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舊韓末 農民紛爭의 背景硏究

        黃善嬉 상명대학교 논문집 1984 상명대학교논문집 Vol.14 No.-

        If the tenancy dispute at the age of Japanese imperialism is to be regarded as an antiimperialistic movement of modern peasants', its origin can be pursued out from the dispute of the land ownership at the end of the Yi Dynasty. Generally speaking, the peasant' dispute broke out almost in the form of spontaneity and locality. Their land ownership dispute at that time also arose from the protesting movement against the land-taxation which had been continued since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Yi dynasty. While the peasants' social position was radically specialized and their way of thinking was also actively advancing, the external factors like the policy of the government against their requests stimulated them to disbelieve its management and to induce the anti-government movement. And their dispute resulted even in that of the land ownership. The peasant' dispute of the nineteenth century which developed into the social movement of the anti-feudalism brought about the loyal soldiers' participation, the land owenrship dispute, the tenancy dispute, and the national movement of independence. For the purpose of reorganizing the course of the above mentioned, this thesis aims at the gradual and structural analysis of the system of the land owners and the background of the peasant' dispute, in the course of which few questions are needed (to answer) in order to synthesize this treatise. How had the peasant' disputes changed and developed from the protesting movement against the land taxation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How was it possible that the peasants' internal abilities, that is, their basic rights and their senses which enabled them to continue the above mentioned disputes? What kinds of policy did the government execute to cope with the continuous disputes of peasants', for instances, the protesting movement against the land taxation the revolt of the people, and the dispute of the land ownership? Why were the peasant' disputes inevitably intensified in spite of the governmental efforts of settling them?

      • KCI등재

        동학농민혁명운동의 발상지와 무장봉기

        황선희 동학학회 2004 동학학보 Vol.8 No.-

        갑오동학농민혁명운동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동학의 후 천개벽사상이 갖는 궁극의 목표와 이것의 실현 방법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최시형의 단계에 이르면 동학사상은 도덕지상주의적인 종교성과 인본주의 사회사상을 아우르며 근대적 인본주의의 성격을 강화하게 된다. 이러한 근대적 성격은 갑오동학농민혁명운동을 전국 적으로 확대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갑오동학농민혁명이 고부 에서 시작한 것은 이 지역의 높은 생산성과 이에 따른 탐학에 있었 다. 고부농민봉기에 대한 탄압으로 봉기는 무장 지역으로 확대되었으 며, 이는 전라도 일대로 퍼져나갔다. 봉기가 확산될 수 있었던 것은 이 지역의 동학 조직과 지역 특유의 반골 정신에 기인한 바 크다. 이 들이 포고한 창의문은 전통적인 유교의 가치관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농민과 동학교도의 광범위한 호응을 얻었다. 이후 봉기가 발전하면서 동학농민군은 봉건적 신분제 폐지와 부패한 집권세력 응징을 통한 새 로운 정치질서 구현이라는 목표를 선언한다. 또한 이들은 삼정문란으 로 인한 경제문제의 해결에 주력하였다. 이는 곧 동학의 인본주의적 후천개벽사상이 구체화된 것이었다. 이러한 봉기의 전개과정은 근대 적 민중의식의 성장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To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meaning of Donghak peasant movement, we have to begin with Donghak's messianic reformist idea and its way of actualization. Choi Sihyeong developed Donghak containing human social idea as well as moral religious idea. Such modernity made Donghak peasantry movement spread nation-wide. It began in Kobu because of Kobu's high productivity and also worst corruption in this area. Suppression on Kobu peasantry rebellion widened uprising into Mujang area and into all Cholla Province. Donghak organization and revolt nature of people in this area were base of such phenomenon. Leaders of this movement declared a manifesto which emphasized traditional confucian value. This did appeal to peasants and Donghak believers. Then they pronounced next goal-new political order actualized by abolition of feudal caste and overthrow of corrupted govern class. They made effort to resolve the economic problem caused by inequal taxation. This effort was realization of Donghak's messianic reformist idea. And the development of uprising shows the growth of idea of modern peoples right.

