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보육법에 관한 연혁적 고찰

        황보영란(Young Ran Hwangbo)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영유아의 보육에 관한 실정법의 연혁을 분석적 법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행 영유아 보육법의 개념 내지 성격, 다른 법과의 관련성, 그리고 영유아보육법의 각 규정들의 체계화를 위한 연 구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영유아보육법,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보장기본법, 헌법 등을 대상으로 한 문헌들이 검토되었다. 연구의 결과 보육은 조선구호령의 구빈에서 출발하여 아 동복리법의 선별적 보호, 유아교육진흥법의 보편적 교육성격의 보육,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보육시설 이용으로서의 제한적 보육, 2005년 영유아보육법의 보육시설 이용으로서의 보편적 보육, 2009년 영유 아보육법의 보육 개념의 확장으로 패러다임을 달리하면서 발전해 왔다. 영유아보육법의 보육은 사회복 지사업법과 사회보장기본법상의 사회복지서비스로서 영유아보육법은 헌법 제34조를 최고 규범의 근거 로, 기본법인 사회보장기본법을 상위법으로, 사회복지사업법과는 일반법과 특별법의 관계에 선다는 법 체계 속에 있다. 하지만 교육을 보육의 중요한 내용으로 한 영유아보육법은 헌법 제31조가 규정한 교육 을 받을 권리와 교육에 대한 제도적 보장에 대한 규정이 있어야 함에도 없다는 점과 교육법의 법역 속 에서 입법되어야 함에도 사회복지법 내지 사회보장법의 법역 속에서 입법되었다는 점에서 헌법 제31조 에 위반하는 위헌의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y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w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r characteristic of the Act, defining its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and systemizing various regulations within the Act. For the purpose, this paper includes the study on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nd the Constitution Law. The concept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began as a relief found in the Chosun Relief Order at first in 1944. The concept has been further defined as the selective nurturing in the Child Welfare Act in 1962, then as the generalized educational care in the Promotion A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1982, then as the limited care in the use of nurs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in 1991, and then as the generalized care in the use of nurs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in 2005. Finally,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published in 2009 further expands the concept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as follows. The concept of care defined by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can be regarded as the social welfare service unde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nd the Framework Act of the Social Security. Furthermore, this Infant and Child Care Act establishes the following relationships in the legal system: the 34th article of the Constitution as its most fundamental basis, then the Framework Act of the Social Security as its higher-level law and then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as its sui generi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can violate the 31st article of the Constitution.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puts emphasis on the education as an important aspect of the care. On the contrary,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does not include protections for the pursuit of right in education 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 while the 31st article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both of them. Also,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should have been registered under the Education Law instead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or Social Security.

      • KCI등재후보

        유치원 교원에 대한 징계와 법적 구제에 관한 기초 연구

        황보영란(Hwangbo, Young Ra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유아교육 발전의 핵심적 요소인 유치원 교원의 신분보장을 위하여 교원에 대한 징계와 법적 구제를 알아보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관한 기본법리를 알아본다. 그 후 이를 기초로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관한 법원을 찾는다. 찾은 법원을 입법해석,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대법원 판례 등 사법해석,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결정과 실무례를 중심으로 한 행정해석 내지 준사법해석, 학리해석을 통해 정리하고 유치원 교원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나아가 유치원 교원의 신분보장을 위해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관련하여 향후 입법화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살펴본다. 연구결과 제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의 징계에 관한 규정은 복잡하게 산재되어 있다. 일반 공무원과 교원은 명백히 구별됨에도 불구하고 징계사유가 공무원의 징계사유와 동일하여 기계적 적용은 부당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둘째, 징계사유가 추상적이다. 엄격한 해석원리를 통해 징계사유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셋째, 유치원 교원의 표현의 자유, 교원의 교육의 자유와 관련된 징계사유는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넷째, 유치원 교원의 정치적 활동은 ILO-UNESCO 교원의 지위에 관한 권고와 같이 폭넓게 인정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립학교 교원의 공무원성’은 향후 교원의 지위에 관한 기본법의 제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a kindergarten teacher and its related legal remedy in order to protect the guarantee of status of kindergarten teacher, which is regarded as a crucial factor in the advancement of the education. This study first discusses principle related to disciplinary action against a kindergarten teacher and its related legal remedy. Based on the discussed principle, it identifies the laws related to disciplinary action against a kindergarten teacher and its related legal remedy; then, it analyzes and interprets the laws through legislative interpretation, judicial interpretation including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Supreme Court decision, and etc.,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 or quasi-judicial interpretation based upon decisions made by appeal commission teachers and real-world practices, and academic researches. Furthermore, if there is necessity to legalize some actions in regard to protect the kindergarten teacher’s right, this study proactively pursues how to implement them. Through this study,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regulations for the disciplinary action against a kindergarten teacher are not clearly defined. Despite of the obvious distinction in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public teachers, the same grounds for disciplinary action could be applied automatically. Then, this application could be unfair for teachers. He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framework act on status of teacher. Second, grounds for the disciplinary action are abstract. The grounds need to be interpreted limitedly through strict application of the rule. Third, the ground of disciplinary action against kindergarten teacher regard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freedom of education should be interpreted restrictively. Fourth, a political activity of a kindergarten teacher needs to be accepted broadly as shown in the ILO-UNESCO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Fifth, the need for regarding teachers in private school as public officials should be apply to the framework act on status of teacher.

