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지적장애아(인) 발달보장운동의 사상적 원류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논문은 일본에서 장애아동 교육권보장운동의 원동력이 되었던 이토가카즈오(□賀一雄, 1914~1968)의 사상을 고찰하고, 그 특질과 한국 특수교육에의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이토가의 생애와 중도지적장애아동과 관련한 업적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 아이들을 세상의 빛으로’, ‘자기실현’, ‘발달보장’을 중심으로 하는 이 토가의 사상을 구명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이토가 사상의 특질이 도출되었다. 첫째, 이 토가의 사상은 장애아(인), 특히 중도지적장애아(인)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 보다 엄밀하게는 각 개인의 인식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둘째, 모든 장애인은 아무리 중도장애라도 인간으로서의 자기실현 및 발달 가능성과 발달의 기본적 도정에 있어서 비장애인과 공통성을 가진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셋째, 이토가의 사상은 장애아동 복지와 특수교육 실천을 통해 확립·심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이토가 사상의 한국 특수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thesis reviews thought of Itoga Kazuo who was an impetus to the movement for guaranteeing educational right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Japan. Futhermore, it aims to discover particularities of his thought as well as potenti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Korea. To begin with, I delineated Itoga’s life, focusing on his accomplishments related to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Next, I examined aspects of Itoga’s thought around “let these children be the light of the world”, “self-realization”, and “guaranteeing of development”. As a result, I drew particularities of Itoga’s thought as follows. First, Itoga’s thought urges us to change our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including adults), particularly of children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including adults), and specifically each individual’s change towards them. Second, Itoga emphasizes that everyone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it being severe intellectual or not, has the potential for self-realization and development as human beings an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ose without disabilities in a basic course of development. Third, Itoga’s thought was established and deepened through welf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actice of special education. Finally, Itoga’s thought suggested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일본 직업중점 고등특수학교의 사례와 시사점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일본의 특별지원교육 현황 및 대표적인 직업중점 고등특수학교인 시라가와(白河) 종합지원학교의 교육실천 내용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특수학교 재구조화에 참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본에서는 최근 직업자립을 표방하는 고등 특수학교가 늘고 있는데, 이는 2007년 특별지원교육으로의 제도전환과 더불어 국가적으로 진로교육을 강조하는 흐름이 특별지원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시라가와 종합지원학교는 이러한 일본의 동향을 잘 나타내는 사례라 할 수 있으며 일본 국내에서도 성공적인 진로ㆍ직업교육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문헌연구와 현장방문 및 인터뷰의 연구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일본 특별지원교육과 지적장애 진로ㆍ직업교육의 동향에 대해 고찰하고 시라가와 종합지원학교의 교육실천 내용의 특징에 대해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특수학교 재구조화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hirakawa comprehensive support school, Japan’s leading special high school focused on vocational education,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structuring special schools in Korea.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high schools in Japan aiming to provide vocational training to students to help them live independently. This reflects the system change from special education to special needs education in 2007, as well as the nationwide trend of emphasizing vocational training in education. The Shirakawa school is an exemplary case that reflects this trend in Japan, and it has received much attention within the country for its successful provision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site visits, and interviews, I examine the trend of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and career and vocational trai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 at the Shirakawa school, and I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is content for restructuring special schools in Korea.

      • KCI등재

        일반학교 설치 전공과 운영에 대한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홍정숙 ( Hong Jeong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7 지적장애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일반학교 전공과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들의 전공과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일반학교 전공과의 운영 실태를 밝히고 향후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5년 7월 기준 전국의 전공과를 설치한 일반학교 19개교 중 7개교 10명의 전공과 담당 특수교사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에 대한 담당 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연속적 비교법에 의해 분석한 결과, 744개의 의미 있는 진술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47개의 부주제와 19개의 주제로 분류하였고 다시 3개 범주로 조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일반학교 전공과 운영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to examin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majoring courses at general schools that they manage to investigate how the courses are operated, and to propose how to improve them in the future. To this e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managing majoring courses at seven out of 19 gener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at had majoring course as of July 2015. An analysis of the interviewees` perception over management of majoring courses based on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yielded 744 significant statements. They were divided into 55 sub-themes and 22 themes, and then grouped into 3 categor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identified tasks to enhance management of majoring courses at general schools.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1

