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강 하구역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황선도,노진구,Hwang, Sun-Do,Rhow, Jin-Goo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2

        한강 하구의 기수역에서 유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2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강화 석모 수로에 설치된 연안개량안강망 1틀을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유영생물을 수집하였다. 채집된 유영생물은 총 86종으로 그중 어류가 54종으로 가장 많았고, 새우류 16종, 게류 등의 갑각류 12종, 두족류 3종 그리고 1종의 해 파리가 출현하였다. 전체 유영생물 중 밀새우(Palaeman carinicauda)가 10회 출현에 개체수로 32.6%로 최고 우점 하였으며, 젓새우(Acetes japonicus) 15.9%,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9.9%,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 7.7%, 중국젓새우(Acetes chinensis) 6.9%로 이들 갑각류 5종이 총 개체수의 73.0%를 차지하였다. 한강 하구역 유영생물 군집구조는 봄과 가을에 개체수와 양적으로 번성하였고 높은 다양성을 보이는 전형적인 온대 해역의 특징을 보였다. 우점종을 서식처에 따라 구분하면, 웅어(Coilia nasus),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숭어(Mugil cephalus)와 풀망둑(Synechogobius hasta), 오셀망둑(Lophiogobius ocellicauda), 아작망둑(Tridentiger barbatus), 밀새우, 그라비새우는 기수성 주거종으로, 싱어(Coilia mystus), 풀반지(Thryssa hamiltonii), 풀반댕이(Thryssa adelae), 밴댕이(Sardinella zunasi), 멸치(Engraulis japonicus) 등의 청어목 어류와 꽃게, 젓새우 그리고 황강달이(Collichthys lucidus), 병어(Pampus argenteus) 등은 연안 회유종으로, 뱀장어(Anguila japonica)는 왕복성 어류로 분류된다. 한강 하구의 경우, 기수성 어종이 우점하고, 펄을 서식처로 이용하는 새우류가 어류보다 양적으로 우세하며, 주둥치와 같이 환경이 악화된 해역에 서식하는 종이 채집되지 않음으로써 자연 하구의 생태계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in the Han River estuary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near Ganghwa Island by a bag net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Total number of species was 86: 54 species of fishes, 16 species of shrimps of crustacean, 12 species of other crustacean such as craps and so on, 3 species of cephalopods and 1 species of jellyfish. Of a total of 86 species, Palaeman carinicauda (32.6%), Acetes japonicus (15.9%), Palaemon gravieri (9.9%), Portunus trituberculatus (7.7%) and Acetes chinensis (6.9%)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These 5 crustacean accounted for 73% of total. Abundance, biomass and diversity of Han River estuarine fauna were high in spring and autumn, indicating typical pattern of temperate area. Out of dominant species, the brackish residence species such as Coilia nasus, Chelon haematocheilus, Mugil cephalus, Synechogobius hasta, Lophiogobius ocellicauda, Tridentiger barbatus, Palaeman carinicauda, Palaemon gravieri were collected almost year-round and predominated in abundance. Coastal migratory fauna species such as Coilia mystus, Thryssa hamiltonii, Thryssa adelae, Sardinella zunasi, Engraulis japonicus, Portunus trituberculatus, Acetes japonicus, Collichthys lucidus, Pampus argenteus were most plentiful from spring through autumn. Their adult coastal migratory entered the estuary in spring and large numbers of their juveniles were grew in summer and autumn until moving out to deeper waters for over-wintering, indicating they use estuary as nursing ground. Diadromous fish such as Anguila japonica adults were collected in autumn during their downstream migration. Brackish fauna and crustacean, especially shrimps were predominant, and few contaminant indicator species collected in the Han River estuary, indicating this area mai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estuary ecosystem.

      • KCI등재

        서해 하구역과 연안역 유영생물의 군집구조 비교

        황선도,이우주,임양재,Hwang, Sun-Do,Lee, Woo-Joo,Im, Yang-Jae 한국해양학회 2012 바다 Vol.17 No.3

        서해안 연안역과 하구역의 유영생물의 종조성 변동을 파악하고, 두 해역간의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0년 3월~12월의 대조기에 하구역인 강화도과 연안역인 장봉도에서 주목망으로 24시간 동안 어획된 유영생물을 수집하였다. 유영생물의 군집구조는 해역별, 월별, 분류군별 양적 차이를 보였으며, 유영생물의 종다양도는 연안역보다 하구역에서 낮았으나, 생산력은 하구역에서 더 높았다. 강화도 주변 하구역에서는 싱어, 가숭어, 황강달이가 연안역에서 보다 많은 양이 빈번히 출현하여 기수종이 우세하였고, 연안역인 장봉도 주변 해역에서는 해양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청멸, 밴댕이, 꽃게가 하구역에서 보다 많은 양이 자주 출현함으로써 유영생물이 서식처에 따라 공간적 분포를 달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라비새우, 밀새우, 풀망둑 등은 연안역과 하구역에서 양적으로나 출현 횟수가 비슷하여 하구와 연안을 왕래하는 종으로 판단된다. 하구 생태계의 건강성을 과학에 근거하여 평가함은 하구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o elucidate the species compositions of estuarine and inshore fauna and compare productivities between them, catch were collected by bag nets in the Han River estuary off Ganghwa Island and the inshore waters off Jangbong Island for 24 hours at the spring tide from March to December 2010. Community structures of nekton assemblages were different with area, month, taxonomic groups. Although the diversity of estuarine nekton assemblage was lower than that of inshore nekton assemblage, the productivity of nekton assemblage in estuary was higher than that in the inshore waters. Nekton assemblages were distributed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the estuarine species, Coilia mystus, Chelon haematocheilus, Collichthys lucidus were prominent in the Han River estuary off Ganghwa Island, and marine species, Thryssa kammalensis, Sardinella zunasi, Portunus trituberculatus were prominent in the inshore waters off Jangbong Island. Palaemon gravieri, Exopalaemon carinicauda, Synechogobius hasta were inhabited in both waters. The health assessment of estuarine ecosystem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will be contributed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estuary with determination of order and direction in policy.

