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의 재발굴 :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1928)을 통해 본 피셔(J. E. Fisher)의 민주주의 교육철학과 조선 선교교육 인식

        황금중 ( Keumjoong Hw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4 No.-

        이 논문은 1920년대에서 30년대를 거쳐 선교사이며 교육철학자로서 조선에서 활동한 제임스피셔(J. E. Fisher)의 1928년 저작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의 교육적 문제 의식과 내용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논쟁점들을 다루었다. 피셔는 이 책에서 당시 서양의 교육계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던 존 듀이(J. Dewey)의 민주주의 교육원리를 수용하여 연구의 분석 틀로 삼고서 조선 선교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피셔는 민주주의 원리에 비추어 당시의 선교교육의 목적이 주로 기독교 전도에 치우친 점을 비판하며 선교교육은 일반 교육과 마찬가지로 조선인의 삶의 이해와 성장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피셔는 나아가 미시적 차원에서 선교교육의 현실 및 과제를 다루는데, 즉 일제 총독부 체제에서 민주주의 교육으로서의 선교교육의 실현 가능성과 방법, 조선인의 삶의 개선을 위한 선교교육의 역할과 과제, 선교교육과 조선 전통 문화 및 정신의 조화의 과제, 조선인을 교육주체로 세우는 선교교육의 역할 및 과제 등에 대해서 논한다. 전체적으로 피셔의 이 책은 선교교육을 종교의 눈으로서 보다는 교육의 눈으로 보면서 일반 교육의 원리를 그대로 분석의 틀로 활용했고, 나아가 식민지조선이라는 한계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민주주의 교육원리의 구현의 가능성을 신뢰하며 그 구체적 방법을 모색한 것이 특징이다. 피셔는 이 책을 통해 한국근대교육사상사에서 보기 드물게 정치한 교육근대화의 논리를 보여주기도 했다. 민주주의로 대표되는 서구적 근대성과 조선 전통이 조화를 이루는 근대화, 조선인이 교육의 핵심 주체로 거듭나는 근대화의 방향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교교육관에 있어서도 일반교육과 상통하는 ‘열린’ 선교교육의 의미와 타당성을 설득력 있게 보여주었다. 덧붙여서, 20세기 이후 세계의 교육계에 중대한 의미를 지니게 되는 듀이 교육철학을 1920년대에 조선현실에 맞게 선구적이며 본격적으로 소개하며 해방 후의 한국 교육학의 전개에 학문적 초석을 마련한 점도 평가할만하다. This article reviews James Earnest Fisher``s educational arguments in Democracy and Mission Education in Korea, which was originally published in 1928. James Earnest Fisher was a missionary and educator in modern Korea in the 1920s and 1930s. In the book, Fisher examined the aims and contents of mission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democracy” or “democratic education”, two concepts introduced by John Dewe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mocracy, Fisher criticized the prevalent but narrow-minded view that mission education should focus on evangelism, and instead suggested that like general education, it should be aimed at the understanding and growth of Korean life. Furthermore, Fisher considered the practical tasks of mission education at that time to be the following: the task of establishing democratic education or relationships in the mission field by coping with the conditional limits of the Japanese imperialistic control system; the role and task of mission education to improve Korean life; the task of achieving harmony in mission educa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or spirit; the task of putting Koreans at the core of mission education; and so on. On the whole, Fisher``s book used general educational philosophy as its analytic frame, and observed mission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rather than religion. It showed a belief in the realization of the democratic principle of education despite the control of Japanese imperialism. The book also contained the results of Fisher``s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Korean modernization of education, including ways to find a harmony between Western modernity and the Korean tradition.