        [목적] 이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밝히고, 그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온라인 커뮤니티에 2019년 12월 31일까지 7년 여간 게재된 글 가운데 학부모 관련 글을 수집하였고, 이 자료를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결과, 28개의 하위 주제, 11개의 주제와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과] 2개의 범주는 ‘특수교사가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과 ‘학부모와의 관계 가운데 느끼는 특수교사로서의 보람과 성찰’이었다. 11개 주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학부모라는 존재 자체의 불편함, (2) 학부모 역할에 대한 기대와 현실 간의 간극, (3) 동반자관계 형성의 장벽: 신뢰와 존중의 결여, (4) 왜곡된 권리의식의 표출: 무리한 요구와 교권침해, (5) 힘겨운 소통, (6) 부정적 경험이 낳은 심리적 위축과 소진, (7) 학생의 학습권에 악영향을 미치는 학부모와의 부정적 관계, (8)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보람, (9) 학부모와의 연대와 배움의 필요성, (10) 학부모 마음 알아주기, (11) 특수교사의 교직 정체성과 교권 지키기. [결론] 특수교사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학부모와 겪은 부정적 경험 위주의 글을 올린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학부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경험에 대한 분석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특수교사들은 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시사점 세 가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에 의한 교권침해는 특수교사의 인권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교육권 침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시급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기간제 특수교사는 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었다. 학교장의리더십 발휘를 통한 기간제 특수교사의 안정적인 교육 여건 조성이 필요하며, 근본적으로는 정규교사의 비율을 높이고 기간제 특수교사는 불가피한 경우에 부분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와 특수교사들이 특수교사 양성 및 연수 과정에서 교육 체계 안과 밖의 가족 지원 제도를 배울 수 있도록 하고, 부모상담 역량 또한 키울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 밖에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사들의 학부모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leading online communit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arents and thei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Method] Of the posts uploaded by December 31, 2019, those relating to parents were colla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omparative sequential method. From the data analysis, 28 subthemes, 11 themes, and 2 categorie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two categorie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 sense of reward and self-reflection experienced as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main contents of the 11 themes were as follows: (1) inherent discomfort with parents, (2) a gap between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parents and reality, (3) barriers to the formation of partnerships―lack of trust and respect, (4) an expression of a distorted sense of entitlement―unreasonable demands and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5) difficult communication, (6) psychological withdrawal and exhaustion caused by negative experiences, (7)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that adversely affect students’ right to learn, (8) a sense of reward felt in relationships with parents, (9) the need for solidarity with parents and learning, (10) the need to empathize with parents, and (11) the need to protec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rights. [Conclus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make posts centered around their negative experiences with parents in the online communit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ir positiv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parents was quite limited in this study. On further consideration of this poi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face various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following three broad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by parents leads to the violation of not on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human rights but also students’ right to education. In this sense, it seems urgent to provide proper measures. Second,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ported experiencing growing difficulti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is requires the creation of stable education conditions for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Fundamentally,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examine the measure of raising the ratio of tenured teachers and partially employing nontenur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f necessary. Third, learning family support system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considered a priority in the course of training prosp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n skill improvement for incumb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ddition, their capability to counsel parents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nd experience with parent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과 개선 방안

        홍정숙 ( Hong Jeong-su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특수교사들의 직전교육 관련 경험과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현행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의 실태와 개선 방안에 대한 논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특수교사들이 나타낸 인식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특수교사는 높은 교과 전문성이 요구되며, 교과 전문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교육 전공 수업과 표시과목 전공 수업은 이론 위주의 수업으로 이뤄지고,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발달장애학생 교과교육 관련 전문성 습득에 제한을 가진다. 셋째, 중등특수교육 교원양성제도의 문제점은 양성제도와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실천 및 교원임용제도 간에 관련이 적다는 것이다. 넷째, 개선점은 교과교육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본이수과목의 장애영역별 과목을 줄이며, 특수교육 전공에서 기본교육과정의 교과 관련 과목을 편성ᆞ운영할 필요성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중등특수교사 교원양성제도 관련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등특수교사의 정체성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본교육과정 관련 교과교육 전문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표시과목 전공의 취득학점 조정이 필요하다. 넷째, 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표시과목을 검토 및 설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중등특수교사 교원임용을 표시과목별 교사로 선발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raining system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discusses how to improve the system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the teachers’regarding their pre-service training as well as their perceptions about the training system. The teachers’responses to interview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ir perceptions regarding the training system were divided into 19 sub-themes, nine themes and four categor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 high levels of subject expertise, but the expertise they acquire in this area is not adequate and needs to be increased. Second, most of the classes for special education major and subject majors consist of theory-oriented courses and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basic curriculum and acquiring specializations related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roblem with the training system for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s that there is little relationship between the system of education and both the practice that take place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employment system for the teachers. Finally, method for improving the training system include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subject expertise, reducing the number of courses on disabilities in the basic completion subject, and organizing and offering courses related to subjects that are part of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maj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for th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ystem and ways in which it could be improved.

