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적 특성이 다른 조직의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1 활성도

        황성혜 ( Hwang Seong Hye ),김기훈 ( Kim Gi Hun ),김용운 ( Kim Yong Un ),이석강 ( Lee Seog Gang ),김종연 ( Kim Jong Yeon ),권태동 ( Kwon Tae Dong ),장응찬 ( Jang Eung Chan ) 한국운동영양학회 2003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7 No.3

        Fatty acid oxidation rate is dependent on tissues types. It suggests that the tissue have their own special characteristics to be oxidized for yielding ATP. Our hypothesis is that various tissues have their own specific CPT1 activity as different fatty acid oxidation. CPT1 catalyses the rate-determining step in mitochondria fatty acid beta-oxidation. The enzyme is encoded by at least two genes, on of which is expressed preferentially in liver (L-CPT1) and the other in fat and muscle (M-CPT1). In this study, M_CPT1 activity in two different muscle type of skeletal muscles and two differenet adipose tissues were measured at homogenates and mitochondria. At the same time, L-CPT1 acitvity in hepatic and renal tissues were measured at homogenates and mitochondria, L-CPT1 activity (nmole/min/g) in liver homogenate (416±12) wa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in kidney (259±12), M-CPT1 activity (nmole/min/g) in skeletal muscle homogenates were significantly (p<0.001) different between red and white skeletal muscles (RG and WG, 135±12 and 48±5, respectively). M-CPT 1 activity in two adipose tissues homogenate, BAT(388±27) was 20 times higher than WAT(19±4). Mitochondrial L-CPT1 activity (nmole/min/mg) was 1.7-fold higher (P<0.01) in liver (2155±304) than kidney (1293±94). Mitochondrial M-CPT1 activity (nmole/min/mg) in RG (4228±1130) was higher (P<0.05) than in WG (3690±345). M-CPT1 activity (nmole/min/mg) in two adipose tissues (Bat and WAT, 4734±350 and 3294±549, respectiverly) was different (P<0.001)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CPT1 activity was varied greatly depending on different tissue types. It suggests that CPT1 activity must regard to study fat metabolism in various tissues.

      • KCI등재

        우울과 장애수용이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황성혜(Hwang, Seong Hye),임원균(Im, Won Ge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2 재활복지 Vol.16 No.3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disabled person’s acceptance of his/her condition on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due to accident. This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f 224 registered disabled persons in Seongbuk-gu, Seoul,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as a general tendency, experience with social and community services, disabled person’s acceptance of his/her condition and depression were meaningful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due to accident. These results reveal that those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 community services, a low level of disabled person’s acceptance of his/her condition and a high level of depression have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vulnerable to suicidal ideation, and efforts must be made to intervene and assess the risk of suicide. Our recommendation is to retool community services to be more accept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ake actions to prevent depression, implement crisis intervention steps and conduct regular follow-ups on disabled persons due to accident. Policy should reflect the provision of funding for the setting up of a suicide database, increased public campaigns for suicide prevention, and implementation of a dedicated system for systematic intervention under a comprehensive community suicide prevention program for this vulnerable social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과 장애수용이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조사방법은 서울시 성북구 등록장애인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대해 일반적 특성, 장애수용, 우울이 미치는 영향 등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일반적 특성요인 중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이, 장애수용, 우울과 함께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경험이 있고, 장애수용이 낮고 우울수준이 높은 중도장애인이 자살생각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것과 이들에 대한 자살위험 사정과 개입에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도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우울예방 프로그램, 자살예방 프로그램, 위기 개입, 사후관리 등 지역사회 서비스가 필요하고,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자살데이터 구축과 자살예방을 위한 홍보 강화, 자살문제에 대한 지역사회의 체계적인 전담시스템 구축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서비스 질 척도(서브퍼프)의 타당화 연구

        황성혜(Hwang Seong-Hye),김민석(Kim Min-Suk),서인자(Seo In-Ja),김용석(Kim Yong-Seok),최종복(Choi Jong-Bo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2

