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관지 유암종에 대한 임상적 연구 - 후두 및 기관 유암종을 포함해서 -

        이홍렬 ( Lee Hong Lyeol ),권선옥 ( Kwon Seon Og ),김세규 ( Kim Se Gyu ),김형중 ( Kim Hyeong Jung ),장준 ( Jang Jun ),안철민 ( An Cheol Min ),홍천수 ( Hong Cheon Su ),김성규 ( Kim Seong Gyu ),이원영 ( Lee Won Yeong ),신동환 ( Sin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5

        연구배경 : 기관지 유암종은 원발성 폐종양의 1~2%를 차지하며 소세포암과 같이 신경내분비성 종양으로 분류된다. 원격 전이보다 국소적으로 확장하는 저등도의 악성 종양으로, 발생 부위와 조직 소견에 따라 임상 양상이 구분되며 중심성 병변과 정형적인 조직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는 원칙적으로 외과적 절제술이 권장되며 비정형적인 조직형이거나 종양의 크기가 3㎝ 이상, 국소적 임파절 전이가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 방법 : 1970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과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조직검사에 의하여 후두, 기관 및 기관지 유암종으로 확진된 11예를 대상으로 발생부위와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분류하였고, 그에 따른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 : 정형적인 조직 소견을 보인 경우와 중심성 병변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후두 1예, 기관 2예, 기관지 유암종이 8예이었다. 여자가 더 많았고 중심성 병변에서만 객혈이 4예 관찰되었다. 기관지 유암종 8예 모두에서 8예에서 병변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7예에서는 t생검 조직검사상 유암종이 확진되었다. 모두 4예에서 인접 장기로의 직접적인 침범 및 원격 전이 소견을 보였고 1예만이 비정형적 유암종이었다. 수술은 6예, 항암제 치료는 2예에서 시행되었고 기관지경검사시 생검으로 종괴를 제거한 경우가 2예 있었다. 비정형적 유암종 3예중 2예는 모두 1개월만에 사망하였고 추적관찰된 정형적 유암종 6예중 1예는 수술후 뇌전이로 사망하였고 5예는 아직 생존중이다. 결론 : 기관지경검사가 중심성 유암종을 진단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 검사이며 대량 출혈의 위험이 있더라도 확진은 위하여 생검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정형적인 조직 소견을 보인 경우에도 인접 조직으로의 침범 및 원격 전이의 빈도가 비교적 높았고, 정형적 유암종에서 양측성 신장 전이의 예가 특기할 만하다. Backgrounds: Bronchial carcinoids are low-grade malignant neuroendocrine tumors arising from the Kulchitsky cells of the respiratory epithelium and comprise 1% to 2% of all primary lung tumor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urse of bronchial carcinoids mainly depend on their location and histologic features. The central and typical carcinoids, respectively, are more common. Surgical resection is the choice of treatment and the prognosis is determined by the size, histologic features of the tumor and the status of regional lymph nodes. Methods: We experienced the 11 cases of laryngeal, tracheal, and bronchial carcinoids during the recent 22 years. We reviewed the locations and histologic features of the tumor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m. Results: Most belinged to the central and typical type, respectively. There were laryngeal carcinoid 1 case, tracheal 2 cases and bronchial 8 cases. Females were more common. Hemoptysis which was observed in 4 cases, was found only in the central carcinoids. All bronchial carcinoids showed a mass shadow on the chest X-ray. On flexible bronchoscopic examination, we found the masses in 8 cases and carcinoids were confirmed by biopsy in 7 cases. Invasion to the adjacent organts and distant metastasis were found in 4 cases but the case of atypical carcinoids expired in one month and five of six typical carcinoids were alive. Conclusions: We have an experience that the flexible bronchoscopy is the essential examination for the diagnosis of the central bronchial carcinoids. Even though there is always the risk of massive bleeding, we think that the aggressive biopsy is important. In our study, the incidence of invasion or metastais is relatively high in typical case. Thecase of bilateral kidney metastasis in typical bronchial carcinoid at the time of diagnosis is remarkable.

      • KCI등재후보

        경증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Methacholine 흡입에 따른 Spirometer와 Body Plethysmographic Parameter의 변화에 관한 연구

        박중원 ( Park Jung Won ),홍천수 ( Hong Cheon Su )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2

