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基于中文语料库的中韩词典的词汇释义正确性研究 ― 以D3区的词汇为例

        황설운,백종인 대한중국학회 2018 중국학 Vol.64 No.-

        As an interest in the Chinese language, culture, society, and economy increases in Korea, a large amount of spoken and written narrative texts in Chinese are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occupational areas. During the interaction process between the Chinese and Korean cultures, many difficulties can arise in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of Chinese vocabulary.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is an essential search tool for Koreans who wish to look up the definitions of Chinese texts.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when compiling a Chinese-Korean dictionary for native Korean speakers or those who study Chines through Korean: which vocabulary must be included, how to arrange them, how to select and explain their definitions and examples, etc. Among the vocabulary listed in the Chinese-Korean dictionary, this study analyzed the definitions of those that appeared less than 10 times in the Chinese corpus, and focused on determining the propriety of the vocabulary selections, as well as the accuracy of their definitions. Moreover, this study is the third study of section D and focused on the vocabularies included in D3 for our analysis. 中国的语言、文化、社会、经济等各领域都受到了韩国各界的关注。在一些专业领域和日常生活中,都会接触到一些口语以及书面语的中文文本。在各种中韩交流的场合中,能正确得掌握汉语词汇的释义并非一件易事。中韩词典是韩国人在理解中文文本以及用汉语表述的过程中必不可少的检索工具。针对以韩语为母语或将韩语作为工具语言的中韩词典使用者而编著的词典中,“要收录哪些词汇;如何进行排列;怎样提取词汇的释义;怎样确保韩文释义的正确性;该如何给予恰当的例句” 等一系列的问题应逐一解决。本文将收录于中韩词典的所有词条在中国语料库里进行检索,将出现频度低于10的词条作为分析对象。本研究将重心放在低频词汇的韩文释义正确性以及词汇收录的妥当性上,研究范围是中韩词典的D3领域。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민족지학적 문화 학습 활동의 설계

        황설운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6 한어문교육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ultural learning activity that coincid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the use of research methods adapted from ethnography and phenomenology. From the ethnographic aspect, cultural learners can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ulture through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target cultural group. By doing so, the academic Korean language learners take on the role of researchers of the Korean culture. From the phenomenological aspect, the ethnographic activity provides learners with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daily activities of the target culture for study purposes. Through the activity, the learners will be able to learn “something” from the group members of the target culture, and the essence of that “something” is consisted of what they acquired through the progres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explaining what they have learned throughout the experience. As researchers of the Korean culture, the academic learners will not only acquire the cultural knowledge of Korea, but also the behavioral patterns as well as the different customs of the Korean norm. Furthermore, these learners, as intercultural communicators, will become competent to accurately recognize, compare, and understand different social context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intercultural communications by conveying messages appropriately.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항목 선정 연구

        황설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1

        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문화간 의사소통 주체자로서 꼭 갖추어야 할 능력은 ‘한국어 능력’과 ‘문화 능력’의 두 가지로 보고자 한다. 이들이 대학 학업 수행 및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은 한국어 능력이나 문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들은 ‘강의 듣기, 보고서 작성하기, 발표하기, 학술적 어휘, 전공 어휘 등’ 전공 학습과 학문적 연구에 필요한 한국어 능력에만 중심을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대학에 입학한 후에 직면하게 된 ‘한국 대학에서의 수강 스타일, 교우, 선·후배, 교수와의 관계 등’이 이들에게는 낯설고 다가가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 즉 학습자들이 원활한 대학생활과 일상생활을 하는 데에 있어 문화 능력이 절실하다. 이들이 필요한 일정 수준의 문화 능력에 미달한 상태로 입학한다면 학업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조차 번거로운 일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만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국어 능력과 등가적으로 존재한 문화 능력을 같이 함양할 수 있게끔 교육해야 한다. 본고는 학습자들이 대학생으로서 겪게 되는 실제적 의사소통 상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화교육 항목을 선정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culture education contents aiming at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during their college lives. Most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n colleges have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ve intermediate or advanced Korean language abilities. To solve a such problem, many of the preceding researches focused on foreign students’ language abilities focusing on lecture listening, presenting, and writing reports. Although these language abilities can be a source of difficulties in their college lives both academically and socially, lack of cultural competence may also be the reason. Secondly, although there is an urgent need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improve their cultural competence, cultur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almost never exists. Most studies on cultural education are for learners with a general purpose of learning the language, immigrant women, or those with Korean heritages. This study aims to design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with much more realistic communicative situation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enter Korean colleges.