        본 연구는 서비스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척도인 서브퍼프(SERVPERF)를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 동안 서브퍼프가 일부 국내 연구들에서 사용되어 온 적은 있으나 한국어판 서브퍼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철저한 평가 없이 사용되어왔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이자 대표적인 사회복지현장이라고 할 수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브퍼프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종합복지관 이용자 328명이 참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어판 서브퍼프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5가지 차원(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보증성, 공감성)으로 구성된 척도로 확인되었다. 하위 요인별 내적 신뢰계수의 범위는 0.85~0.94로 각 요인이 동질적인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수렴타당도 평가를 위해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한국어판 서브퍼프는 만족도 척도들과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판별타당도 평가에서는 서브퍼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서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한국어판 서브퍼프의 개념구성타당도가 인정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판 서브퍼프의 5가지 차원은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ERVPERF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order to measure service quality in various kinds of fields including social work. A total of 328 adults using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ERVPERF consists of 5 dimensions(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like the original SERVPERF. 5 dimens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RVPERF have acceptabl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Its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satisfactory. Finally, weak or non-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5 dimens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RVPERF and social desirability scale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reponses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SERVPERF were not affected by social desir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 고신호강도

        진성훈(Sung-Hoon Jin),황성혜(Seong-Hye Hwang),김창현(Chang-Hyun Kim)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98 노인정신의학 Vol.2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노년기 우울증 환자의 뇌자기공명 T2 강조 영상에서의 신호 강도를 분석하여 발병 연령과의 연관성 및 병태생리의 일부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국립의료원 신경정신과 입원 환자중에서 DSM-IV에 의거하여 우울증의 첫 삽화가 50세 이전인 환자군 18명, 50세 이후인 환자군 20명과 성별과 연령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뇌 MRI T2 강조영상에서 신호 강도와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당뇨병, 심전도 이상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결 과:1) 50세 이후 우울증의 첫 삽화가 시작된 환자군에서 백질 고신호 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50세 이전 첫삽화가 시작된 환자군은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경한 고신호 강도는 우울증의 유무와 발병연령에 관계없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나 심한 고신호 강도는 노년기 초발 우울증 환자군에 많았다. 3) 고신호 강도는 연령, 고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관련 있었다(p<0.05). 결 론: 50세 이후 초발한 우울증 환자는 그 전에 초발한 집단에 비해 T2 강조영상에서의 백질 고신호강도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백질의 변성이 노년기에 초발한 우울증의 중요한 생물학적 요인이라는 가설을 지지해 주며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중 연령과 고혈압, 혈중콜레스테롤 농도가 고신호 강도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of onset in late-life depression and T2 hyperintensities observed in the brain MRI, we tried to see part of pathophysiology of late-life depression. Method:The subjects consisted of 18 patients whose first depressive episode occurred before age 50, and 20 patients whose first depressive episode occurred after age 50 years, and 20 agematched controls. Depressive patients were diagnosed according to DSM-IV. Established hyperintensity rating systems were used to analyse the T2 weighted images and blood pressure, cholesterol level, DM, EKG were measur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s. Results:1) Signal hyperintensities on T2 weighted image were more severe in late-life depressive patients whose first depressive episode after age 50 (p<0.05)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hose first episode before age 50 and age-matched control subjects. 2) Mild signal hyperintensities were observed in all elderly depressed patients and control subjects, but severe hyperintensities were observed in late-onset depression. 3) Signal hyperintensities were related to age, hypertension, blood cholesterol level (p<0.05). Conclusion:The late onset depressive patients had more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on T2 weighted image than early onset depressive patients. this results support previous hypothesis that white matter change is the important biological factor of late-onset elderly depression and old age,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may be associated with signal hyperintensities.