      • KCI우수등재

        유아교사의 조직헌신성과 관련된 사회 조직적 변인에 관한 연구

        황보영란(Young Ran Hwangbo)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ocio-organizational variables which influence teach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Subjects were 254 teachers of private kindergartens in Kimhae, Kyungnam-do, and Tongrae-gu and Kangseo-gu in Pusan. The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Rosenholtz(1991),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study of the teachers` work place (the social 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s) and revised here for Korean early educa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teachers` job certainty, next is teachers` learning opportunities; other variables are teachers` career, psychological rewards, and task autonomy and discre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인식 연구

        황보영란 ( Young Ran Hwangb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원이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교원의 경력과 학력, 근무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그 인식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아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치원 교원의 권리는 크게 신분상의 권리와 재산상의 권리로, 신분상의 권리는 다시 신분보장권, 교육권, 근로기본권, 그리고 정치적 기본권으로, 재산상의 권리는 다시 보수청구권과 연금청구권으로 구분하였다. 유치원 교원의 의무는 성실의무, 직무상의 의무, 그리고 신분상의 의무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소재의 유치원 교원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리 중 교육권과 보수청구권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정치적 기본권과 연금청구권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그리고 권리보다 의무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둘째,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은 경력이 많고 학력이 높으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셋째, 근무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른 유치원 교원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인식은 국·공립유치원 교원이 사립유치원 교원에 비해 더 높은 인식을 보였다. The study examines how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eir teachers` rights and responsibility and how their recognition varies due to their work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 and establishment types of institution that they are working for. Through this study, it assesses ways to improve how kindergarten teachers regard themselves in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y. Kindergarten`s right is divided into the right in their status and the financial right; the right in their status is further broken down to the guarantee of status, the educational right, the basic legal rights of labor, and the basic rights of participation; the financial right is further categorized into the claims for remuneration and the claims for pension. The responsibility of a kindergarten teacher is further defined as the responsibility of diligence,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the responsibility in status. The study was based on 271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Busan and Kyung Nam area. The study found the three following point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y is actually higher than the average. Especially, the recognition on their educational right and the claims for remuneration are higher and meanwhile, the recognition on their basic rights of participation and the claims for pension are low. Also, they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y more than they do on their rights.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more work experience or with stronger academic background recognize their responsibility and rights greater than others. Third, teachers who work in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recognizes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y more than teachers who work in private kindergarten.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에 관한 연구

        황보영란(Young Ran Hwangbo),이해영(Lee Hae You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1 육아지원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교사에게 수업에서의 자율성과 재량이 많이 부여되는 유아교육에서 수업의 전문성 향상 을 위해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실천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수업설 계는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 평가문항의 작성, 수업안의 수정을 필수적이 고 실제적인 구성요소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153명을 대 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는 모든 구성요소 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요소 중 수업활동의 계획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 모두에서 유아교사의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천 정도와의 관계는 구성요소 모두에 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수업설계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이 높으면 그에 따 른 실천 정도도 높았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lass where teachers have great degree of freedom, this study examines how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putting their syllabus into practice. The study investigates the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putting it into practice based on five factors, understanding of a syllabus, class objective statements, specific written-down plans for classroom activities, feedback of their syllabus, and improvement of it. To provide an objective data, this study have conducted survey on 153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Busan and Gyungnam. First, teachers consider a syllabus importantly and put their syllabus into practice in a significant manner based on above-average values in all four factors. Especially, they consider specific written-down plans for classroom activities most importantly. Second, perceptions on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its fulfillment are significantly differed by teaches’ work experience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ypes of workplace.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between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and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the fulfillment of the syllabus: The more importantly teachers consider the importance of a syllabus, the more they care to put it into practice.

