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 아폴리네르 시 「행렬」과 「나그네」의 담화 기호학적 분석

        홍정표 ( Hong Jeong-pyo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언어적 시간>, <발화>, <『알코올』>에 대해서 살펴보고, 시집 『알코올』에 수록된 「행렬」과 「나그네」를 담화 기호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담화 기호학은 담화를 발화체 뿐 아니라 활동 중인 담화 곧 발화행위의 관점으로 고찰하면서 새로운 체계와 의미를 파생시켰다. 이 기호학은 생성 중인 문학적 담화를 설명하기 위해 발화행위를 일종의 발화실천행위로 간주하며, 담화를 역동적인 발화실천행위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발화행위의 순간은 바로 현재가 된다는 점에서, 발화행위로부터 현재 범주의 설정이 나오고 현재 범주로부터 시간 범주가 생긴다. 벵베니스트는 시간을 물리적 시간, 연대기적 시간, 언어적 시간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중에서 언어적 시간은 주관적이며 양도가 불가능한 경험으로서 화자의 내부 세계 안에서 실현되는 것이다. 아폴리네르는 상징주의가 끝나가고 초현실주의가 싹트기 시작한 20세기 초에 그 시대의 정신을 가장 잘 표현한 시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새로운 시도의 실험적인 정신을 추구하는 전위 시인이면서도 과거의 전통과 문화유산을 수호하고자 노력했다. 시인의 시집 『알코올』은 매우 특이한 작품으로 발화의 관점에서 볼 때 화자가 아니라 청자 중심으로 조직되어 있다. 발화의 주체는 두 현동태 ‘나’와 ‘너’로 분리되는데, ‘나’는 주관적 인물, ‘너’는 비주관적 인물이다. 위치 행위소로 말하자면, 텍스트가 청자 중심으로 되어 있으므로 비주관적 인물이 기점 현동태, 주관적 인물은 목표 현동태일 뿐이다. 우리가 선택한 시 「행렬」은 동일한 인물을 가리키는 네 가지의 ‘나’, 즉 ‘나’, ‘너’, ‘새’, ‘기욤’이 번갈아 나오면서 각기 생각과 감수성을 드러내는 독백적 대화로 이루어졌다. 시 텍스트의 전반부에서는 시인의 상상적 정체성이, 후반부에서는 현실적 정체성이 표현되었다. 특히 시인은 후반부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뿌리를 찾기 위해 과거로 시선을 돌리는데, 과거의 문화 전통이 그의 내면에 그대로 살아있음을 보여주었다. 「나그네」는 분리작용과 재연동작용이 연달아 일어나는 시로서 과거의 삶에 현재의 삶을 겹쳐 놓아 공존하게 하여 독자가 일시에 두 가지를 경험하게 하며, ‘나’의 회상과 한탄이 시의 두 축을 이룬다. 본 논문은 적용 사례의 확장을 위해 프랑스 작품에 담화 기호학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그 가능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 Linguistic Time >, < Utterance >, and < Alcools >, and discourse semiotically analyze the “Procession” and “The Traveler” in the poetry collection Alcools. Discourse semiotics examined discourses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content of utterance but also active discourses, that is, speech acts to derive a new system and meaning. This semiotics regards speech acts as a sort of utterance practice behaviors in order to explain the literary discourses that are being created, and intended to identify discourses as the place where utterance practice behaviors are conducted. In that the moment of the speech acts is the present, the setting of the current category comes from speech acts, and the temporal category arises from the current category. Benveniste divides time into physical time, chronological time, and linguistic time. Among them, linguistic time is a subjective and non-transferable experience that is realized in the speaker’s inner world. Apollinaire is known as the poet who best expressed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symbolism ended, and surrealism began to sprout. Although he is an avant-garde poet who sought a new spirit, he is also a poet who strived to protect the traditions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past. This poet’s collection of poems, Alcools is a very unusual work, which is organized around the listener, not the speaker when seen from the point of view of utterance. The subjects of utterance are divided into two instances, ‘I’ and ‘you’, where ‘I’ is a subjective character, and ‘you’ is a non-subjective character. In terms of the position actant, since the text is centered on the listener, the non-subjective character is just the instance of source, and the subjective character is just the instance of target. The poem “Procession” selected by us is composed of monologue-like dialogues where four ‘Is’ referring to the same person, that is, ‘I’, ‘you’, ‘bird’, and ‘Guillaume’ appear alternately to reveal their respective thoughts and sensibility. The first half of the text of the poem expresses the poet’s imaginary identity, and the second half expresses the poet’s realistic identity. In particular, in the latter part of the poem, the poet turns his eyes to the past to find his identity and root thereby showing that the cultural traditions of the past are still alive as they are within him. “The Traveler” is a poem where disassociation and re-interlocking occur in succession, which superposed the present life on the past life so that the two lives coexist thereby making readers experience two things simultaneously and ‘my’ recollection and lamentation form the two axes of the poem. In order to expand applicable cases, this paper attempted discourse semiotic analysis of French works and proved the applicability and validity.