      • KCI등재

        한국근대기 박은식의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과 실천

        황금중 ( Hwang Keumjo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1

        이 글은 한국 역사의 축이 유교적 패러다임에서 근대적 패러다임으로 이동하는 거대한 변혁기에 나타난, 교육 문명의 전환을 자각하고 설계하는 철학적 모색의 흔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했다. 박은식은 이 관심에서 특히 주목되었으며, 한국근대기 교육문명 전환의 철학적 기틀을 알찬 형태로 보여주었다. 그는 문명의 전환을 준비하고 이끄는 데 필요한 사상 체계를 구축하는 과제를 일생의 책무로 자임하며, 이를 특히 교육 영역을 중심으로 풀고자 했다. 이는 그의 전 생애에 걸친 활동과 저술에서 교육 영역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그의 교육론은 단지 계몽운동과 독립운동, 혹은 종교운동 차원에서 교육 실천의 방침을 논하는 수준을 넘어, 새 시대에 필요한 교육철학적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축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의 교육철학은 전통과 서양, 민족(주의)과 세계(주의), 지성과 덕성, 학술과 실천을 서로 연결하고 조화시키는 기저 위에, 교육의 개념, 학교의 역할, 덕육-지육-체육의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민족의 의식개조 및 혁신의 삶 등에 대한 입장을 풀어내고 있다. 특히 그는 유교적 패러다임을 자각적으로 벗어나되 유교를 버리는 방식이 아닌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교적 요소를, 다른 동서의 사상들의 그것과 함께, 새롭게 추출해서 활용하는 방식을 택했다. 유교를 비롯해 불교, 신교, 선교 등의 전통사상과 기독교, 진화론을 비롯해 서양의 제반의 사상 및 국가 사례들을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교육이념과 제도를 구상해 갔다. 박은식의 사례는, 한국의 교육사상의 역사에서 근대기가 단순한 공백기나 혼란기가 아니라 교육문명 전환에 요구되는 철학적 기틀이 자각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축된 시기임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the traces of philosophical search for the preparation of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civilization in the huge transformation period when the axis of Korean history moves from Confucian paradigm to modern paradigm. Park Eun-sik, as the best example found on the basis of this interest, created a philosophical framework of the transition of educational civilization in the modern Korean period in a very good form. He was responsible for his life to build a philosophical system necessary to prepare and lead the transition of civilization, and he tried to solve it especially in the education field. This is also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education in his activities and writings throughout his life is overwhelming. His education theory reached the stage of establishing a new educational philosophical paradigm necessary for the new era, beyond the level of discussing the policy of educational practice in the enlightenment movement or independence movement or religious movement. Based on connecting and harmonization of the East and the West, nationalism and cosmopolitanism, intelligence and virtue, academic and practicality, his philosophy of education discussed the concept of education, the role of school, the principle of curriculum for harmonious cultivation of virtue-intelligence-health, the innovation of people’s minds and lives. In particular, he chose the way to keep an eye on the universal values in Confucianism, not to deny Confucianism while consciously breaking away the Confucian paradigm, and to extract and utilize the Confucian values with those of other thoughts of the East and the West. He has conceived his educational thoughts and system of a new era wh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raditional idea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Sin-gyo, Seon-gyo and other Western ideas including of Christianity, evolution theory and the successful models of the Western countries. The case of Park Eun-sik shows that the modern times in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al thought is not a blank period but a period when the philosophical framework required for the transition of education civilization is established consciously and systematically.

      • KCI등재

        성(性)ㆍ리(理)의 세계관과 공부론(工夫論) - 그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

        황금중 ( Hwang Keumjoong ) 한국교육철학회 2016 교육철학 Vol.60 No.-

        The neo-Confucian theory of learning is premised upon the xing-li worldview. As such, what the xing-li worldview is, how it is justified, and what influence it actually has on concepts of learning are essential problems in understanding the neo-Confucian theory of learning. This article first describes the meaning of xing and li,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condition and cosmology derived thereof. Next, it is argued that ``experience`` is the primary mechanism for justifying the xing-li worldview. It is contended that in the Western academic tradition the primary mechanism for justifying truth is linguistic-logical Reason, whereas in neo-Confucianism this role is fulfilled by ``experience,`` which is understood to broadly encompass knowledge and conduct, emotion, intellect, and spirituality. Additionally, the existence of sages as exemplars of the paramount of experience also functions as a basis for justifying the xing-li worldview. This article continues on to discuss how the theory of learning construed in this worldview has satisfied and deviated from the ideal of xing-li throughout the histor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it is also examined how the worldview of xing-li could be understood, supplemented, and critiqued from the point of view of both Reason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and the Daoist perspective of Laozi.

      • KCI등재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마음교육

        황금중 ( Keumjoong Hwa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지속가능성이 의심되는 문명의 위기를 초래하는 원인의 하나로, ‘소유’, ‘분리’, ‘결핍’, ‘두려움’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뿌리의식에 지배되는 인류의 집단의식을 꼽을 수 있다. 이를 성찰적으로 변화시키는 교육의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이 길에서는 인간의 마음의 심층, 즉 존재, 본성, 도심, 영혼의 지평을 일깨워서 마음의 주재적 위치에 서도록 하는 일이 긴요하다. 이것은 곧 ‘마음교육’의 요체이기도 하다. 마음교육의 실천의 핵심은 특히 유가의 ‘경(敬)’이나 불가의 ‘사띠(sati)’의 수행법과 같은 맥락의 ‘마음챙김(mindfulness)’의 공부이다. ‘경’과 ‘사띠’와 같은 마음챙김의 공부는 마음의 몰입, 각성, 보호 등을 특징으로 하면서 마음의 심층 지평의 발현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음챙김의 공부를 근간으로 한 마음교육은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내재된 존재적, 본성적 지혜(wisdom)를 끌어내고자 하며, 이것이야말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요청되는 새로운 의식지평 창조의 열쇠가 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seek for the educational way to change the root-consciousness of mankind that is characterized as 'having', 'separation', 'want', 'fear', and that have been main cause of the global crisis in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living system. In this way of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awaken and realize the deep level of maum, which can be expressed as 'being', 'human nature', 'heaven based mind', 'soul'. This is, namely, the way of maum education. The practical axis of maum education is 'mindfulness' gongbu, like as jing in confucianism and sati in buddhism. 'Mindfulness' gongbu like as jing and sati, bringing out the awakening, immersing, being careful, preserving of maum, promotes the realization of deep level of maum. Maum education eventually focused on the eruption of the immanent wisdom from deep level of maum rather the acquisition of exterior knowledge, and this wisdom should be the key of the creation of new paradigm of global consciousness requested for the sustainable future.