      • KCI등재

        특별지원교육을 통해 본 일본 통합교육과 한국에의 시사

        홍정숙 ( Jeong Suk H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일본 특별지원교육 제도를 통해 일본 통합교육의 특징과 과제를 밝히고, 한국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특별지원교육의 전환배경을 밝히고, 일본 특별지원교육 제도 개혁이 통합교육의 국제적 동향에 비춰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일본 통합교육의 과제를 일반교육개혁 제기의 부재, 특별지원학급과 통급에 의한 지도의 이원적 운영, 불충분한 재정적 지원, 취학ㆍ배치 문제를 중심으로 명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observe the inclusive education in Japa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pecial Support Education system to define characteristics, present conditions, and assignments, and also to produce applications for Korea. To achieve the objective,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trend on the inclusive education and compared the major details of system reform of Special Support Education in Japan to the international trend. Assignments for the Japanese inclusive education was st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in Japan was provided by analyz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ystem modification for Special Support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the reality of exchange and group study, and the concept of recently announced ‘continuity of various places for learning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course of Japan.’ Based on these, applications for Korea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배양된 별큰포식세포의 무산소-산소재공급 시험관실험모델

        홍정숙(Jeong Sook Hong),성훈기(Hoon Ki Sung),송인환(In Hwan Song),김주영(Joo Young Kim),지대림(Dae Lim Jee),성언기(Eon Gi Sung)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3

        본 실험은 생체의 특성을 잘 유지할 수 있는 별큰포식세포의 배양법을 확립하고, 배양된 별큰포식세포를 이용하여 간 의 허혈-재관류 과정에서 발생되는 별큰포식세포의 활성화를 재현할 수 있는 시험관내 실험모델을 제작하여 다음의 결과 를 얻었다. 별큰포식세포의 분리에서 collagenase의 관류, stainless 그물의 통과, Percoll gradient centrifugation 및 세포가 배양용기에 부착하는 시간의 차이를 이용한 분별부착법 등의 일련의 조작으로 90% 이상의 순수한 별큰포식세포를 얻을 수 있었다. 흰쥐 1개의 간에서 1~5×107개의 별큰포식세포를 얻었고, 다른 세포의 과다증식없이 별큰포식세포 배양을 10일 정도 유 지할 수 있었다. 배양된 별큰포식세포의 탐식능력은 배양액에 첨가된 latex beads의 탐식정도로 측정하였는데, 그 수가 한 개에서 수십 개로 다양하였다. 크고 둥근 모양의 별큰포식세포가 많은 latex beads를 탐식하였고 작거나 불규칙한 모양의 세포는 탐식 능력이 떨어져, 생체에서의 별큰포식세포의 다양성에 따른 탐식능력의 차이가 시험관에서도 유지되었다. 배양된 별큰포식세포의 무산소-산소재공급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70.2%의 세포가 latex beads를 탐식하였고 latex beads 를 탐식한 세포들 중 57.5%의 세포가 5개 이상의 latex beads를 탐식하여 대조군의 48.9%와 44.3%에 비교하여 유의한 증 가를 보여 (p⁄0.01), 허혈-재관류 후에 발생되는 별큰포식세포의 활성화를 직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배양된 별큰포식세포는 탐식기능에서 생체의 특성을 잘 유지하였고, 이를 이용한 무산소-산소 재공급 시험관모델은 간의 허혈-재관류 손상에서 별큰포식세포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a reproducible method for the isolation, purification and primary culture of rat Kupffer cells, and were to develop in vitro system which could provide a tool for the study of ischemia-reperfusion injury. Kupffer cells were isolated following sequential collagenase digestion of the liver by perfusion and enrichment of a nonparenchymal cell fraction by a double-densities gradient centrifugation step using Percoll and were selected by allowing them to adhere to culture vessel for 2 h at 37�C under 5% CO2. The purity of obtained Kupffer cell was about 90% assessed by the phagocytosis of 3 μm latex beads. This method for Kupffer cell isolation resulted in yields of 1~5 ×107 Kupffer cells per liver and Kupffer cells were preserved in maintenance cultures for 10 days. The phagocytic capacity of cultured Kupffer cells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tex beads incorporated into the cytoplasm. Larger round Kupffer cells in the culture had higher phagocytic capacity compared with smaller round or irregular shaped Kupffer cells. The different phagocytic capacity of Kupffer cells which was dependent on size and shape in vivo was well preserved during culture. The experimental group of Kupffer cells in culture were sequentially treated with ischemia and reperfusion at 1h and 30 min. The ratio of Kupffer cells having latex beads in their cytoplas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p⁄0.01). This result was able to explain the Kupffer cells’ activation after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vivo. In conclusion, Kupffer cells in this culture well resembled the cells in vivo and this in vitro model could provide a valuable tool for the study of Kupffer cells with a key role in pathophysiology of ischemia-reperfusion injury.