      • KCI등재

        한강 하구역 강화 갯벌 조간대 건간망에 어획된 유영생물 군집구조

        황선도,노진구,이선미,박지영,학진,임양재,Hwang, Sun-Do,Rhow, Jin-Goo,Lee, Sun-Mi,Park, Ji-Young,Hwang, Hak-Jin,Im, Yang-Jae 한국해양학회 2010 바다 Vol.15 No.4

        한강 하구의 강화 갯벌 조간대에서 유영생물의 종조성을 파악하기 위히여 2009년 4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회 강화 석모수로 조간대에 설치된 건간망에 어획된 유영생물을 수집 분석하였다. 채집된 유영생물은 총 57종으로 그 중 어류가 34종으로 가장 많았고, 갑각류 20종, 두족류 2종 그리고 1종의 해파리가 출현하였다. 종조성은 봄과 가을에 다양한 종들이 출현하였으며, 양적으로는 가을에 많았다. 총 어획물중 꽃게 (Portunus trituberculatus)가 전체 개체수의 57.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7.1 %, 황강달이 (Collichthys lucidus) 7.0%, 무늬발게(Hemigrapsus sanguineus) 6.2%, 밀새우(Exopalaemon carinicauda) 4.7% 순으로 우점하였다. 우점종 중 가숭어(Chelon haematocheilus), 풀망둑(Synechogobius hasta), 웅어 (Coilia nasus), 그라비새우, 밀새우 등은 기수성 주거종이었으며, 꽃게, 황강달이, 숭어 (Mugil cephalus),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등은 하구를 보육 및 성육장으로 이용하는 연안 회유종이었다. 그 외 양적으로는 적지만 황복(Takifugu obscurus), 참게(Eriocheir sinensis), 뱀장어 (Anguilla japonica) 등의 왕복 회유종과 붕어(Carassius auratus) 등의 담수종도 출현하였다.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estuarine fauna in the Han River estuary was determined by analyz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on the intertidal flat of Ganghwa Island by a fence net from April to December 2009. Total number of species was 57: 34 species of fishes, 20 species of crustacean, 2 species of cephalopods and 1 species of jellyfish. Of a total of 57 species, Portunus trituberculatus (57.2%), Palaemon gravieri (7.1%), Collichthys lucidus (7.0%), Hemigrapsus sanguineus (6.2%) and Exopalaemon carinicauda (4.7%) were predominated in abundance. Diverse species were occurred in spring and autumn, and abundance was high in autumn. Chelon haematocheilus, Synechogobius hasta, Co ilia nasus, P. gravieri and E. carinicauda were classified as the brackish residence species. P. trituberculatus, C. lucidus, Mugil cephalus and Cynoglossus joyneri were coastal migratory species which use the estuary as nursing and feeding grounds. Diadromous species (such as Takifogu obscurus, Anguilajaponica and Eriocheir sinensis) and freshwater fish (Carassius auratus) were also collected.

      • KCI등재
      • KCI등재

        서해 고군산군도 연안 낭장망 어획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주야 계절 변동

        황선도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2

        1997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전라북도 고군산군도 주변 해역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과 계절에 따른 양적 변동을 파악하고, 계절별 낮·밤의 어획물 종조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75종이 출현하였으며, 이중 어류가 7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새우류 18%, 두족류 7%, 게류 4%이었다. 횐베도라치(Pholis fangi)가 전체 개체수의 44.3%,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42.8%로 이들 2종이 전체의 87.1%를 차지하였으며, 대부분이 치어나 유어 단계의 어린 개체이었다. 흰베도라치, 멸치, 까나리(Ammodyres personatus) 등은 연안에서 어린 시기를 보육장으로 이용하는데, 그 시기를 서로 달리하였다. 조사 해역에서 부유성 유어는 주·야간에 양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o determine diel and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ry resources, day and night samples were collected by a bag net from April through November 1997 off Kogunsan - gundo. A total of 75 species was collected. The total catch was consisted of 71% fish, 18% shrimps, 7% cephalopods and 4% crabs. Pholis fangi and Engraulis japonicus predominated, and accounted for 87% of the total number of fish collected. Most of them were larvae and juvniles. P. fangi and Ammodyres personatus occurred from April to June, and E. japonicus occurred from July to November, suggesting that they used the coastal areas as nursery ground at the different season to avoid competition. Dominant fish larvae and juveniles showed the significant diel difference in cat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