      • KCI등재
      • KCI등재

        담화 기호학 연구 -김승옥의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홍정표 ( Jeong Pyo Hong ) 한국기호학회 2013 기호학연구 Vol.37 No.-

        La presente etude a pour but de reinterpreter et de jeter une lumiere nouvelle sur le Recit de voyage a Mujin de Kim Seung-Ok, l`ecrivain coreen le plus fameux des annees soixante du point de vue de la semiotique du discours. J. Fontanille a etabli la semiotique du discours pour completer celles du recit et des passions. En semiotique du discours, on considerera l`univers de la signification plutot comme une praxis que comme un empilement stable de formes figees. Contrairement aux deux semiotiques classiques qui sont celles des ensembles signifiants achevees, la semiotique du discours se definit comme celle des ensembles signifiants en devenir. Choisir le point de vue du discours en devenir, c`est choisir d`observer la maniere dont la praxis semiotique schematise notre experience pour en faire des langages, plutot qu`observer et decouper des unites minimales. Dans cette perspective les trois piliers de la semiotique classique, le carre semiotique, la narrativite et le parcours generatif sont reevalues. Pour J. Fontanille, toutes les semiotiques comportent une dimension phenomenologique selon la part qu`elles accordent a la perception et a la sensibilite. Dans sa recherche de la structure de la conscience, il essaie de s`approcher de la phenomenologie. L`auteur Kim Seung-Ok est apprecie pour avoir renove la sensibilite en representant la confusion et le neant de la vie a cette epoque-la. Le Recit de voyage a Mujin est un texte ecrit selon le courant de la conscience. Par consequent son analyse doit se greffer sur la phenomenologie. L`auteur a beaucoup utilise les figures de la rhetorique. Aussi peuvent-elles etre analysees par la semiotique rhetorique. Finalement l`application a ce texte de la semiotique du discours a bien prouve la possibilite et la validite de cette methodologie.