      • KCI등재

        퇴계 성리학에서 경(敬)의 의미와 실천법 - 경(敬)의 사조설(四條說)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황금중 ( Hwang Keumjoong ) 퇴계학연구원 2018 退溪學報 Vol.144 No.-

        이 논문은 퇴계의 삶과 사상, 나아가 성리학 일반에서 敬이 갖는 중대한 위상(聖學의 終始, 小學ㆍ大學, 마음의 主宰, 未發ㆍ已發의 存養ㆍ省察 등을 이끄는 근간이며 요체)에도 불구하고, 경의 경지나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학계의 관심 및 이해가 약했다는 점을 고려하며, 퇴계가 인식하는 바의 경의 의미와 실천법에 좀 더 가까이 다가서 보고자 했다. 특히 성리학에서 朱熹 이래 경에 대한 주요 풀이로 통용되어온 四條說, 즉 ‘主一無適’, ‘整齊嚴肅’, ‘常惺惺法’, ‘心收斂不容一物’을 중심으로 이 문제를 검토했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경에 대한 네 조목의 설은 모두 경의 체험적 경지인 동시에 공부법의 성격을 지닌다. 경지와 공부법이 분리되지 않은 채로, 경의 경지에 이르는 실천의 방법이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점이 경의 실상을 이해하고 체험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둘째, 네 조목의 설은 경에 대한 동일한 체험을 각각 다른 언어로 표현한 것으로, 그 동일한 체험은 근본적으로 ‘專一’의 성격을 지닌다. 전일함이란 무엇보다 소음처럼 떠도는 생각과 감정이라는 인욕적 파장이 가라앉은 마음 상태, 그리하여 텅 비운 채로 오롯이 모아지고 각성된 마음 상태이다. 현대 학인들에 의해 흔히 경의 의미로 인식되어 온 바의, ‘대상에 대한 집중’은 전일로서의 경이 드러난 양상의 하나이지경 자체는 아니다. 경이 이런 식의 전일의 의미로 이해될 때, 마음의 靜과 動, 未發과 已發을 아울러 存養ㆍ省察의 공부 및 中ㆍ和의 이상을 끌어내는 기제가 될 수 있다. 셋째, 전일로서의 경은 인욕적 소음을 비워낸 상태여서 자연스럽게 天理가 드러나고 窮理를 이끌어내는 마음 환경이 될 수 있다. 넷째, 경의 경지를 구현하는 실천법에 있어서 퇴계는 다음 두 가지의 강조점을 보였다. 하나는 경의 실천 과정에서의 忘却이나 安排, 助長에 대한 경계이고, 다른 하나는 사조설 중 정제 엄숙을 경 실천의 着手處로 삼는 관점이다. 경의 실천의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경의 일에 대한 망각, 아니면 안배나 조장의 병폐는 그 자체가 소음처럼 떠도는 생각과 감정이라는 인욕적 파장에 묻혀 있거나 그 속에서 추구하고 도모함으로써 생기는 문제다. 정제엄숙은 생각을 앞세우기보다 몸과 마음의 숙연한 기운 속에 생각을 내려놓고 정돈하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기에, 섣불리 소음 수준의 생각에 영향을 받는 안배나 조장의 병에 빠지지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전일의 상태를 끌어내고 나아가 잊지 않으며 지속할 수 있다.성리학의 역사에서 퇴계는 경에 관해 특별히 깊은 관심과 통찰, 체험적 이해를 보여준 인물로서, 그와 그의 영향을 받은 후학들의 경 인식을 통해 우리는 程頤를 시작으로 전개된 성리학의 경의 실체를 보다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다. Although gyeong(敬) as mindfulness holds a fundamental status in Toegye(退溪)'s neo-Confucian view of learning and mind-heart building, it seems that we reachers has not accumulated the thorough understandings of gyeong to be share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the way of practice of gyeong(敬) in Toegye' philosophy, focusing on Toegye' understanding of the four explanations about gyeong organized by Zhu xi(朱熹): juilmujeok(主一無適), jeongjaeomsuk(整齊嚴肅), sangseongseongbeop(常惺惺法), simsuryeombulyongilmul(心收斂不容一物). The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four explanations indicate simultaneously the practice as well as the ideals of gyeong. It disturbs u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reality of gyeong that the way of practice was not presented in detail and systematically without separating the experiential ideal and the way of practicing in the explanations of gyeong. Second, The four explanations reveal the same meaning and contents of gyeong as jeonil(專一) which implies the state of mind of the converged and consistent awareness, vacating and free from the thoughts or emotions or desires wandering like noises, Third, gyeong as jeonil could be a mind circumstance in which cheonli(天理) naturally reveal and the investigation of li(理) is possible. Fourth, in the issue of the way of practice of gyeong, Toegye empathized the following two points: one is his warning against forgetting, contrived arrangement, hasty pursuit in gyeong practice, which arise from the wandering thoughts and emotions in mind; the other is his emphasis on the jeongjeeomsuk as the starting point of gyeong practice, which puts the laying down and vacating the noisy thoughts in solemn energy of body of mind before rushing to use own thoughts, naturally leading the jeonil without falling in illness of forgetting, contrived arrangement, hasty pursuit of the affair of gyeong.Through the perceptions of gyeong of Toegye and his influenced scholars who showed the deep interest, insight, and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the affair of gyeong, we can understand more clearly the realities of the gyeong of neo-Confucianism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the beginning of Cheng yi.