      • KCI등재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일고찰 -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를 중심으로 -

        지현숙,황설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4

        지현숙․황설운, 2018.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80 : 375~398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들이 어떠한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을 구사하는지를 도시언어담론에 의거하여 살피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응용언어학 연구와 도시언어담론의 횡단언어학이 개진하고 있는 전략의 개념을 비교·고찰하고 외국인 유학생, 한국인 학생과 교수, 외국어 교수자 등이 생산한 발화와 SNS 대화 등의 언어 자원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 내 대학은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접촉하고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바뀌고 있으며 창의적인 상호작용 전략들이 구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필자는 도시언어 상호작용 전략을 ‘넘어가기, 텍스트화, 재맥락화, 언어 이동, 언어 변환’으로 나눈 후 참여관찰법을 통해 그 구체적 양상들을 분석하여 해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한국언어문화교육은 어떻게 방향 전환을 해야 하는가를 모색하여 제안하였다. 본고는 다중언어시대에 부합하는 도시언어담론을 심화하고 접촉지대, 횡단언어, 상호작용 전략에 관한 연구자적 관심을 생성하며 대학 공간 내 대화참여자들이 생산한 언어 자원들을 실증적으로 보고한 것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which kind of interaction strategies that dialogue participants existing in the university space in Korea are using based on urban language discourse. To this end, the author of this study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strategy that existing applied linguistics studies and metrolingualism have introduced, and collected and analyzed discourse and SNS dialogue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Korean professors, and foreign language instru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versities in Korea are transforming into a space where various languages and cultures come into contac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at new and creative interaction strategies are being employed. Based on this analysis, the author determined and suggested ways to chang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holds a primary significance in that it has deepened the urban language discourse that is in conformity with the multi-lingual era and stoked the researcher’s interest in contact zones, trans-linguistics, interaction strategy, and so on.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iewed the linguistic identity of speakers whose as creative communicators as well as open and active culture enjoyers, and that it empirically reported the language resources such community members produce.

      • Tandem 학습을 통한 한·중 상호문화 교육 사례 연구

        황설운 ( Huang-xueyu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한국 국내 대학이라는 교육 환경에서 Tandem 학습법을 적용하여 한국인 학생과 중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중 상호문화 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상호문화 교육 모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한·중 교류 학습 활동은 교내 한국인 대학생들과 중국인 대학생들에게 서로 교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이들의 상호문화 능력을 제고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는다. 외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학생이 모문화와 목표문화의 접촉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상호 문화 소통을 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 설계한 한·중 문화교류 학습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목표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목표언어, 목표문화를 학습하는 능률성과 지속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교수의 일방적 강의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소규모 집단 협동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상호 학습을 통한 상호작용이 증대되고, 이는 학생들에게 균등한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양국 학생들의 문화 교류 상황을 고려하여 한·중 교류 학습 활동을 ‘비교과 한·중 문화 교환 학습 프로그램’과 ‘한·중 문화 교양 교과목 팀티칭’을 시범 운영하였다. 이 두 유형의 문화 교류 학습 활동의 과정, 학생들의 만족도 등을 전체적으로 볼 때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를 토대로 ‘독립형’과 ‘연계형’ 두 가지 한·중 상호문화 교육 모형을 설계하였다. 한·중 교류 활동을 통한 문화 학습 방식은 상대방과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해에서 비롯되는 갈등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자율적인 방식에 의한 학습 능력의 향상은 학생들의 자신감으로 연결되어 학과 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양국 학생들이 대학이라는 공동체 안에서 교류가 지속적으로 확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design intercultural education through tandem language learning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and then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education case to deduce implication for design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s. The Korean-Chinese cultural exchange learning is to provide Korean and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domestic universities with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o further develop their intercultural and at the same time enhancing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Hence, cultural education as a part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hich occurs in situations when the student’s native culture contacts with the target culture. Korean-Chinese intercultural education designed in this study can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by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cultures and increase efficiency and continuity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In addition, since the learning process moves from one-sided lecture type to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interaction increases through mutual learning and thus, students can be provided with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In this study, considering situations of intercultural learning, three intercultural education programs were designed and executed during a test operation. Overall, in the three programs, the students’ satisfaction rate and other parameters proved to be very successful at the pilot stage. Based on this, two typ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activity models were designed which are ‘independent type’ and ‘connected type’ activities. Teaching culture through tandem learning helps to decrease the amount of conflicts resulting from misunderstandings, because direct communication takes place between the two parties.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y through autonomous activities is connected to students’ confidence and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department. The exchange between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inside the community, which is a university, will continue to expand.

      • KCI등재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 ‘선행연구 검토’ 부분을 중심으로 -

        전미화,황설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7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1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이 작성한 학위논문에서 선행연구 검토 부분의 내용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 20편에서 선행연구 검토의 내용 구조를 살피고 검토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선행연구에 대한 요약은 빠짐없이 기술하였으나 선행연구 검토 부분을 시작하거나 마무리 짓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적절하게 요약 및 평가하지 못하고 선행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논리적으로 기술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실패하고 있었다. 이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학위논문 쓰기 장르에 대한 이해와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설명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 검토 부분의 장르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각 단계에 필요한 연습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literature review in dissertation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in 20 dissertation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issues that arose during this process.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all of the students included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in their dissertations, but found it difficult to write the introduction or the conclusion of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the dissertation. Students also failed to logically prove the significance and present direction of their research because they could not properly summarize or evaluate previous studies and could not assess the significance or the critical points of said studies. This suggest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ssertation as a form of writing and an inability to critically consider and assess the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basic education on the genre of the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opportunities to practice every step of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