      • KCI등재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관한 인식 연구

        황보영란(Young Ran Hwangbo)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2 幼兒 敎育學論集 Vol.16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원이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인식이 교원의 경력, 학력, 근무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아 유치원 교원의 신분보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 경남 소재의 유치원 교원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원의 징계와 법적 구제에 대한 인식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의무위반이 징계사유가 된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구체적인 징계의 종류나 요건 및 절차, 그리고 징계시효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리고 징계처분에 대한 구제 절차에 대한 인식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징계 및 법적 구제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은 4~6년의 경력을 가진 교원의 인식이 낮았고, 1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원의 인식이 높았다. 셋째, 징계 및 법적 구제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은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 마지막으로 징계 및 법적 구제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은 국·공립유치원 교원이 사립유치원 교원보다 높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well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ze the teacher`s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for disciplinary action. It further characterizes their recogni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ir recognition based on their work experience, academic backgrounds, and establishment type of kindergarten. Through the study, it aims to provide ways to guarantee kindergarten teachers` status in their institution. The study was based on 240 kindergarten teachers who work in the Busan and Kyung Nam area. The study found the three following points. Firs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the teacher`s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for disciplinary action is actually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Kindergarten teachers are highly aware that breach of duty can be a cause for disciplinary action. However, they do not fully recognize specific disciplinary type, disciplinary requirement, disciplinary procedure, and disciplinary prescription. Also,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n disciplinary procedure is relatively low as well. Secondly, kindergarten teachers with four to six years of work experience do not recognize the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of the disciplinary action as well as others. Meanwhile ones with eleven or more years of work experience recognize the most among all.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of the disciplinary action is relatively high for teachers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s. Lastly, teachers who work at national or public kindergartens are more aware of the disciplinary action and the remedy of the disciplinary action than teachers who work at private kindergartens.

      • KCI등재

        실질적 의미의 영유아보육법과 그 법원에 관한 연구

        황보영란 ( Young Ran Hwangb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6

        Using the research methodology of analytical legal theory, this paper establish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and its legal system in a practical meaning. Based on this establishment, the paper researches the source of the law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n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The paper further examines the literary research papers and various constitutional court precedents related to the Infant Child Care Law,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nd the Korean Constitu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is a law related to childcare. Second,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has the following relationships to the legal system: the 34th article of the Constitution is its most fundamental basis, while the Framework Act of Social Security serves as its higher-level law,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is its sui generis. As well,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is a law about the right to have childcare. Third,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is under the system of Social Welfare or Social Security. Fourth, the important sources of law for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are the 34th article of the Constitution, the Framework Act of the Social Security, the Infant and Child Care Act, the Enforcement Decree, the Enforcement Rule, the Municipal Ordinance and Rule of the childcare, and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ct. 본 연구는 분석적 법이론의 연구방법론을 연구방법론으로 하여 실질적 의미의 영유아보육법의 개념과 성격, 법체계,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법원을 찾는 연구로서 영유아보육법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실정법인 「영유아보육법」, 「사회복지사업법」, 「사회보장기본법」, 「대한민국 헌법」 등을 대상으로 한 문헌들과 헌법재판소 판례들이 검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보육법은 보육에 관한 법이다. 둘째 영유아보육법은 헌법 제34조를 최고의 가치로 하고, 사회보장기본법을 기본법으로, 사회복지사업법을 일반법으로 하는 특별법이다. 그리고 영유아보육법은 영유아의 보육을 받을 권리에 관한 법이다. 셋째, 영유아보육법은 사회보장법체계 또는 사회복지법체계에 속한다. 넷째 실질적 의미의 영유아보육법의 중요한 법원은 헌법 제34조, 「사회보장기본법」, 「영유아보육법」과 그 시행령, 시행규칙, 보육에 관한 조례와 규칙, 「사회복지사업법」 등이다.

      • KCI등재후보

        어울림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Min Ji Kim),황보영란(Young Ran Hwangbo)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2019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어울림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에 위치한 두 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40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기조절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를 반복측정변인으로 설정하여 반복측정 ANOVA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집단과 반복측정 변인간의 상호작용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어울림 활동이 유아들의 자기조절, 자기통제 그리고 자기점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고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인 행동억제와 정서성, 그리고 자기점검의 하위요인인 자기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울림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자기조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lim” (get-along in Korean) activities on self-regulation of five-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aged 5 years at two child care centers in Gyeongsang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by setting pre-test and post-test self-regulation scores as the repeated measure dependent variable for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tested for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aulim”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self-monitoring of young children. It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behavior inhibition and emotionality, which are sub-factors of self-control, and self-determination, a sub-factor of self-monitoring. This study indicates that “aulim” activity program could improve the ability to self-control.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a possibility to utilize this program at a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improve children s capability to self-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