      • KCI등재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朱熹)의 인식과 공공성 교육

        황금중(Hwang, Keumjo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3

        이 논문은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의 인식을 배경으로 현대 공공성 교육의 문제를 숙고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성은 ‘공익성’, ‘공동체성’, ‘공개성’과 같이 일반적으로 거론된 의미 외에, ‘자유’, ‘복수성’, ‘평등’, ‘정의’, ‘소통’, ‘배려’, ‘사랑’, ‘연대’ 와 같은 가치를 그 자체 의미 맥락 속에 내장하고 있다. 공공성 교육은 이와 같은 공공성과 연계된 의식, 즉 공적 의식을 학습주체들이 내면으로부터 끌어내고 발현해가도록 이끄는 일을 의미한다. 한편 주희의 공사관의 요체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에서 사람들의 마음의 공화(公化)의 의의를 드러내는 것인데, 이는 곧바로 공공성 교육의 요청과 직결된다. 주희의 공/사의 이원 대립 관념, 나아가 공에서 인(仁)으로 그리고 의(義)와 예(禮)로 이어지는 공적 의식의 구현 방식에 대한 주희의 이해를 통해, 학습주체의 내면이 에고적 차원을 넘어서 우주적 혹은 존재적 차원의 의식 지평으로 확장되어 사랑과 정의, 배려, 연대, 소통의 공적 가치를 발견하고 실현해 가는 교육의 모습을 구상해 볼 수 있다. 공공성 교육은 개체성 교육과의 관계 설정도 그 중요한 문제로 안고 있는데, 주희는 온전한 의미의 개체성 실현은 반드시 공공성 실현과 연계되어 가능하다는 이해를 지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희는 공공성과는 달리 개체성의 실현 문제에 대해서 충분히 숙고하지 못했다. 주희 공부방법의 핵인 경(敬)은 교육의 장에서 학습주체의 공적 의식과 개체성을 동시에 실현해 가는 기제로 재해석될 잠재력을 지닌다. 그런데 공공성과 개체성의 조화로운 발현이 가능한 공공성 교육론을 위해, 서양 근현대의 주요 교육철학적 사유와 주자학적 사유 사이의 적극적인 대화도 모색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demonstrates Zhu Xi’s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gong(universal heart-mind) and Si(egoistic desire), with an interest to show the vision of publicness education. Publicness education means the task to cultivate the learner’s public and universal heart-mind that contains the values of freedom, plurality, equality, love, justice, consideration, solidarity, and interaction. Through the Zhi Xi’s understanding of the meanings of gong and its realizing process, we can design the educational model to open the learner’s heart-mind of universal dimension beyond egoistic dimension. However, Zhu Xi doesn’t consider enough the issue of the realization of learner’s individuality in his educational discourses to cultivate of publicness, although he believes that the whole realization of learner’s individuality is possible only on the basis of the realization of learner’s universal heart-mind. For the publicness education to develop harmoniously the learner’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t is needed to interpretate newly the general learning or education model suggested by Zhu Xi, including of the issue of jing as the core learning method. Further, some productive communications between Zhu Xi's thought and Western modern educational thoughts that have created the ideas to cultivate the human individuality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