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전라도 교방의 현황과 특징

        황미연 한국음악사학회 2008 한국음악사학보 Vol.40 No.-

        교방은 조선 후기 궁중과 지방 관아의 예술문화를 주도한 곳이다. 특히 조선 후기 지방 문화를 연구하는데 지방 교방은 필수적이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전통문화학계에서는 원전 자료 발굴 미비와 중앙과 달리 지역 연구라는 한계에 밀려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본고는 조선 후기 전라도 교방을 통해 현재까지 음악계에 알려지지 않은 지방 관아의 모습을 한국음악학계에 소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당시 전라도 교방에서 전개되었던 규모와 기생들을 통해 전라도 전통예술의 깊이와 넓이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시 전국 8도 관청의 교방을 『관찬읍지』를 기초 삼아 집계한 결과 함경도 6곳, 평안도 10곳, 강원도 1곳, 충청도 3곳, 전라도 6곳, 경상도 5곳이 존재했으며 황해도와 경기도는 단 한 곳도 설치되지 않았다. 조선 후기 8도에 교방의 숫자는 31개소였다. 특히 교방이 많이 설치된 평안도, 황해도, 전라도, 경상도는 각각 중국사신과 일본사신이 오가는 사행로에 포함돼 있어 교방의 임무가 외국사신 등을 접대한 곳으로 확인됐다 둘째, 관아에 존재했던 교방의 명칭도 다양하게 등장했다. 예를 들면 함경도 함흥부는 백화원, 갑산부는 어화원으로, 평안도에서 운산군은 교방청, 평양부는 교방과 기생청을 함께 썼으며, 태천현 역시 기생청으로, 창성부의 경우 교방청으로 사용하였다. 충청도에서는 공주감영이 기생으로 기록되었으며, 전라도에서는 광주목과 무주부에서 교방청이란 기록이 보이며, 제주목은 장춘원으로, 그리고 경상도 경주에서는 악부로, 창원부에서는 관비방으로 각각 다르게 불려졌다. 셋째, 또한 조선 후기 지방체제가 부, 목, 군, 현으로 운영되었던 점을 감안해 교방도 가장 큰 지역을 담당한 부에서 규모가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성천부 교방은 15칸으로 가장 컸으며, 창성부 10칸, 평양부 8칸, 갑산부 어화원 5칸, 평양부 기생청 5칸, 공주감영 기생방 5칸, 순천 좌수영 기생청 3칸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생의 존재에 있어서도 각 도에 위치한 감영에서 가장 많은 숫자로 집계되었다. 평양감영의 기생은 총 180명으로 평안도에서 가장 많았으며, 함경도의 감영이 있던 함흥에서는 44명, 강원도 감영이 있던 원주는 20명, 전라도 감영인 전주부에는 34명, 경상도 감영이 있던 대구감영과 대구부에는 66명이었다. 다만 황해도의 감영인 해주부에는 기생 10명이 존재한 반면 황주목에 15명이 있었다. 이는 황주가 연행로에 포함되므로 기생이 많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다섯째, 전라도 교방에 있어서 전주감영에는 제일 큰 규모의 장악청이 고지도에서 나타났으며, 무주부에서는 당시 공고에 보관되어 있던 악기와 문물이 소개되어 그 규모를 가늠할 수 있었다. 특히 무주부에서는 포구락과 선유락, 검무, 승무 등의 춤과 이에 수반된 반주, 그리고 물목이 존재해 당시 궁중과 지역간의 연희교섭 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조선후기를 거쳐 일제강점기가 이어지는 시점에서 교방은 기생조합내지 권번으로 그 역할이 이어졌다. 조선후기 전라도 교방 가운데 권번으로 이어진 곳은 전주․광주․순천 등 세 곳이었다. 그러나 무주․순창․제주 등에는 권번이 등장하지 않는다. 이는 조선 후기 교방은 목민관의 취향에 따라 기생수가 변하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권번 역시 음악과 무용 등의 수요와 공급이 ... Kyobang 敎坊 (office of female entertainer) was the very place where it took the leadership in art-culture of the royal court and local government offices in the later Chosŏn Dynasty. Especially, it has been essential to study the provincial cultures of those days. Until now it is true that the deep and real study has not been made due to an inert excavation of ancient materials and limits of local study unlike central area in tradition-culture academic world. Accordingly the main aim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various kinds of the unknown government offices to Korea-Music world through the Chŏlla kyobang 全羅敎坊 of the late Chosŏn Dynasty. Moreover I want to put an emphasis on finding out depth and width of Chŏlla culture through the sizes of kyobang and numbers of kisaeng 妓生 (female