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의자 및 공범 진술의 증거능력 부여에 관한 합리적 개선 방안

        홍찬영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4 성균관법학 Vol.36 No.1

        지난 2022년 1월 1일 시행된 개정 형사소송법으로 인해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은 경찰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과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대법원 역시 위와 같은 변화에 발맞추어 기존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4항이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던 검사 작성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에 대해 제312조 제1항이 적용된다고 그 입장을 변경하였고,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1항이 규정한 조사자 증언 제도를 제312조 제1항과 제3항의 중대한 예외로 보아 증거능력 요건 중 ‘그 진술이 특히 신빙할 수 있는 상태’를 보다 엄격히 해석하여 사실상 수사단계에서 확보한 피고인, 공범의 진술은 당해 피고인이 내용을 부인하면 증거 현출 자체가 불가능한 지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변화는 피고인의 방어권을 보장하고 공판중심주의를 강화한다는 이점이 있으나, 수사단계에서 자백한 피고인, 공범의 진술 번복 가능성을 높여 소송경제를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피고인, 공범의 진술이 핵심 증거가 되는 중요 사건들의 공소사실 입증을 무력화하여 실체적 진실발견에 커다란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는 개정 형사소송법으로 인한 형사실무상 변화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공범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에 대한 규정 마련, 조사자 증언의 증거능력 요건 변경, 영상녹화 제도 활성화 등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Due to the amend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that took effect on January 1, 2022, the requirement to acknowledge the admissibility of a suspect interrogation transcript prepared by a prosecutor has been changed to the same as the requirement to acknowledge the admissibility of a suspect interrogation transcript prepared by the police. Reflecting such changes, the Supreme Court also changed its position that Article 312(1) rather than Article 312(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ppl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for recognizing the admissibility of a prosecutor's protocol on the interrogation of a suspect as an accomplice.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took a stricter interpret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statement is particularly credible" as one of the requirements for recogniz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by deeming the examiner's testimony system under Article 316(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as a grave exception under Articles 312(1) and 312(3). As a result, the testimony of the defendant himself/herself or his/her accomplice, which was obtained during the investigation stage, became inadmissible if the defendant denied its contents. Such changes have the advantage of guaranteeing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d himself/herself and strengthening the trial-oriented principle, but they may undermine the judicial economy 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that the defendant or his/her accomplice who confessed at the investigation stage will later reverse his/her statement. In addition, such changes are likely to make it difficult to prove the facts charged in the cases where the statements of the defendant or his accomplice serve as key evidence, and thus hinder the discovery of substantive truth. This study analyzed the practical changes and problems caused by the amendment to the Criminal Procedure Act as described above and, in particular, sought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establishing regulations on interrogatory transcripts of suspects prepared by accomplices, changing the admissibility requirements of testimony by investigators, and facilitating the video recording system.

      • KCI등재

        육아종합지원센터의 보육교사 대상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홍찬영,윤경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education effect by satisfaction level of untact real-time education for childcare teacher-executed by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with mediacy of teacher’s efficacy and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in managing education program by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Method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The survey for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education effects, teacher’s efficacy was performed from 11 March to 24 March in 2022. Excluding some outlying data, 202 sample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and data analyzing tool was SPSS WIN 22.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Results First,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education effect and teacher’s efficacy shows high position. Second, among sever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 number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increases their efficacy for education. Third, between satisfaction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education effect, and teacher’s efficacy, statical correlation was verified. Fourth, relation between real-time untact education satisfaction and education effect, teacher’s efficacy functions as a mediating parameter. So, plan or alternative for increasing teacher’s efficacy is required.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confirm the high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effects of real-time untact education at the Support Center Childcarer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 efficacy. Thi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childcare teachers' education at the Support Center Childcarere, and there is an empirical implication in the need to improve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목적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보육교사의 실시간 비대면 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육아종합지원센터 교육 운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비대면 교육 만족도, 교육효과, 교사효능감문항 설문을 2022년 3월 11일부터 3월 24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이상값을 제외한 202명의 결과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차이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실시간 비대면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 교사효능감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 중 실시간 비대면 교육 참여횟수는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실시간 비대면 교육만족도, 교육효과, 교사효능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시간 비대면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실시간 비대면 교육의 높은 만족도와 교육효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효율적인 보육교직원 교육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증진 필요에 실증적 함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종사자의 인식 비교