      • KCI등재후보

        프로스테틱 특수분장 상처슬랩 제작에 관한 연구 -실리콘 슬랩과 3D트랜스퍼 슬랩 기술 비교를 중심으로-

        황선희,유진우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9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9 No.2

        본 논문은 특수분장의 본고장 할리우드에서 변화하고 있는 특수분장 시장에 대해서 알고, 현재 가장 많은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3D트랜스퍼 슬랩 제작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리콘을 활용한 슬랩 제작과정과 본도(TPA:thickened Pros-Aide)를 활용한 3D트랜스퍼 슬랩 제작과정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비교하였으며, 세부적인 연구과정으로는 첫째, 프로스테틱 특수분장과 현재 할리우드의 특수분장 발전과정에 대해 특수분장 전문서적을 통해 문헌 고찰 하였다. 둘째, 현재 가장 전문적이라고 인정받는 특수분장 전문잡지 2권을 선정하여,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3D트랜스퍼 기술을 활용한 상처슬랩과 실리콘으로 캐스팅한 상처슬랩 기술제작과정을 비교한다. 셋째, 두 가지 기술의 과정을 통하여 장, 단점을 조사하고 장단점을 토대로 각 기술이 접목될 수 있는 상처슬랩을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보완점을 제시한다. 특수분장 분야는 창의적이고 주관적인 생각이 접목되는 분야이기도 하지만, 모든 과정에서 꼭 지켜야할 기본적인 과정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기술 연구방법을 제시하는 논문들이 지속적으로 나온다면 현직에서 활동 중인 분장 전문가들 뿐 아니라 분장을 배우고자하는 학생들에게도 올바른 특수분장 기술이 습득되리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뷰티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라포르에 미치는 영향

        황선희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2

        오늘날 현대인들에게는 외모가 경쟁력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개인의 소득수준 향상과 새로운 소비 트렌드의 추구로 인해 뷰티산업의 발달은 점차 세분화와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뷰티산업은 고객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기술과 서비스가 제공되기에 인적자원의 관리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어 구성원 개개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뷰티산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에 대한 몰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뷰티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라포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이를 위해 본 조사는 2023년 4월 7일부터 4월 27일까지 전국에 근무하는 뷰티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262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뷰티산업 서비스 조직과 라포르에 의한 차별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조직몰입, 라포르의 차이 분석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있어 남자가 여자보다 직무만족, 조직몰입, 라포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50대 이상이거나,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조직몰입, 라포르를 높게 자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뷰티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라포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라포르의 하위요인 중 친밀감에 업무 만족과 동료 만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급여 만족은 부의 유의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라포르의 하위요인 중 유대감 역시 업무 만족과 동료 만족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급여 만족이 부의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뷰티산업 종사자의 조직몰입이 라포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라포르의 하위요인 중 친밀감에는 자부심과 소속감이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애착심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뷰티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라포르에 대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별, 연령, 학력, 근무 형태에 따라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라포르가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조사 대상자 중 남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비교가 수행하기 어려워 이러한 제한점으로 인해 향후 연구에서는 더 확장된 표본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른 비교 분석을 신뢰할 수 있도록 수행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조직몰입, 그리고 라포르가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조직 내 직급과 뷰티산업 종사자들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뷰티 관련 교육기관에서는 조직행동, 리더쉽, 인간관계 관련 교육과정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beauty industry is an active market that is growing every year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echnology, the expansion of the cosmetics industry,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beauty industry, and accordingly,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s inevitably increasing. Due to this competition, workers in the beauty industry have to make greater efforts to provide higher service quality, and are reporting higher turnover rates than other industries in connection with various factors. Based on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ifferentiated and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methods by beauty industry service organizations and rapport. As a result of the study, since workers in the beauty industry are mainly in the service industry with their own skills, it can be seen that the longer the work experience, the higher the age and average monthly salary naturally,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beauty industry workers in their 50s,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more career and experience than those in their 20s, so they have a higher understanding of the organization and a higher empathy for the value of the organization,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looks crazy. In addition,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the higher th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helpful in fulfilling the role within the organization.