entertainers) increased in those days. That is the reason why I have a mind to study harder like this. First, there were totally twenty-five kyobangs all over the country in those days; six in Hamgyŏng province 咸鏡道, ten in P'yŏngan province 平安道, one in Kangwŏn province 江原道, three in Ch'ungch'ŏng province 忠淸道, six in Chŏlla province 全羅道, and five in Kyŏngsang province 慶尙道 which were figured based on Kwanch'an ŭji 官撰邑誌 (Records of Towns by Government), official regional record in Chosŏn. However, there was no places in Hwanghae and Kyŏnggi provinces. There were totally thirty-one in nationwide (in eight provinces) in the later Chosŏn Dynasty. Provinces where had been built and managed many kyobang were P'yŏngan, Hwanghae, Chŏlla, Kyŏngsang provinces. Perhaps that's chiefly because the places were located in a gateway to receive, entertain and serve an Chinese and Japanese envoy in sincere hospitality. Second, the names of the kyobang existed in governmental offices were varied. For example, Paekhwawŏn 百花院 at Hamhŭng-pu 咸興府 and Ŏhwawŏn 語花院 at Kapsan-pu 甲山府 in Hamgyŏng province, Kyobangch'ŏng 敎坊廳 at Unsan-gun 운산군 in P'yŏngan province, Kisaengch'ŏng or Kyobang in P'yŏngyangbu 平壤府 etc. Also, there had been recorded differently Kyobangch'ŏng according to the region: Kisaeng in Ch'ungchŏng, Kyobangch'ŏng in Chŏlla, changch'unwŏn 臧春院 in Cheju 濟州, and Musical center in Kyŏngju 慶州, and Kwannobang 官奴房 in Ch'angwŏn 昌原. Third, they were largely different in sizes because the local system in the late Chosŏn Dynasty was administered as a unit of pu 府, mok 牧, kun 郡, and hyŏn 縣. For example, Kyobang in Sŏngch'ŏn-pu 成川府 composed of fifteen partitions was the largest, ten partitions in Ch'angsŏng-pu 昌城府, eight partitions in P'yŏngyang-pu, five partitions in Ŏwhawŏn in Kapsan-pu, five partitions in Kisaengch'ŏng 妓生廳 in P'yŏngyang-pu, five partitions in Kisaengbang 妓生房 in Kongju kamyŏng 公州監營 (provincial office at Kongju), three partitions in Sunch'ŏn 順天. Fourth, there were, of course, so different in numbers of kisaeng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kamyŏng : one hundred and eighty members in P'yŏngan kamyŏng 平安監營, forty-four in Hamgyŏng kamyŏng 咸鏡監營, twenty in Kangwŏn kamyŏng 江原監營, thirty-four in Chŏlla kamyŏng 全羅監營, sixty-six in Kyŏngsang kamyŏng 慶尙監營. There were ten kisaengs at Haeju-pu 海州府 in Hwanghae kamyŏng, while fifteen kisaengs were in Hwangju-mok 黃州牧. Because Hwangju was on the passing point which many Chinese envoys were entertained by kisaengs. Fifth, we can see the size of the Changakch'ŏng 掌樂廳 where contained musical instruments and things of the times found in Muju-pu 茂朱府, the largest kyobang in Chŏlla kamyŏng indicated in ancient materials. Particularly, we can guess the entertainment exchange between the Royal Court and the local by means of many proofs shown in Muju-pu which had P'ogurak 抛毬樂 (Ball Throwing Dance), Sŏnyurak 船遊樂 (Joyful Boat Dan...

