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사경고를 받은 공과계열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적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황두경,소려나,박창언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6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4 No.3

        본 연구에서는 학사경고를 받은 P대학교 공과계열 중국인 유학생들이 학업적 적응 과 정에서 무엇을 경험했는지, 그리고 이 경험의 개인적·사회적 의미는 무엇인지를 내러 티브 탐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학업적 적응 과정에서 첫째, 적절 한 진로탐색 과정이 없이 학교와 학과를 선택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이들은 공과계열 수학과 역학이 어려운 점,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점,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이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해 학사경고를 받게 되었다. 셋째, 이들은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과목 위주 의 수강과 어려운 과목의 학습시간과 학습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학사경고를 극복하 였다. 넷째, 이들은 자신의 선택에 책임을 지고 유학생활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고, 나아가 한국에서 긍정적인 미래의 모습까지 계획하고 있었다. 공과계열 중 국인 유학생들의 학업적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 차원에서는 학과정보와 진로탐색 과정을 제공하고, 정책적으로 더 높은 한국어 능력 수준을 요구해야 한다. 그 This study is to search for what Chinese students studying Engineering in Korea have experienced in Academic Adjustment Proces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in personal and social aspect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First, they intend to select their school and department without a valid career exploration process, which is one of the causes that they have difficulties from a first step in studying. Second, the reasons why Chinese students are placed on Academic Probation are th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and mechanics, their low ability in Korean, and their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the classes in English, etc. Third, the solution to get over the difficulties like Academic Probation in studying in Korea for Chinese students is that they need to register for courses which are easy to get good grade and increase the amount of learning time. Finally, this study checks and confirms their efforts not to give up their studying in Korea because this life is their choice and their positive future plans.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시간관리 학습전략 프로그램의 효과

        황두경,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4 사고개발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Program(TMP) on the time management cap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underachiev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pre-and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30 sixth graders who underachieved were subjects in this study and they were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Busan, South Korea. The experiment group (n=15) was sampled from W elementary school and the control group (n=15) was from G elementary school. The TMP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in 24 sessions for 12 weeks and each session was 45 minutes. Pre-and post-test were done to both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Time Management Scale and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o verify the effect of the TMP,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TMP showed significantly improvement in their capability of time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self-efficacy. However, self-regulation efficacy, one of sub-factors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was improved. Thus, the TMP could be considered as a consulting program to develop the time management capability of underachieve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Also, the self-regulation efficacy could be enhanced through the TMP.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시간관리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시간관리 학습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부산광역시 같은 구에 소재한 W초등학교 6학년 학습부진학생 15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시간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G초등학교의 학습부진학생 15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12주간에 걸쳐 총 12회기(24차시)로 이루어졌고, 각 회기당 90분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시간관리능력 척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가설 검증결과 본 연구의 시간관리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키지는 못하지만 시간관리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 학습부진아와 일반아의 학업동기와 학습전략 특성 비교

        윤채영,황두경,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2 사고개발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between elementary school underachievers and achievers. The participants were 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6th grade from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 in Busan with being divided into one underachieved group with 15 students and another comparative achieved group with 18 students by exam results. Each groups of 33 students was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perform the tasks about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and the statistic was conducted through t-test and χ² analysis. The results from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 in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between underachieved and achieved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ime management between them. Second, in the students' performance tasks analysis by 3 researchers, two groups had different academic motivation, and used different time management skill and learning strategies. From the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in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of underachieved students' academic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업동기와 학습전략의 특성이 일반학생들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아와 일반아의 특성 차이를 개념적으로 정의할 뿐 아니라 현장교사가 학습부진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조작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학업동기, 시간관리, 학습전략에 관한 기존의 검사도구와 연구자가 개발한 수행활동지를 함께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청수준 학력진단평가에서 교과부진으로 판별된 초등학교 6학년 학습부진학생 15명과 일반학생 18명이다. 연구결과, 학업동기와 전반적인 학습전략에서 일반아동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시간관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행활동지 분석결과에서는 학업동기(낙관성 기대, 강화물 선호, 귀인, 공부에 대한 인식)와 시간관리, 인지ㆍ상위인지 전략 사용(기억용량 수준, 조직화전략 사용유무, 심층적 인지전략 사용 유무, 청강전략 사용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부진아와 일반아의 학업성취수준 차이가 교과지식의 양 차이만이 아니라 학업적 인지ㆍ정서ㆍ행동 수준의 차이에서도 기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수준을 일반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는 교육현장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학업동기조절과 학습전략 사용에 관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AHP 분석방법을 통한 감성심리 기반의 베이비부머 정책 우선순위 결정

        강주리,이충렬,황두경 한국감성과학회 2019 감성과학 Vol.22 No.1

        As the social interest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policies by identifying the needs for baby boomers' lifelong education and support for lifelong learning,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life aspects such as emotional psychology-based self-development and self-realization. In order to optimally explore support for lifelong learning for the baby-boomer generation, there were two types of first-tier (top-level), six-tier (bottom-level) and five-evaluation alternatives respectively. In the first layer, we looked at the question of which alternatives were more desirable, 'potentiality' and 'realisability', and in the second layer, the detailed criteria of 'realisability' were set up by dividing them into financial, legal, and administrative feasibility, respectively A study conducted by experts on the policy priority analysis of baby boomers showed that support for lifelong learning for the generation of Baby Boomers places a greater priority on the feasibility (which alternative is more feasible) than on the desire (which option is more desirable). Among the six criteria, the priority for 'lifestyle activities' was high,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ive assessment alternatives for 'lifetime learning activities' was shown to be higher in terms of 'employment skills education (0.377), 'civil participation education (0.181), and 'lifestyle activities' (0.200) and 'lifetime activities' (06.11). The research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elped shape and refine the needs of lifelong education, grasp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epare basic data for the policy of lifelong learning of baby boomers who are about to enter their old age.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감성심리 기반의 자기계발, 자아실현과 같은 삶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베이비부머 평생교육 요구 및 평생학습 지원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평생교육 지원 정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평생학습 지원의 최적 탐색을 위해 제1계층(상위기준) 2가지, 제2계층(세부기준) 6가지, 평가대안을 각각 5가지로 설정하였다. 제1계층에서는 어느 대안이 더 바람직한가의 문제인 ‘소망성’과 어느 대안이 더 실현가능한가의 문제인 ‘실현가능성’을 살펴보았고, 제2계층에서 ‘소망성’의 세부기준은 형평성, 대응성, 효율성으로 ‘실현가능성’의 세부기준은 재정적, 법․윤리적, 정치․행정적 실현가능성으로 각각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베이비부머 정책 우선순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한 평생학습 지원은 ‘소망성(어느 대안이 더 바람직한가)’ 보다 ‘실현가능성(어느 대안이 더 실현가능한가)’에 더 큰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기준 6가지 중에서는 ‘평생실천활동’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았으며, ‘평생학습활동’에 대한 5개 평가대안의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직업능력교육(0.377)’, ‘시민참여교육(0.181)’ 순으로, ’평생실천활동‘에 대해서는 ’사회관계활동(0.200)‘,’사회봉사활동(0.161)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평생교육 요구를 구체화, 세분화하고,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본격적인 노년기 진입을 앞둔 베이비부머 세대 평생학습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