      • KCI등재

        사이키델릭 아트 특성을 적용한 아트마스크 융합디자인 -빅터 모스코스 작품을 중심으로-

        황선희,최진은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art mask in a new art form by suggesting the art-mask convergence design that is a field of creative artwork in the beauty industry. A research method was categorized rock poster designer Victor Moscoso's works as the representative sphere of psychedelic art into illusionism, play and mysticism and was elicited featur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After this, “Light” was expressed in the art-mask works that Victor Moscoso aimed to manifest in rock poster by having the classified works as a motive. To represent the image of light more intuitively in the expression method, the art mask with fewer restrictions on the expression technique was used. As a result, to express a visual change due to color and light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illusionism, Work 1 used UV fluorescent paint and black light. Even the color composition was maximized the light-based optical illusion by arranging complementary colors. To manifest emphasis and distortion among motive features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lay, Work 2 made the design with the stress on a rhythmic sense through distortion of shape. The use of the marbling paint brought about having maximized the Op art image, which highlighted a curve form of chance. To represent splendid color and dreamy fantasy as mysticism, Work 3 used pearls that create various colors depending on the angle. The color composition was also expressed the strong psychedelic image by applying the complementary contrast. 본 연구는 뷰티산업 분야 중 창의적 예술작품의 한 분야인 아트메이크업 융합디자인을 제안함으로써 아트메이크업이 새로운 예술형태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사이키델릭 아트의 대표분야인 록 포스터 디자이너 빅터 모스코소의 작품을 착시성, 유희성 신비성으로 분류하고, 특성 분류에 따라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후 분류한 작품을 모티브로 빅터 모스코스가 록 포스터에 표현하고자 한 “빛(Light)”을 아트메이크업 작품에 표현하였으며, 표현방법에 있어 빛의 이미지를 더욱 직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표현기법에 제한이 적은 아트마스크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작품1은 착시성의 미적특성으로 색과 빛에 의한 시각변화를 표현하기 위하여 UV형광물감과 블랙라이트를 사용했으며, 색채구성 또한 보색관계의 색을 배열하여 빛에 의한 착시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작품2는 유희성의 미적특성으로 모티브의 특징 중 강조, 왜곡을 표현하고자 형태왜곡을 통한 리듬감을 강조한 디자인을 하였으며, 마블링 물감을 사용함으로써 우연의 곡선 형태를 강조한 옵아트 이미지를 극대화하였다. 작품3은 신비성으로 화려한 색채와 몽환적 환타지를 표현하고자 각도에 따라 다양한 빛깔을 연출하는 펄을 사용하였으며, 색채구성 또한 보색대비를 활용하여 강렬한 사이키델릭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연구 결과, 원색의 보색을 활용한 동시대비효과, 형광물질을 활용한 색채 착시효과, 다양한 펄의 질감과 펄을 비추는 빛의 각도를 응용한 몽환적 환타지 표현은 아트메이크업 작품표현 시 사이키델릭 아트만의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특성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사이키델릭 아트를 색채구성과 불규칙적인 형태 디자인으로 잡은 것 외, 얼굴의 굴곡과 같은 아트마스크 위에 이목구비 표현을 위한 디자인을 접목함으로써 사이키델릭 미적특성인 착시성, 유희성, 신비성 표현에 있어 좀 더 독창적인 디자인을 모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아트메이크업이 예술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영역으로 전문화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메타휴먼 크리에이터와 디지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3D캐릭터 디자인 연구

        황선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4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5 No.1

        In an era where AI image generators are being integrated across various artistic domains, there is a need for a directional shift in character design in the beauty education field to align with the current trends. The graphic tools currently in use often face limitations in achieving a refined expression when artistic sensibility and expression techniques are lacking. This study proposes the character design education method enabling an intuitive and fast process as the tools that realistically mimic human behavior and appearance. This implies that anyone with the ability to analyze scenarios can create characters with a sense of realism. This study selects the main characters of Jean Valjean, Fantine, Javert, and Cosette from Les Misérables, one of the world's four major musicals, and develops the character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ly, personality analysis of the characters is conducted through scenario analysis. Next, 3D character design utilizing meta-human creators is executed based on detailed character descriptions. Thirdly, designs are finely adjusted using Photoshop, and Photoshop AI is used to stage backgrounds fitting the era of the play, maximizing the character images. The proposed approach in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high-quality character designs in the beauty education field through various methods, enabling students to enhance their analytical skills without investing significant time in learning tool usage, thereby fostering them to fulfill genuine planner roles.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시집 읽기를 위한 시론 ­―『시를 쓰는 이유』와 『9+i』를 중심으로