        연구배경 : Methacholine 유발검사시 일반적으로 FEV_(1)이 기저값에 비해 20% 이상 감소하면 양성으로 판정한다. 그러나 spirometer 변수는 기도저항뿐만아니라 환자의 근육상태 그리고 환자의 의도 등에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자연 증상 발현성 기관지 천식환자에서의 기관지 수축과 methacholine 유발 기관지 수축간에 병태 생리학적으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방법 : Methacholine 유발검사의 객관적인 양성 반응의 판정을 위해서 methacholine 유발검사 전 과 후에 각각 spirometer와 plethysmography를 측정하였다. Methacholine에 의한 기관지 수축의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methacholine 유발 기관지 수축군과 중등도의 자연 증상 발현성 기관지 천식군 각각 18예를 대상으로 spiromter, plethysmography, 그리고 CO폐 확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 : 경증의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methacholine 유발검사 후에 시행한 plethysmography 소견상 30예전 예에서 Raw가 175% 그리고 SGaw는 239% 증가하였으며 30예전 예에서 Raw가 35%이상 증가하였다. RV은 methacholine 유발검사 후 평균 33.5%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30예중 7예는 methacholine 유발검사 후 RV가 기저값에 비해 감소하였다. VC와 DLCO는 methacholine 유발검사 후 기저값에 비해 각각 15.1%, 8.7%씩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나 ERV 및 TLC는 methacholine 유발검사 전과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Methcholine 유발검사 후의 FEV1 감소분과 RV 및 Raw의 증가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Methacholine 유발검사 후의 FEV_(t)의 변화와 Vmax50, Vmax25의 변화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없었으나 methacholine 유발검사 후 30예 전 예에서 Vmax50이 기저값에 비해 20% 이상 감소하였고 Vmax25는 27예에서 20%이상 감소하여 methacholine 천식유발검사에서 객관적인 양성판정 기준으로 Vmax50, Vmax25등이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Methacholine에 의한 기관지 수축군과 중등도의 자연 증상 발현성 기관지 천식군간의 spirometer, plethysmography 그리고 DLCO를 비교한 바 spirometerqus수와 DLCO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body plethysmography 변수에서는 methacholine 유발 기관지 수축군이 380.9±243.9% 대 247.8±102.0%로 자연 증상 발현성 기관지 천식군에 비하여 SGaw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이외의 다른 plethysmogrpahy 변수에서는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객관적으로 비특이적 기관지 과민도를 판정하는데 Vmax50, Vmax25 그리고 Raw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비록 병태 생리학적으로 자연증상 발현성 기관지 천식과 methacholine에 의한 기관지 수축사이에 차이가 있어도 methacholine 유발 기관지 수축 상태의 spirometer 및 plethysmography 소견은 자연 발현 기관지 천식의 폐기능을 반영하며 기관지 천식의 폐기능 연구에 methacholine 유발검사가 유용함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 Methacholine inhalation test was known to be a good method for assessing the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NSBH). And a decline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FEV1) of more than 20% indicates the presence of NSBH. But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determination of NSBH objectively as the results of spirometry are influenced by ptients motivations. And there are same differences in the mechanisms of airway narrowing between natural bronchial asthma and methacholine induced bronchial spasm. Methods : We measured spirometric and body plethys-mographic parameters both before and after inhalation of methacholine in 30 cases of mild asthmatics. To better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methacholine induced bronchospam, spirmetric and plethysmogra-phic parameters of methacholine induced bronchospasm(MIBS, n=18) were compared with natural bronchial asthma(n=18). The MIBS and natural bronchial asthma groups were matched with same predict value of FEV1(65 vs 67%)Results : After the inhalation of methacholine, maximal expiratory flow volume at 50% of total lung capacity(Vmax50) was decreased more than 20% compared to baseline value in all 30 cases and the Vmax25 was decreased more than 20% in 27 of the 30 cases. Inhalation of methaholine produced an 175% increase increase in airway resistance(Raw)and 239% increase in specific airway resistance(SRaw), and all of the 30 cases had an increase in Raw of more than 35 percent. Methacholine inhalation produced a 33.5% increase in residual volume (RV), however the RV was decreased or remained unchange after inhalation of methacholine in 7 out of 30 cas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otal lung capacity and effective residual volume between before and after inhalation of methacholine. Vital capacity and diffusing capacity of Co after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15.1% and 8.7% respectively. With comparison of MIBS(n=18) and natural bronchial asthma(n=18), SRaw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BS than natural bronchial asthma (380.±243.7 va 247.8±102.0% of pre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spirometric and other plethysmographic parameters. Conclusion : For assessing the NSBH, Raw, Vmax50 and Vmax25 are useful and objective parameters. And even though there are some pathophysologic differences between MIBS and natural bronchial asthma,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parmeters of spirometer and plethysmographic parameters except SRaw between MIBS and natural asthma.

      • KCI등재후보

        Vi Capsular Polysaccharide Vaccine 접종 후 Vi 간접형광항체법으로 측정한 항체가의 변화

        안광진 ( An Gwang Jin ),김준명 ( Kim Jun Myeong ),김응 ( Kim Eung ),정경섭 ( Jeong Gyeong Seob ),홍천수 ( Hong Cheon Su ) 대한내과학회 1990 대한내과학회지 Vol.38 No.6

        N/A The efficacy of purified Vi capsular polysaccharide(CPS) vaccine against typhoid fever has recently been reported in Nepal and South Africa. These results showed approximately 75% protective efficacy, which is at least comparable or superior to other parenteral and oral vaccines. In order to evaluate the immunogenecity of the Vi-CPS typhoid vaccine manufactured at the Merieux Institute in France, we vaccinated healthy young college student volunteers with Vi-CPS, and observed the serial changes of antibody titers for 12 months using the Vi indirect fluorescence antibody test. We observed overall seroconversion in 48.1% of the volunteers, which is lower than other reports, but we found that those with relatively low pre-immunization Vi antibody titers (≤1 : 8) showed 91.7% seroconversion, while those with high pre-immunization titers (≥1 : 16) showed only 13.3% seroconvesion. Booster Vi-CPS vaccine was injected in the nonseroconversion group during a period four months after the first vaccination and followed the Vi antibody titers. The changes of Vi antibody titers were not significant. Moreover, we found that the mean Vi antibody titers between the seroconversion group and the nonseroconversion group were essentially identical from the 30th day after vaccination, with no significant decrease for up to 12 months. Also the adverse effects of the Vi CPS vaccine were negligible compared with other vaccines that are currently available.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overall seroconversion rate was lower than previous repor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the immunogenecity according to pre-immunization Vi antibody titers, and ultimately the antibody titers in both groups became identical showing a sustained plateau for up to 12 month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protective efficacy at this acquired level of Vi antibody titers through Vi-CPS vaccination is satisfactory or not, further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studies need to b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