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별지원교육을 통해 본 일본 통합교육과 한국에의 시사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일본 특별지원교육 제도를 통해 일본 통합교육의 특징과 과제를 밝히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전환배경을 밝히고, 일본 특별지원교육 제도 개혁이 통합교육의 국제적 동향에 비춰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일본 통합교육의 과제를 일반교육개혁 제기의 부재, 특별지원학급과 통급에 의한 지도의 이원적 운영, 불충분한 재정적 지원, 취학ㆍ배치 문제를 중심으로 명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inclusive education in Japa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pecial Support Education system to define characteristics, present conditions, and assignments, and also to produce applications for Korea. To achieve the objective,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trend on the inclusive education and compared the major details of system reform of Special Support Education in Japan to the international trend. Assignments for the Japanese inclusive education was st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in Japan was provided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ystem modification for Special Support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the reality of exchange and group study, and the concept of recently announced ‘continuity of various places for learning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course of Japan.’ Based on these, applications for Korea were proposed.

      • KCI등재

        일본 지적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의 동향과 한국에의 시사점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하는 진로직업교육의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0년대 들어 일본에서는 직업지도, 진로지도 등의 명칭을 캐리어교육으로 변경하였으며, 일반교육에서 캐리어교육이 강조되면서 지적장애교육에도 그 개념과 실천이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일본의 지적장애 분야에서 캐리어교육은 자립 및 사회참가를 지향한 활동을 어린 시절부터 고등부, 나아가서는 성인 이후도 일관성, 계통성, 연속성 가운데 이루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일본에서의 캐리어교육의 의미와 추진 배경에 대해 검토하였고, 다음으로 일본 지적장애교육에서의 캐리어교육의 의미와 그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캐리어교육의 구체적인 실천내용은 지적장 애교육과정에서의 캐리어교육의 위치, 지적장애학생의 캐리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발달단계표의 내용과 특징, 개별교육지원계획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일본의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은 그 목표와 내용이 캐리어교육과 깊이 관련되어 있고, 2009년 개정에서는 고등부 학습지도요령에 캐리어교육이라는 용어가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여기서는 충실한 직업교육과 진로지도, 장기간의 현장실습, 지역사회 유관기관 및 사업체, 가정 등과의 협력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둘째, 발달단계표는 특별지원학교(지적장애) 초·중·고등부(12년 간)의 진로직업교육을 캐리어교육의 관점에서 계통적으로 인식하는 지표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일본에서는 다양한 지역과 학교에서 독자적인 캐리어 발달단계표를 작성하여 체계적인 캐리어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셋째, 2009년 3 월에 고시된 특별지원학교 학습지도요령에서는 개별교육지원계획의 작성이 의무로 규정되었다. 개별교육지원계획은 장애학생을 생애에 걸쳐 지원한다는 관점에서 학생 개개인의 요구를 파악하여 관계자 및 기관의 연계에 의한 적절한 교육적 지원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상의 지도나 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캐리어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로 개별교육지원계획이 주목받고 있다. 이와 같은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적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2000s, in Japan, categories such as vocational guidance and career guidance were changed to career education, and since career education was emphasized in general education, the concepts and practices of career education also came to affect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career education in the area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means both performing activities aimed at self-reliance and participating in society, from childhood through school days and into adulthood, systematically and with consistency, and continuity.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and background of career education in Japan followed by the meaning and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Japan. In this study, the concrete contents of practice of such career educa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status of career education in curricula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stage table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pla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bove study. First, the objectives and contents in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Japan is closely related to career education and the term “career education" has been used in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 for the first time from the 2009 revision. In this revision, practical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long-term field practices, and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related institutions, business corporations in local communities, and homes have been emphasized. Second, the development stage table suggested an index that can recogniz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12 years) of special support school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systematically. Based on the table, various communities and schools have created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stage table to promote systematic career education in Japan. Third, cre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plans has been mandatory in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special support schools which was publicly noticed in March 2009.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plans is to provide educational guidance or support in order to perform educational support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via related parties and institutions by identifying the requirements from individual students from the viewpoint of lifetime support of disabled students. In Japan,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plans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tool to promote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cases in Japan,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to improvement direction to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Korea.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환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홍정숙 ( Jeong Suk H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환교육에 대한 국내 전문학술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 주제에 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와 일부 직업재활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관련논문 총 51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논문들은 연도별·학술지별,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 유형 및 연구대상 수, 학교급별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2000년부터 관련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고, 지적장애연구 학술지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해 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주제는 실태 및 개선방향 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고,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가 그 뒤를 이었으며, 연구대상은 교사와 학생을 위주로 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급별 유형 분석에서는 전공과와 고등부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전환교육 관련 연구방향 등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papers on transition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ublished on domestic specialized academic journals to identify the trend of studies on the subjects and present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To this end, a total of 51 related papers published on special education-related