        홍찬영(Hong, Chan Young),황혜정(Hwang, Hye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와 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방법 경기도 소재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에 참여한 부모 268명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종사자 6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SPSS 24를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고 부모와 종사자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인식에서는 부모와 종사자 모두 ‘양육 증진감 증가 및 부모역량 강화’가 가장 우선순위로 나타났고 부모와 종사자 73.9%가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부모교육의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보육정책 및 어린이집 이해와 양육정보안내’, ‘인지발달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에서 부모와 종사자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부모교육 운영방법의 효과성 인식 차이에서는 부모의 경우 비대면 교육이, 종사자는 대면 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대면 교육방법에서는 부모의 경우 부모·자녀 체험 활동이, 종사자는 소집단 강연회(20명 미만)가 높게 나타났다. 비대면 교육에서는 부모의 경우 온라인 부모교육 영상안내 제공이, 종사자는 실시간 화상교육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교육 소요시간에서는 부모와 종사자 모두 1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을 위한 인식 차이 결과에서는 부모의 경우 문자 알림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종사자는 홈페이지 및 뉴스레터와 블로그 등이 높게 나타났다. 정책적 지원에서는 부모의 경우 자녀의 발달단계별 부모교육 콘텐츠 개발이 높았고 종사자는 양육수당 지급 시나 어린이집 입소 시 최소한의 부모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적 정책 마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부모와 종사자간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고려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 계획 시 부모의 참여를 높이고 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its staffs about parental education executed by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Methods For this purpose, 268 parents and 69 practitioners of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n Gyeonggi-do were the objects of the study,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4, and the chi-squared 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rents and its staff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aspects of the need and effectiveness of parental education at the Support Center for Childcare, increased childcare ability and enhaced parental competence are the highest priority for both parents and staffs, and 73.9% of parents and staffs are helpful. Second, among the several theme on parental education, “understanding of childcare policies and childcare information”, and “learning guidance methods for cognitive development” show meaningful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staffs. Third, non-face-to-face education was higher for parents and face-to-face education for staffs in aspects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arental education methods. In the face-to-face education method, many parents responded that parent-child experience activities were more important, and many staffs responded that small group lectures (less than 20 peoples) were more effective.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education, many parents replied that ‘online parental education video information’ was the most helpful. And many staffs replied that real-time video education for staffs was effective. On the question of the proper time for parental education, many parents and staffs selected ‘1 hour’ Fourth, in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for parental education activation plan, the text notification (SMS) showed the highest for parents, and the homepage, newsletter and blog were found to be high among staffs. On government supporting policies, parents showed the highest concerns in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contents for each stage of their children s development, and many staffs were concerned that all parents are obliged to attend basic parental education when they apply for home care allowance and are admitted to day-care center for children.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difference of perception on parental educaton between parents and staffs, and when programming parental education course, application of the basic data in this study will increase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efficiency of parental eduation.

      • KCI등재
      • KCI등재

        기술기반창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오승환,홍찬영,정성문 한국창업학회 2023 한국창업학회지 Vol.18 No.6

        창업은 저성장에 빠진 상황에서 경제의 동력을 확보하고 향후 미래산업을 이끌 산업을 발굴하는 수단이 된다. 일반적으로 창업이 경제성장을 가져오는 경로는 고용(노동)을증대시키고 기술진보를 가져오면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혁신기술 또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새로운 시장을 창조하여 제품이나 용역을 생산및 판매하는 형태의 창업’으로 정의되는 ‘기술창업’은 일반창업 대비 더 큰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창업기업의 국민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그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한다. 기술창업이 갖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하였는데,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기술기반 산업 내에서 창업기업과 비창업기업 간 경제적 파급효과의크기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고기술(high-tech) 산업 창업기업의 경우 부가가치 창출에 있어서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났는데, 이는 기술창업이 향후 디지털전환 시대의 부가가치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중-고기술(medium high-tech) 산업 창업기업의 경우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 모든 측면에서 준수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전문과학기술과 사업지원서비스 산업 창업기업들의 경제적 파급효과가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을 통해 산업별 창업 정책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산업별 맞춤형 창업 정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Start-ups are a means of secur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conomy in asituation of low growth and discovering industries that will lead to futureindustries. In particular, 'technology-based start-ups', defined as 'start-up in theform of producing and selling products or services by creating a new marketwith innovative technology or new ideas', is known to create greater economicadded value than general start-ups. This paper present an analysis framework toanalyze the national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technology start-ups andpresent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n their effects. An input-output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of technology-basedstart-ups, and the magnitude of the economic spillover effect betweentechnology start-ups and non-technology start-ups within a technology-basedindustry was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start-ups within high-techindustry have a high effect on creating added value, which shows that high-techstart-up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added value in the futuredigital transformation era. In the case of start-ups within medium high-techindustry, it was found that they play a good role in all aspects of productionspillover effect, value-added spillover effect and employment spillover effect. Inaddition, start-ups in the profession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businesssupport service industry are shown to have a high effect on creating added value. Through the analysis, various policy implications for customized start-uppolicy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