      • KCI등재후보

        S구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 연구

        임원균(Won Guen Im),황성혜(Seong Hye Hw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4 스트레스硏究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관련 변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조사방법은 서울시 S구 등록 장애인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중도장애인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자살생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대해 일반적 특성을 통제하고, 일상생활동작, 자살시도경험, 우울이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우울’과 ‘자살시도경험’이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상생활동작’은 중도장애인의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시도경험이 있고, 우울수준이 높은 중도장애인이 자살생각에 취약하므로 자살 및 우울 고위험군을 선별하여 자살시도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auses of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a total of 224 registered disabled persons in S-gu of Seoul were surveyed. The analysis of the suicidal ideation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ose who have ever attempted suicide have more suicidal ideation than those who have not. Howe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daily activities,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without general characteristics un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while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aily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and depression in the past, need more care and support to prevent any future trial of suicide since they are more vulnerable to suicidal ideation.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Methylphenidate의 치료순응도

        김봉석(Bongseog Kim),이정섭(Jeong-Seop Lee),김의정(Eui-Jung Kim),성형모(Hyung-Mo Sung),신윤미(Yun Mi Shin),황성혜(Seong-Hye Hwang),유한익(Hanik K. Yoo)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5 No.2

        Objectives: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reatment duration and adherence of osmotic-controlled release oral delivery system (OROS) methylphenidate for treatment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A total of 843 children with ADHD were recruited : 213 children (25.3%) who had previously taken medications for ADHD and 630 drug-naive children (74.7%) were recruited. The dosage was adjusted according to the clinician’s judgment. The primary efficacy endpoint of this study was treatment retention rate, which was estimated at Week 12 and Week 20 using the Kaplan-Meier curve. The Swanson, Nolan and Pelham-IV (SNAP-IV),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CGI-S), Clinical Global Impression-Improvement, and the side effect rating scale were measured at every visit. Remission rates were presented based on SNAP-IV and CGI-S, respectively. Results:The treatment retention rate at 12 weeks and at 20 weeks was 76.2% and 66.8%, respectively. Divided according to 6?8, 9?11, 12?14 and 15?18 years of age, younger children tended to show a statistically higher treatment retention rate (p=.02). Based on SNAP-IV and CGI scores, children with better response to medication showed tendencies of statistically higher treatment retention rate. The most common adverse events included loss of appetite (7.1%) and insomnia (3.3%). There was no serious adverse event related to the treatment, such as death. Conclusion:The use of OROS methylphenidate for treatment of ADHD was safe and tolerable for children. In this study, lower age and better treatment respon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gher treatment adherence. Boys showed a trend of high treatment adherence. The treatment adherence at 20 weeks was satisfactory, however, the treatment adherence after 20 weeks showed a sharp decrease. Therefore, treatment persistence for six months after the beginning of ADHD treatment is important. In addition, the positive role of psycho-education for children and parents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reatment adherence.

      • KCI등재

        정신과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연천 지역에서 In Yonchon Area of Kyunggi Province

        황성혜,홍진표,권준수,우종인,김중술,조두영,이부영,조맹제,양병국,배재남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본 연구는 농촌지역 정신과 환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여 행하여졌다. 경기도 연천군 주민중 1993년 1년간 지역 의료보험과 의료보호자료에서 정신과적 진단을 받은 사람들 1295명 중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들이 제작한 반구조화된 면담도구를 사용하여 13명의 훈련된 면담자에 의해 증상을 처음 느낀 후 이용한 의료서비스를 차례대로 조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은 정신과 치료만을 받은 경우가 28.8%이며 처음 방문한 의료서비스는 정신과 45%, 일반의 28%, 약국 6%, 한방치료 5%, 요양원 6%, 기타 10%였다. 비정신증적 장애 환자들은 정신과를 한번이라도 이용한 경우는 32.1%였고 처음 방문한 의료서비스는 정신과 15%, 일반의59%,약국 17%, 한방치료8%, 기타1%였다. 진단에 따라서는, 정신분열병의 경우 64.5%가 처음에 정신과를 방문하였고 정동형 정신병의 경우는 20.8%에 불과했고 64.1%가 일반이나 약국을 처음에 방문하였다. 신경증적 장애(ICD-9 300)는 40.0%가 일반의만을 방문했다. 이상의 결과로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대다수가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동형 정신병과 신경증적 장애는 다수가 일반의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에서 일반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일반의에 대한 정신과 교육이 절실하고, 보다 전문적인 치료환경과 기술을 요하는 경우에는 정신과와의 연계 체계의 필요성도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hways of health care seeking by the psychiatric patients at a well - defined rural area in Korea. Among 1,295 patients diagnosed to have mental disorders by ICD-9 in a year, all the psychotic patients(184 in number) and randomly selected 15% of nonpsychotic patients(162 in number)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Thirteen well - trained interviewers collected the data using semi-structurd inter-view instrument developed by the authors. Two hundred nine patients(60.4%) fully responded to the interviews. As for psychotic patients, 28.8% used only psychiatric services, and the first visits for help were psychiatrists, general practitioners, pharmacists, asylums and oriental herb medicine in the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Only 32.1% of nonpsychotic patients used mental health specialties during the course of their illness, and their most common first visits for care were general practitioners(59%) followed by pharmacists(17%) and psychiatrists(15%). Majority(64%) of schizophrenic patient visited psychiatrist first, while 64.1% of affective psychosis patients visited general practitioners and pharmacists first. The forty percent of neurotic patients(ICD-9 300) visited general practitioners only for their health care.