      • 전분질 원료를 혼용하여 담금한 탁주의 품질특성

        황미연,이택수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16 No.-

        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 등의 전분질 원료를 흔용하여 담금한 탁주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중 증가하여 발효 14일에 7.8-11.0% 로 최대치를 보였고, 이 기간에 쌀, 찹쌀, 보리쌀의 혼용구와 쌀, 보리쌀의 혼용구에서 높았고 쌀 단용구는 낮았다. pH는 담금 직후에 pH 4.45-4.84 였고 발효 14일에 pH 3.54-3.84로 저하되었다. 담금일에는 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의 혼용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발효 14일에는 쌀, 찹쌀의 혼용구에서 높았다. 총산은 발효 중 증가하여 14일에 1.03-1.40% 로 최대 함량을 보였고, 쌀단용구가 높았다. 총당은 담금일에 14.03-20.55% 였고 발효 14일에는 5.45-6.67%로 저하되었으나 시험구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환원당의 함량은 담금 직후에 9.05-11.23% 로 가장 높았고, 발효 14일에 0.07-0.25% 로 현저히 저하되었으나 시험구간의 차이는 없었다. 탁주의 색도중 밝기 값은 쌀, 찹쌀의 혼용구에서, 적색도는 쌀 단용구에서 높았다. The qualities of Tekju prepared by blending the starchy materials such as rice, glutinous rice, barley and wheat flour were evaluated. The content of ethanol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fermentation process, and ranged 7.8-11%, which was exhibited the highest at the period of fermentation for 14 days. At this period, Tsklu prepared with mixture of rice, glutinous rice, and barley and with mixture of rice and barley were higher than that prepared with only rice in ethanol content.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pH was in the range of 4.45 to 4.84, but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the pH decreased to 3.54-3.84. The pH of Tskju made with rice, glutinous rice, barley and wheat flour was relatively higher at the starting day of fermentation, but the pH of Tekju made with rice and glutinous rice was higher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The amount of the total acid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and exhibited the maximum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higher in the Tekju made with rice than the other samples. Total sugar contents were 14.03 to 20.55 %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period, they decreased to 5.45-6.67% at 14th day of fermentation. The total content of sugars among the Takjus made with different mixtures was shown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s were shown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ekjus made with different mixtures, but it was in the range of 9.05-11.23%, which was the highest during fermentation, at the starting day of fermentation. However, the reducing sugar significantly decreased to 0.07-0.25%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Investigation of the color value of the Tskju indicated the brightness ("L" value) of the samples made with mixture of rice and glutinous rice was the highest and the samples made with rice was shown to be higher than others in redness value("a" value).

      • 전분질 원료를 혼용하여 담금한 탁주의 유리당, 유기산 및 미량알코올 함량

        황미연,이택수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4 자연과학연구논문집 Vol.16 No.-