      • KCI등재
      • KCI등재

        황순원 단편소설 「학」의 담화 기호학적 분석

        홍정표 ( Hong Jeong-pyo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5 No.-

        프랑스 기호학자 자크 퐁타닐이 1999년 발표한 담화 기호학은 완료된 형식화 이전의 생성 중인 의미작용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 기호학은 활동 중인 담화의 이론을 정립하고자 하며, 문학적 담화를 개인적 발화행위로 접근한다. 본고의 연구 대상 「학」은 소설 기법이 탁월하고 작가의 휴머니즘이 밀도 있게 그려져 있어 황순원 소설의 한축도라고도 일컬어진다. 우리는 이 텍스트를 현상학적, 긴장 구조적, 화용론적 접근에 주안점을 두어 연구하려고 한다. 현상학적 접근은 인간 의식의 구조, 의식의 본질적인 메카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텍스트는 현재의 사건과 과거의 회상이 서로 교차하면서 진행되고 있다. 즉, 주체 성삼의 의식에 분리작용과 연동작용이 연달아 일어나며, 이러한 작용을 여러 번 거친 끝에 주체는 유년 시절 단짝 친구였던 덕재의 포승줄을 풀어 주어 자유를 되찾게 해준다. 긴장 구조적 접근에서는 지각의 두 차원인 강도와 범위를 알아본다. 이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긴장 도식은 긴장적이고 점차적인 차이를 도식화하는 것이다. 텍스트에서 주체는 대상 덕재를 이끌고 마을→동구밖→고갯길→고갯마루→들판으로 이동하는데, 공간의 변화에 따라 처음에 고조되었던 긴장이 차츰 이완되는 반면에 처음에 최소였던 범위는 점점 더 증가하는 치밀한 구조를 볼 수 있다. 화용론적 접근에서는 한 화자의 발화체 속에 여러 발화자의 목소리가 공존하는 현상인 다성성(polyphonie)과, 암시(sous-entendu)를 텍스트에서 분석한다. 다성성은 텍스트 해석의 깊이를 발화체 이면의 발화행위에까지 확대하여 해석의 메카니즘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암시는 설명을 가능한 한 배제하고 발화행위 상황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추론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인간성의 파괴와 상실을 동심회복에 의해 극복하고자 한 작품 「학」의 내재된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담화 기호학 이론의 정립을 시도해 본다. The Semiotics of Discourse, published in 1999 by French semiologist Jacques Fontanille, is a study of the signification being generated before the completed formalization. This semiotics seeks to establish the theory of active discourses, and approaches literary discourses as personal speech acts. The study subject of this paper, 「Hak(crane)」is said to be one of the epitomes of Hwang Soon-Won’s novels because its novel techniques are excellent and it depicts the author’s humanism in-depth. We intend to study this text focusing on phenomenological, tension structural, and pragmatic approaches.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intended to clarify the structure of human consciousness and the essential mechanism of consciousness. The text is progressing as current events and recollections of the past cross each other. That is, dissociations and interlocking actions occur in succession in the consciousness of Seongsam, the subject,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se actions several times, the subject unties the rope of Deokjae, his best friend in childhood, so that he regains freedom. The tension structural approach deals with the combination of intensity and range, which are two dimensions of perception, and the schema tension formed by this combination is a schematization of the tensional and gradual difference. In the text, the subject leads Deokjae and moves from the village to the outskirts of a village followed by the hill, the peak of the hill, and the field. Here, we can see an elaborate structure in which as the space changes, the tension, which was high at first, gradually relaxes, while the range, which was minimum at first, gradually increases. In the pragmatic approach, polyphony, which is the phenomenon of hearing a mixture of voices of multiple speakers in the speech flow of one speaker, and suggestion are analyzed in the text. The polyphony extends the depth of text interpretation to the speech acts behind the speech flow so that the mechanism of interpretation can be grasped, and the suggestion is excluding explanations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reader infers through the situation of speech acts. Through the study as such, we intend to attempt to establish a systematic and concrete discourse semiotic theory by discovering the hidden meaning of the work 「Hak」, which was intended to overcome the destruction and loss of humanity through the recovery of the innocence of childhood.

      • KCI등재
      • 최대 출력 제어 기법을 이용한 농형 유도 발전기 제어에 관한 연구

        홍정표(Jeng-Pyo Hong),정종원(Jong-Won Jeong),원태현(Tae-Hyun Won),권순재(Soon-Jae Kwon) 전력전자학회 201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농형 유도 발전기를 이용한 가변속 독립운전형 풍력 발전 시스템의 최대 전력 추종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M-G 세트로 구성하여 풍력터빈의 역할을 하는 터빈 시뮬레이터를 직류전동기의 토크제어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농형 유도발전기는 벡터제어를 기본으로 간접 벡터제어를 위하여 유도발전기를 좌표 변환하여 모델링하고 이것을 기초로 제어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