      • KCI등재

        자가공명영상을 이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뇌량 면적 측정

        박홍석,이정섭,황성혜,김창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5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에 뇌량이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초발 및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대조군의 뇌량의 영역을 측정하였다. 방 법 : 국립의료원에 입원한 2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남자 15명, 여자 8명)와 단순 두통 또는 어지럼증을 호소하여 내원한 23명의 외래환자를 대조군으로 하여 뇌자기공명영상을 얻었으며, 남자는 26명, 여자는 20명 이었다. 환자군중 초발군은 13명, 만성군은 10명이었다. 정중시상평면에서 뇌량을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NIH Image 1.6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정중시상평면의 대뇌면적도 구하였다. 이렇게 구한 각 뇌량척도들은 t-tes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ANOVA를 이용하였으며, 이후 대뇌면적을 공변량으로 하여 ANCOVA를 시행하였다. 또한 초발군과 만성환자군, 대조군의 비교는 나이와 대뇌면적을 공변량으로하여 MANCOVA를 시행하였다. 결 과 : 환자군과 대조군 사이의 총뇌량의 평균면적과 각 7부분의 평균면적을 비교한 결과 환자군이 제 3, 제 6 뇌량영역을 제외하곤 대조군에 비해 평균면적이 작은 것으로 나왔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지만 남자환자는 대조군에 비해 작고, 여자환자의 경우에는 큰 것으로 확인됐다. 초발과 만성환자군으로 나누어 대조군과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초발환자군이 만성환자군에 비해 모든 뇌량척도가 작았고, 만성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총뇌량의 평균면적이 컸으나 초발군은 대조군 보다 작았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유의한 뇌량의 형태적 이상을 확인하지는 못했지만 이전 연구들에서도 다양한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정신분열병이 생물학적 및 임상적으로 각기 다른 표현형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로 설명할 수 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rpus callosum is involved in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and measured corpus callosal areas of first episod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controls. Methods : We obtained th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23 schizophrenic inpatients(15 males, 8 females) and 23 controls(11 males, 12 females) with simple headache or dizziness. Among the schizophrenic group, first episode patients were 13, chronic patients were 10. In mid-sagittal plane, the corpus callosum was divided into 7 areas and the cerebral area was measured. This data was analyzed with NIH image 1.60 software. We compared the corpus callosal areas of schizophrenics with controls by t-test and by ANOVA according to sex. Thereafter, ANCOVA was performed with mid-sagittal cerebral area as covariant. Comparison of first episode, chronic schizophrenics and controls was carried out by MANCOVA that was adjusted with age and mid-sagittal cerebra area. Results : The schizophrenics, compared with controls, had smaller corpus callosal areas except for the 3rd, 6th callosal area,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bsent. According to sex, male schizophrenics had insignificantly smaller total callosal areas than male controls and female schizophrenics had larger ones. In comparison of first episode,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and controls, first episode patients had smaller every corpus callosal areas than chronic ones, chronic ones had larger total callosal area than controls and first episode ones had smaller total area than controls, but statistical significances were absent also. Conclusion : Our study did not reveal the structural abnormality of corpus callosum in schizophrenic patients, but many controversi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in other studies. This inter-study inconsistency could be explained by the hypotheses of not only clinical but also biological different phenotypes within the schizophrenia.