        Free sugars, organic acids and minor alcohols of the Tskiu mash were estimated in the preparations of Tekju. Free sugars including fructose, glucose, galactose, sucrose, and maltose were identified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 of glucose was highest at the beginning of the fermentation, and decreased progressively in the process of fermentation. It was ended up with the lowest concentration among the sugars. At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total contents of free sugars were the highest in the Tekju preparations with mixture of rice, glutinous rice, barley and wheat flour, However, Tskju preparation with mixture of rice, glutinous rice, barley was exhibited to be highest in total sugar contents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In the preparations, various organic acids including lactic acid, succinic acid, pyruvic acid, propion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produced and identified in the Tekiu mash. Lactic acid plus succinic acid was present in the mash with highest amount up to maximal content of 1,148 mg%. The preparation of Takju with mixture of rice and barley was shown the highest and lowest in the preparation of Tekju with mixture of rice, glutinous rice, and barley in terms of the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 and lactic acid plus succinic acid. As minor alcohol other than ethyl alcohol, six different alcohols including isoamyl alcohol were detected. In the preparations of Takju with only rice, the total amount of the minor alcohols was detected with more amount than the others at the 14th day of fermentation. 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 등의 전분질 원료를 혼용하여 담금한 탁주 술덧의 유리당, 유기산 및 미량알코올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탁주 발효중 fructose, glucose, galactose, sucrose, maltose 등의 유리당이 확인되었고, 이 중 glucose는 담금일에 가장 높았으나 발효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여 타 유리당보다 함량이 낮기도 하였다. 유리당의 총 함량은 담금일에는 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의 혼용구에서, 발효 14일에는 쌀, 찹쌀, 보리쌀의 혼용구에서 높았다. 유기산으로 lactic acid+succinic acid, pyruvic acid, propionic acid citric acid 등이 탁주 술덧에서 확인되었으며, lactic acid+succinic acid 는 최대함량 1148 mg%로 탁주 유기산 중 함량이 가장 높았다. 쌀, 보리쌀의 혼용구는 발효 14일에 유기산의 총량과 lactic acid + succinic acid 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쌀, 찹쌀, 보리쌀의 혼용구는 낮은 편이였다. 에탄올 이외의 미량 알코올 성분으로 isoamyl alcohol 등 6종의 알코올이 시험구에 따라 검출되었으며, 발효 14일의 미량 알코올 총량은 쌀 단용구에서 다소 높았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녀의 성인기 전환과정에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황미연,이지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3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parenting stress experienced by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an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questions were produc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transition period and parents' empirical approaches. Researchers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s the analysis shows, the final result of the 16 questions divided into four sub-factors can be confirmed as follows: somatization symptoms (6 questions), the burden of career preparation (4 questions), adult adaptation to stress (4 questions), and economic burden (2 questions). Subsequently,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related to the developed parenting stress scale for transition to adulthoo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parental efficacy scale, depression (CES-D) scale, and parental burnout scale, resulting in relatively high correlation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가 자녀의 성인기 전환과정에서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성인기 전환 과정에 있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한 문헌연구와 부모들의 경험적 접근을 통해 문항을 제작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총 16문항을 본 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으며 신체화 증상(6문항), 진로준비 부담(4문항), 성인기적응 스트레스(4문항), 경제적 부담(2문항)의 4개 하위요인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개발된 발달장애 부모의 성인기 전환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하기 위해 부모효능감 척도, 우울(CES D)척도, 부모소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부모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황미연,이지연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가 자녀 돌봄에서 경험하는 부모소진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개별면담 내용과 선행이론 분석을 통해 부모소진의 구성개념과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정을 거쳐 예비척도를 개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총 20문항을 본 척도의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으며 돌봄 한계 인식(6문항), 역기능적 돌봄(4문항), 정서적 거리두기(4문항), 신체화 증상(4문항), 관계 불만족(2문항)의 5개 하위요인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양호한 수렴 및 변별타당도, 준거타당도가 검증되어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부모소진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parental burnout scale for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selec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preliminary questions of the parental burnout based on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from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viewing of existing literature. Then,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after expert’s evaluation of the contents validity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0 items consisting of five sub-factors were confirmed as the final question. To secure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the reference validity of the scale was examined and confirmed the adequacy of the scale to measure parental burnout of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부모소진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황미연,이지연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3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9 No.1

        In this study, by apply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contents of parental burnout experienced by parents of adul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plored, and the concept structure was confirmed. To this end, 16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recruited and interviewed in-depth.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concept mapping was used to extract 58 core statements on parental burnout from the parents’ statements. The sorting and rating of the core sentences were done by 28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multidimensional scale method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to obtain concept mapping. As a result, the parental burnout experiences of parent of adult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ppeared in two dimensions and 11 clusters.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가 자녀돌봄에서 경험하는 부모소진의 내용을 탐색하고, 그 개념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 1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성인발달장애인 부모의 부모소진 경험에 관한 58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 28명을 대상으로 핵심 문장에 대한 분류 및 평정 작업을 한 후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성인발달장애인 부모가 경험하는 부모소진은 ‘외적 경험-내적 경험’ 차원과 ‘현재 진행-미래 예측’ 차원의 2개 차원으로 나타났다. 부모소진의 범주는 역기능적 돌봄 태도, 대처자원 고갈, 돌봄 한계 인식, 정서적 자원 고갈, 무기력과 관계 철회, 죽음사고와 도움 기대, 신체화 증상, 미래에 대한 불안, 고립과 소외감, 삶의 만족감 저하, 끝없는 돌봄에 절망의 11개 범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가 인식하는 부모소진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성인발달장애인의 부모의 소진 예방과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집단프로그램 개발에 유효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