academic journals and some occupational rehabilitation-related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se papers were classified by year·journal, study method, type of study subjects, number of study subjects, and type of school leve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related studies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from 2000, the largest number of papers was published on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s, and th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through survey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Among the study subjects, actual conditions and directions of improvement wer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teaching methods and the study subjects were limited mainly to teachers and students. Finally, through analysis of types by school level, it could be seen that th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by majoring departments and high school group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s mentioned above,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related to transi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 국내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홍정숙(Jeong Suk Ho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 분석대상 문헌은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특수교육사 관련 논문이다. 발표연도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총 12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술지 논문은 97편(80.9%)이었고, 학위논문은 23편(19.1%)이었으며, 2000년대에 가장 많은 논문(70편, 58.3%)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시기는 통사의 비중이 기간을 한정한 논문보다 월등히 높았다. 셋째, 한국특수교육사 연구는 85편(70.8%), 외국 특수교육사 연구는 35편(29.2%)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전체사 연구였으며(110편, 91.7%), 지역사 연구는 10편(8.3%)에 불과하였다. 넷째 특수교육대상 유형별로는 특수교육 전반의 역사를 다룬 일반 논문이 79편(65.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내용 영역에 따른 동향은 특수교육 제도사(41편, 31.1%), 특수교육 사상·인물사(40편, 30.3%), 특수교육 내용·방법사(21편, 15.9%), 특수교육 문화사(15편, 11.3%), 특수교육학사(13편, 9.9%), 특수교육 구술사(2편, 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에서 연구가 미진하거나 편향된 부분을 밝히고, 균형 있는 특수교육사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일반교육주도의 특수교육 찬반 쟁점과 시사점 -학습장애를 중심으로-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일반교육주도(Regular Education Initiative: REI) 논쟁에서 REI 주장자들이 특수교육을 비판한 이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보수적인 특수교육 전문가들의 반론을 살펴본 후, REI 논쟁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로 비생산적인 논쟁이었음을 밝혔다. 첫째, 양 진영이 각각 특수교육과 일반교육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아, 문제해결의 합의점에 도달하지 못했다. 둘째, 일반교육 측의 참여 없이 특수교육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논쟁이었다. 또한 REI 논쟁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진 문제가 학습장애 학생의 분류와 지원형태에 관한 것이라는 점을 밝혔고, 이를 토대로 한국 학습장애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일단 일반적인 학습부진 학생에 대해서는 학교단위의 적극적인 교육적 중재가 계획·실천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학습장애 학생들을 진단하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학습장애의 여러 유형에 적합한 지도내용과 방법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학습장애의 정도에 맞는 다양한 수준의 지원 체제와 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This paper focused on determined the reason that REI advocates REI criticized special education in the REI dispute and it examined how conservative special educators brought forth a counterargument. By that, the point that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should make to reference was found out. The REI dispute was an unproductive dispute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oth camps asked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for the cause of the problem, respectively, and were not able to find out a point of agreement for solving the problem. Second, it was a dispute produced in the special education community without participation from those in genera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key issues in REI debates were the classificat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upport forms for them, which gives suggestions as to Korea`s learning disability education as the following. First, active intervention needs to be planned and made from the school level for students with general learning difficulties, and through this process, an approach diagnosing learning disability students is required. Second, experts from diverse fields need to cooperate to provide appropriate guidance and methods to various 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Third, diverse support systems and education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개선 방안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특수교사들의 직전교육 관련 경험과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현행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특수교사들이 나타낸 인식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특수교사는 높은 교과 전문성이 요구되며, 교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교육 전공 수업과 표시과목 전공 수업은 이론 위주의 수업으로 이뤄지고,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발달장애학생 교과교육 관련 전문성 습득에 제한을 가진다. 셋째,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의 문제점은 양성제도와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실천 및 교원임용제도 간에 관련이 적다는 것이다. 넷째, 개선점은 교과교육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본이수과목의 장애영역별 과목을 줄이며, 특수교육 전공에서 기본교육과정의 교과 관련 과목을 편성ᆞ운영할 필요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중등특수교사 교원양성제도 관련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등특수교사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관련 교과교육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표시과목 전공의 취득학점 조정이 필요하다. 넷째, 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표시과목을 검토 및 설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중등특수교사 교원임용을 표시과목별 교사로 선발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raining system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discusses how to improve the system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regarding their pre-service training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training system. The teachers’responses to interview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training system were divided into 19 sub-themes, nine themes and four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 high levels of subject expertise, but the expertise they acquire in this area is not adequate and needs to be increased. Second, most of the classes for special education major and subject majors consist of theory-oriented courses and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basic curriculum and acquiring specialization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roblem with the training system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that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 of education and both the practice that take plac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employment system for the teachers. Finally, method for improving the training system include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subject expertise, reducing the number of courses on disabilities in the basic completion subject, and organizing and offering courses related to subjects that are part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maj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ystem and ways in which it could be improved.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 교과 운영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들의 인식