      • KCI등재

        의료보험·보호 자료에 표기된 정신과 진단의 진단 정확도 : 경기도 연천지역 자료에서

        황성혜,조맹제,홍진표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6

        본 연구는 의료보험·보호 자료상에 표기된 정신과적 진단의 진단 정확도를 알아봄으로써 그 자료를 향후의 정신보건 연구나 정책설정 과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경기도 연천군에서 1993년 한 해 동안 의료보험공단에 청구된 의료기관 이용자 중 정신과 진단(ICD-9-290-319)을 받은 사람들 중에서 34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들이 제작한 반구조화된 면담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면담을 통하여 얻은 자료를 통하여 연구자들이 ICD-9에 기초한 일치 진단을 얻었다. 연구자들의 진단과 보험자료상 가장 자주 표기된 진단을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분열병성 정신증(Schizophrenic psychoses ; ICD-9 295)은 예민도 0.77 특이도 0.97 kappa치 0.77, 정동성 정신증(Affective psychoses ; ICD-9 296)은 예민도 0.28 특이도 0.94 kappa치 0.27, 신경증적 장애(Neurotic disorders ; ICD-9 300)는 예민도 0.78 특이도 0.73 kappa치 0.40, 알콜의존 증후군(Alcohol dependence syndrome ; ICD-0 303)은 예민도 0.46 특이도 0.99 kappa치 0.57, 다른 곳에 분류되지 않은 특수 증상 혹은 증후군(Special symptoms or syndromes not elsewhere classified ; ICD-9 307)는 예민도 0.47 특이도 0.94 kappa 0.39였고 전체 kappa치는 0.46이었다. 결론적으로, 전체 kappa치는 0.46으로 비교적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나 특히 정동성 정신증(Affective psychoses)의 진단에 있어서 진단의 정확도가 떨어졌다. 그 원인으로는 비정신과의사의 우울장애 인지율 저조, ICD-9 진단분류상의 모호함 등을 들 수 있다. 그 개선방안으로는 일차진료를 맡게 되는 비정신과의사들에게 정신보건에서 중요한 질환과 분류체계에 대한 교육, 특히 우울증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며 간단한 자기보고형의 선별검사들이 우울증의 인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psychiatric diagnoses described in medical security records. Method : Using medical security records in Yonchon in 1993, 346 patients with psychiatric diagnoses(ICD-9 290-319) were sampled for the study. 13 trained interviewers visited the patients' home and 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made by the authors. 13 interviewers consisted of public health doctors, social worker, nurses, psychiatric residents and psychiatrist. On each interview data of the sample patients, consensus diagnoses were made by the authors according to ICD-9 and DSM-Ⅲ-R criteria. Result : Sensitivity, specificity and kappa value of Schizophrenic psychoses(ICD-9 295) were 0.77, 0.97 and 0.77, respectively. Those of Affective psychoses(ICD-9 296) were 0.28, 0.94 and 0.27, respectively. Those of Neurotic disorders(ICD-9 300) were 0.78, 0.73 and 0.40, respectively. Those of Alcohol dependence syndrome(ICD-9 303) were 0.46, 0.99 and 0.57, respectively. Those of Special symptoms and syndromes not elsewhere classified(ICD-9 307) were 0.47, 0.94 and 0.39, respectively. Overall kappa value was 0.46. Conclusion : Overall kappa value was moderately acceptable. But the diagnostic accuracy of Affective psychoses was very low. It may be due to low recognition rate of depression by primary care physicians, and the obscurity of ICD-9 classification for mood disorders. Psychiatric education for primary care physicians an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for screening test will be needed to improve the diagnostic accu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