      • 국내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홍정숙(Jeong Suk Ho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특수교육 역사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로, 분석대상 문헌은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학위논문으로 발표된 특수교육사 관련 논문이다. 발표연도는 제한하지 않았으며, 총 12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술지 논문은 97편(80.9%)이었고, 학위논문은 23편(19.1%)이었으며, 2000년대에 가장 많은 논문(70편, 58.3%)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시기는 통사의 비중이 기간을 한정한 논문보다 월등히 높았다. 셋째, 한국특수교육사 연구는 85편(70.8%), 외국 특수교육사 연구는 35편(29.2%)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전체사 연구였으며(110편, 91.7%), 지역사 연구는 10편(8.3%)에 불과하였다. 넷째 특수교육대상 유형별로는 특수교육 전반의 역사를 다룬 일반 논문이 79편(65.8%)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섯째, 내용 영역에 따른 동향은 특수교육 제도사(41편, 31.1%), 특수교육 사상·인물사(40편, 30.3%), 특수교육 내용·방법사(21편, 15.9%), 특수교육 문화사(15편, 11.3%), 특수교육학사(13편, 9.9%), 특수교육 구술사(2편, 1.5%)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사 연구에서 연구가 미진하거나 편향된 부분을 밝히고, 균형 있는 특수교육사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의 인식

        홍정숙 ( Jeong Suk Hong ),김금숙 ( Kum Suk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담당 특수교사들의 거점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을 질적 연구를 통하여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거점학교의 운영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9명의 거점학교 운영 담당 특수교사와의 면담 자료를 Van Kaam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27개의 부주제, 9개의 주제, 성과요인과 과제요인이라는 2개의 범주로 분류되었으며, 거점학교 특수교사들은 성과요인보다 과제요인을 더 많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범주인 성과요인으로는 거점학교 운영을 통해 특수학급 교사, 학부모, 유관기관 등의 관계자 및 관계기관과의 연계가 강화되었고, 거점학교 참여 특수학급 학생들과 교사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들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적절한 진로직업교육 기회의 확대와 취업률 제고를 이룬 점을 들고 있었다. 두 번째 범주인 과제요인으로는 인력부족으로 대표되는 거점학교 업무환경의 개선 필요성, 성과 위주의 거점학교 정책에 대한 지적, 관리자·학부모·지역사회 등의 장애인식개선의 필요성, 유관기관과의 연계·협력, 현장실습, 거점학교 특성화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거점학교 정체성에 대한 재고 필요성, 교육청 등의 상급기관과 교내에서의 행정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거점학교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stabilize the future management of job-centered schools by the comprehensive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based on a qualitative study.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ith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manage job-centered schools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Van Kaam. As the results, the data were segmented into 27 sub-themes, 9 themes, and 2 categories of achievement and challenge factor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challenge factors more strongly than achievement factors. As the first category of achievement factors, they pointed out that the management of job-centered schools strengthened the connection among the related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special class teachers,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produced high levels of satisfaction among special class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job-centered schools, changed their perception of future directions and employment in an active manner, and expanded the opportunities for prope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increased employment rates. As the second category of challenge factors, they included the need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job-centered schools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human resources, criticism of the policies of the job-centered schools, which were without long-term and systematic approaches and focused on quantitative outcomes, the needs of improving the awareness of a disability of administrato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local communities, reconsideration on the identity of the job-centered schools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field training,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job-centered schools, and the needs of providing administrative support by high-level organizations such a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tasks necessary for stabilizing the future management of the job-centered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