        홍정숙 ( Hong Jeong-suk ),박영근 ( Park Yung-ke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학교의 교과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교과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 요구 및 개선 방안을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중등특수교사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교사 17명을 연구 참여자로 목적 표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을 약 1시간 전후로 실시하였다. 면담 문항은 특수학교 중·고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이에 대한 인식, 교과 운영과 관련하여 겪고 있는 어려움, 그에 따른 지원 요구 및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면담을 실시한 후에는 일주일 안에 모든 면담 내용을 전사하였고, 면담 내용은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83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찾았고 이를 35개의 소주제, 11개의 주제, 4개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4개의 범주는 다음과 같다. 1)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학교 교과 운영 관련 실태, 2) 학급 담임제와 교과 전담제에 대한 인식, 3)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와 임용제도에 대한 인식, 4) 교과 지도관련 지원 요구. 연구 결과에서는 이들 범주에 해당하는 분석 내용과 대표적인 면담 내용을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면담 범주에 따른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econdary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identify the support needs as well as improvement strategies for an effec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this purpose, 17 teachers with at least 3 years' experience in middle or high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for about one hour. The questionnaire covered topics such as perception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econdary special schoo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curriculum, needs for support, and strategies for improvement for an effec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All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within one week after the interview and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383 meaningful statement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to 35 sub-themes, 11 themes, and 4 categories. The categories are as follows: 1) actual situa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econdary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perception of the class teacher system and the specialist teacher system 3) perception on the current teacher training system and teacher recruitment system, and 4) support needs for subjects instruction as a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nalysis were presented with an interview case representative of each category.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on each interview category was presented.

      • KCI등재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홍정숙 ( Jeong Suk Hong ),김금숙 ( Kum Suk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담당 특수교사들의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거점학교의 운영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9명의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와의 면담 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27개의 부주제, 9개의 주제, 성과요인과 과제요인이라는 2개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거점학교 특수교사들은 성과요인보다 과제요인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범주인 성과요인으로는 거점학교 운영을 통해 특수학급 교사, 학부모, 유관기관 등의 관계자 및 관계기관과의 연계가 강화되었고, 거점학교 참여 특수학급 학생들과 교사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적절한 진로직업교육 기회의 확대와 취업률 제고를 이룬 점을 들고 있었다. 두 번째 범주인 과제요인으로는 인력부족으로 대표되는 거점학교 업무환경의 개선 필요성, 성과 위주의 거점학교 정책에 대한 지적, 관리자·학부모·지역사회 등의 장애인식개선의 필요성, 유관기관과의 연계·협력, 현장실습, 거점학교 특성화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거점학교 정체성에 대한 재고 필요성, 교육청 등의 상급기관과 교내에서의 행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거점학교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stabilize the future management of job-centered schools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based on a qualitative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ith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Van Kaam. As the results, the data were segmented into 27 sub-themes, 9 themes, and 2 categories of achievement and challenge facto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challenge factors more strongly than achievement factors. As the first category of achievement factors, they pointed out that the management of job-centered schools strengthened the connection among the relate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special class teachers,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produc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mong special class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job-centered school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future directions and employment in an active manner, and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prope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increased employment rates. As the second category of challenge factors, they included the need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job-centered school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human resources, criticism of the policies of the job-centered schools, which were without long-term and systematic approaches and focused on quantitative outcomes, the needs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a disability of administrato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local communities, reconsideration on the identity of the job-centered schools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field training,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job-centered schools, and the needs of providing administrative support by high-level organizations such a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tasks necessary for stabilizing the future management of the job-centered schools.

      • KCI등재

        일본 직업중점 고등특수학교의 사례와 시사점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일본의 특별지원교육 현황 및 대표적인 직업중점 고등특수학교인 시라가와(白河) 종합지원학교의 교육실천 내용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특수학교 재구조화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본에서는 최근 직업자립을 표방하는 고등 특수학교가 늘고 있는데, 이는 2007년 특별지원교육으로의 제도전환과 더불어 국가적으로 진로교육을 강조하는 흐름이 특별지원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시라가와 종합지원학교는 이러한 일본의 동향을 잘 나타내는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일본 국내에서도 성공적인 진로ㆍ직업교육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문헌연구와 현장방문 및 인터뷰의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 특별지원교육과 지적장애 진로ㆍ직업교육의 동향에 대해 고찰하고 시라가와 종합지원학교의 교육실천 내용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특수학교 재구조화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hirakawa comprehensive support school, Japan’s leading special high school focused on vocational education,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tructuring special schools in Korea.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high schools in Japan aiming to provide vocational training to students to help them live independently. This reflects the system change from special education to special needs education in 2007, as well as the nationwide trend of emphasizing vocational training in education. The Shirakawa school is an exemplary case that reflects this trend in Japan, and i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within the country for its successful provis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site visits, and interviews, I examine the trend of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 at the Shirakawa school, and I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content for restructuring special school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