        황선희 돈암어문학회 2024 돈암어문학 Vol.45 No.-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의 시집 읽기가 어떠한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 두 권의 인공지능 시집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생성형 인공지능 언어모델인 ChatGPT가 공개되고 널리 사용되면서 인공지능과 글쓰기에 대한 고찰은 더욱 첨예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국내에서 출간된 두 권의 시집 『시를 쓰는 이유』와 『9+i』는 주목을 요한다. 2022년 발행된 이 두 권의 시집을 두고 여러 연구자들이 형성한 담론은 인공지능 시대에 시가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 질문을 던지게 한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두 권의 시집과 그것을 둘러싼 여러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인공지능 시집의 출간은 우리가 오랫동안 당연하다고 여겨 왔던, 시와 시 언어에 대한 고정관념들을 하나하나 다시 들여다볼 수 있게 만드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시와 문학, 예술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원래부터 그리고 앞으로도 끊임없이 변화를 통해 존속할 것이다. 인공지능 담론의 파급력이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알 수 없지만, 그것이 시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성찰의 기회를 마련하는 것은 사실이다. 인공지능 시집의 가능성과 한계를 균형 있게 점검해 보고 시란 무엇인가, 시의 언어란 무엇인가 등 다양한 질문을 던질 때 비로소 인공지능 시대의 시 읽기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의미화할 수 있다. 둘째, 우리는 인공지능 기술과 협업함으로써 새롭게 얽혀드는 저자-지각자 개념을 구축하고 확장해 나갈 수 있다. 그러한 시도의 결과가 어떻든 간에 지금으로서는 보다 다양한 시도를 해 보아야 할 것이다. 인공지능 시집 출간은 시적 주체 개념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폭을 확장하고, 인공지능 시집을 기존의 시론만으로 읽어낼 수 없는 장(場)으로 의미화한다. 지나친 낙관이나 비관을 경계하면서, 이미 다가온 현실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여러 각도에서 조망하면서 우리가 할 수 있는 고민을 하는 데 역량을 모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reading poetr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examining two volumes of poetry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advent of the generative AI language model, ChatGPT, and its widespread use have heightened scholarly reflections on the inters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riting. Within this context, two volumes of poetry from South Korea, namely "The Reason for Writing Poetry" and "9+i," have garnered notable attention. The discourse formulated by various researchers around these volumes, published in 2022, is significant in prompting inquiries into the potential significance of poetr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two AI-generated poetry volumes and the diverse responses they have elicited, this study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release of AI-generated poetry provides an impetus for reevaluating long-held assumptions about poetry and its linguistic constructs. Poetry, literature, and art are dynamic entities that undergo continual transformation. While the longevity of the impact of AI discourse remains uncertain, it presents an opportunity for scholars to engage in multifaceted reflections. A balanced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I-generated poetry, along with posing diverse inquiries about the nature of poetry and its language, contributes to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poetry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ly, collaboration with AI technology allows for the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author-reader relationship in novel ways. Regardless of the outcomes of such endeavors, there is a necessity to explore various approaches. The publication of AI-generated poetry extends the discourse on the concept of poetic subjectivity and imbues AI-generated poetry with significance as a space that transcends interpretation solely through conventional poetic discourse. While cautioning against undue optimism or pessimism, cultivating the capacity to contemplate present realities and forthcoming futures from diverse perspectives is deemed essential.

      • 동학·천도교의 민족 운동 연구 동향과 전망

        황선희 한국동학학회 2001 동학연구 Vol.8 No.-

        동학ㆍ천도교의 근대민족운동은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동범위를 확대하면서 더욱 적극성을 보여주었다. 민중이 주도한 근대민족운동의 여명기에 있었던 갑오동학농민운동이나 일제강점기의 항일독립운동에서 드러난 동학ㆍ천도교 운동의 근대적 상징성은 의미가 크다. 그리하여 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시도하여 많은 연구성과를 모아 왔으나 한계로 지적할 것은 동학ㆍ천도교의 활동 목적에만 주목한 나머지 원인적 저력이 어디에 있었는가하는 근본적인 문제를 간과하였다. 또한 동학ㆍ천도교에서 전개한 민족운동 중에서 갑오동학농민운동에만 집착한 나머지 연구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1900년대의 갑진혁신운동, 1910년대의 3ㆍ1운동, 1920년대의 문화운동, 1930년 이후의 민족통일전선운동에서 천도교의 역할이 컸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성과는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다. 다만 20세기 전반에 있었던 항일독립운동의 일환에서 부분적으로 언급되고 있을 뿐이다. 천도교의 민족운동이 일반 지식층에 긍정적으로 인식될 수 있었던 근본대적 사회실천사상으로서의 성격규명이 병행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필자는 동학ㆍ천도교의 민족운동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의미부여를 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점검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발전적으로 전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