI 디자인 패턴 모델간의 Mapping 프로세스를 통해 신속하고 명확하게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의하며,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3]

      • KCI등재

        논문(論文) : 이옥(李鈺) 유기(遊記)의 미적(美的) 특성(特性)

        황아영 ( Ah Young Hwa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8 漢文古典硏究 Vol.16 No.1

        본고는 文無子 李鈺(1761~1812)의 遊記를 중심으로 하여 그 특징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이옥 유기의 미적 특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옥이 살았던 당시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으로 조선왕조가 정치ㆍ사회ㆍ경제ㆍ문화에 걸쳐 커다란 변화가 진행되던 시기였으며 특히 문학적으로는 正祖가 추진한 문체반정으로 인해 더욱 혼란스러웠던 시기였다. 이옥은 문체반정으로 문제시되었던 인물로서, 정조의 엄중한 문체적 제재에도 불구하고 소품체 산문을 고집하였고, 개성적인 필치의 소품체 유기를 창작하게 되었다. 이옥의 유기는 전체성에 대한 거부, 일상의 포착이라는 미적 특성을 보인다. 이는 탈중심적이고 일상에 몰두하는 이옥 자신의 성격에서 기인한다. 전체성에 대한 거부는 3가지 형태로 드러나는데, 첫째로는 기존의 유기에서 다루지 않았던 탈중심적 소재를 다룬 점, 둘째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버리고 다양성을 인정한 점, 마지막으로 일반적 시선과 다른 각도로 세상을 보고 분해하여 이옥 자신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점이다. 당시의 중심적 가치관인 성리학과 古文에 대한 저항과 주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은 이전의 유기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소재의 유기를 창작하게 하였다. 그리고 이옥은 중심적 가치관에서 벗어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하고 각각의 차이들을 수용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새로운 가치관과 관점으로 대상을 새롭게 인식하여, 전체적 이미지를 이옥의 기준으로 분해하고, 새로운 가치관을 부여함으로써 재구성하게 되었다. 이옥은 구체적 삶의 현장에서 현재 보이는 것 또는 상황을 포착하고 기록하는데 뛰어난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 이옥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자신을 둘러싼 모든 상황과 사건들을 객관적 시각으로 보았으며, 상황을 정확하고 세밀하게 포착하여 그것들을 하나하나 글로 옮기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하여 일상의 언어를 유기에 사용하기까지 하였다. 그리고 대화체를 사용하여 장면에 생동감과 사실성을 더하면서 장면을 극대화하였다. 본고는 이와 같이 이옥 유기의 미적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옥의 유기의 의의와 가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이옥의 유기는 일반적 유기처럼 산수의 풍광을 감상하기보다는 현재 이옥을 사로잡는 것, 보고 싶은 것만 보고 그것에 몰두, 묘사하였다. 그렇기에 어느 곳을 가던지 이옥의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고, 무엇을 그리건 그것 자체가 놀이가 되었다. 이옥은 그렇게 함으로써 자기 나름의 위안을 삼았기 때문에 산수는 이옥에게 다른 의미의 안식처요, 구도처가 되었으며, 산수를 그리는 행위는 자기 위안이며 오락적인 놀이가 되었다. 이처럼 체재와 규범에서 벗어나 개성적이고 탈중심적인 가치를 옹호하는 유기를 지었다는 점에서 이옥은 조선 후기 문단에 커다란 전환점을 마련하였으며, 이는 더 나아가 조선후기 사회에 개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도록 하는 출발점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이것이 곧 이옥 유기의 의의이자 가치이다. This thesis aimed at examining the feature centering around the playing record of Lee Ok(李鈺)(1761~1812) and searching for the aesthetic feature of playing record by Lee Ok. Those days that Lee Ok lived were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8th century to the early stage of the 19th century. Then, it was the period that great change progressed over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Chosun(朝鮮).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it was more confused period due to Moonche-banjung(文體反正) that Chungjo(正祖) promoted. Lee, Ok persisted in the prose of short piece style regardless of the strict stylistic sanction of Chungjo(正祖) as a figure who became an issue due to Moonchebanjung(文體反正). Playing record by Lee Ok which has these features shows the aes-thetic feature to be the refusal for wholeness and the capture of everyday life. This is caused by own character of Lee Ok to get out of center and to be absorbed in daily life. Refusal for wholeness is revealed with 3 kinds of forms. Then, first is that it handled the material to get out of center which was not handled in existing playing record. Second is that it threw away existing fixed idea and recognized diversity. Last is that it reconstituted from Lee Ok`s viewpoint by seeing the world from the angle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viewpoint and disassembling. And Lee Ok had excellent talent for catching and recording daily life on the spot of concrete life. Lee Ok caught situation exactly with objective sight from the viewpoint of observer and laid emphasis on translating it into writing one by one and used the language of daily life. And, he maximized scene, adding vividness and reality to scene, by using conversational style. In this thesis, this researcher tried to dis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playing record by Lee Ok by examining the aesthetic feature of playing record by Lee Ok. Lee Ok prepared the great turning point in the literary world of latter period of Chosun(朝鮮) in that he made the playing record to advocate the individualistic value to get out of center by getting out of style and norm. Furthermore, it is deemed that it became the starting point to enable the society of latter period of Chosun(朝鮮) to recognize diversity. This is the meaning and value of playing record by Lee 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