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교과와 철학, 그 불가피한 내재적 연관성과 학문적 확장 양상 : 박병기의「도덕 교과와 철학,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 홍윤기의 ‘도덕?윤리의 철학귀속성과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도덕교육론적 응답」에 대한 재응답

        홍윤기(Hong Yun-gi)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7 사회와 철학 Vol.0 No.14

        본 논문의 쟁점은 한국 철학계의 교육역량 부족을 강조하고 철학의 정체성 위기를 부각시켜 철학의 학문적·교육적 신용을 추락시킨 다음, ‘철학’만으로 풀 수 없다고 보이는 ‘삶의 문제’를 푸는 것으로 도덕교육의 목표를 설정한 다음, 그것에 학제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윤리학’이라고 규정한 박병기 교수의 논증이다. 이에 대해 필자는 철학계의 역량에 대한 박 교수의 평가는 이미 20세기 후반기 당시의 경험에 근거한 것이라 효력이 없는 비판이며, 철학의 정체성 위기를 철학의 학문적 능력의 불안정 내지 붕괴로 보는 그의 이해는 철학사에 대한 근시안적 관찰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본 논문은 윤리학이나 도덕교육을 삶의 문제(“어떻게 살 것인가”)를 풀어가는 각성의 과정으로 보는 그의 학문관이 도덕과 윤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가치규범적 평가(착함/나쁨, 옳음/그름, 좋음/좋지 않음의 결정)에 대한 실존적 긴장이 전적으로 결여된 준(準)종교적 도덕·윤리관임을 밝히고, 이에 반해 윤리학은 그 중심적 평가개념들이 사실은 “개념적 무규정 상태 안에서의 평가압박”으로 작용하여 문제사태를 항상 새로이 보게 만드는 일종의 판결용어임을 밝힌다. 바로 이 판결 행위라는 성격으로 인해 도덕·윤리적 평가는 항상 사태규정과 판결기준의 설정 등을 수행하면서 ‘철학함’을 반복할 수밖에 없고, 그 때문에 철학으로 부터의 학문적 독립이란 가능하지도 않고 무의미한 반면, 경험과학으로부터는 학문적 자율성을 누린다. My article is a reply to the Prof. Byeong-Gi Park's claim that in the reapect of theire scientific structure and operatives ethics and mora education have almost nothing to do with philosophy. According to him, the moral education is a cooperative course of awakening of students and teachers to solve the problems of life (i.e. “How should man live his(her) life”) which cannot be covered solely by philosophy; ethics is not a subset or part of philosophy, but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the problems of human life. He is of the opinion that philosophy and the Corean philosophical arena have no competence of being committed to the moral education in the secondary course of national education, because the Corean philosophical arena had experienced education failure in the general education of university and pre-university course long ago, and moreover, the philosophy is in the state of scientific crisis of its identity and raison d'etat. Completely opposed to him, I point out that Prof. Park's measurement of the competence of philosophy and the Corean philosophical arena is outdated, because its data come from the later 20th Century. Besides he takes misunderstandingly the identity-crisis of philosophy for its competence-crisis owing his short-sighted observation of the history of philosophy. His view of ethics and moral education is for me a quasi-religious view which lacks the existential tension originating from the evaluation of value-norms. I pose such a theses that the core notions of ethics (right, good, just etc) are a performance of constraints of evaluation in the state of conceptual undeterminateness which must result in an effective decision or judgement making the concerned problematic state of affairs observed in a new point of view. Because of its character of being a kind of decision or judgement, the moral and ethical evaluation repeats always ‘doing philosophy’, performing conceptual determination, criterion posing and justifying one's claim. Thus, it is impossible and insignificant for ethis and moral to pursue scientific independence from philosophy, while just owing such a tight correlation with philosophy ethics enjoys a scientific autonomy from empirical sciences.

      • KCI등재

        Lingual Bracket에 의한 최신 교정치료법

        홍윤기,Hong, Yun-Gi 대한치과의사협회 1995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33 No.11

        최근 교정치료가 진보함에 따라 치료대상이 성인에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교정장치에도 심미성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bracket과 attachment의 소형화, ceramic 또는 plastic을 사용한 투명도가 높은 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순측 치면에서 bracket을 장착하는 치료에 있어서는 심미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lingual bracket은 설측 치면에 접착함으로써 성인교정에 있어서 심미적으로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lingual bracket을 이용한 교정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기공과정과 임상과정을 확립하였기에 소개하고,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Ormco사와 Dr. Fujita의 lingual bracket을 이용하여 치료한 증례를 다음의 순서로 4회에 걸쳐서 보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창의성과 통합인문학 구상 : 창의성의 누진적 순환계를 중심으로

        홍윤기(Hong Yun-gi)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5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선 창의성을 천재의 비범한 재능이 아니라 보통 시민의 일상적 능력으로 이해하는 창의성의 현대적 개념의 연원을 추적하였다. 그러면서 필자는 지구적 차원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식정보화 시대의 객관적 요구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각 개인의 실존적 요구에 다양하고도 총체적으로, 그리고 개성 있게 부응하는 인간의 자기상과 자기삶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창의적 능력이 무엇인지를 적시하였다. 그 다음 필자는 철학과 심리학, 기타 문화연구 등에서 진행되었던 창의성 및 창의력 연구의 이론적, 임상적 성과를 되도록 광범하고 치밀하게 섭렵하여 창의성의 작동 동향을 사회적, 국가적으로 실효성 있게 파악할수 있는 ‘창의성의 누진적 순환계’를 작성하였다. 이 순환계에 입각하여 필자는‘인문학적 창의성’의 정확한 위상을 정립하고 “자기-재생산적 창의성으로서의 인문적 창의성”의 구조를 파악하면서 이 인문적 창의성에 입각하여 통합인문학의 모델을 구상하였다. In this monograph I follow first the transformative trace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understood not as a specific talent of a genius but as an ordinary skill of normal citizens. Then I try to point out such a concept of creative competence as helpful to designing the human self-image and modus vivendi meeting both the situational demands of the age of knowledge-information in global dimension and the existential requirements of each individual. This concept-building is followed by the effort to draw up the Accumulating Circulation Model of Creativity[ACMC], surveying over widely and elaborately the theoretical and clinical achievements of philosophical, psychological, social-scientific and cultural research on creativity, which can contribute to tracing the tendency of creativity from the social and national perspective. Based on the ACMC, I set up the correct status of humanistic creativity, comprehend its operative structure as self-reproducing creativity, and project the Model of Integrating Humanitie.

      • KCI등재
      • KCI등재

        푸코와 하버마스 언어철학의 근거연접과 이성 규정의 강화 : ‘담론분석론’과 ‘보편/형식 화용론’의 복합적 접합, 그리고 비판적 이성의 지구적 작동구조

        홍윤기(Yun-Gi Hong)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7 사회와 철학 Vol.0 No.13

        Such an interesting idea has been more and more reinforced since the death of Michel Foucault that Foucauldian and Habermasean philosophy can be complementary with one anther more than they supposed on many issues which caused their disharmony. But despite of multi-sided thoroughgoing examination of their opinions by many researchers such an attempt has not been made to examine a possibility of making their language-philosophical paradigms, namely, the theory of discourse analysis and that of universal/formal pragmatics, fit into one continuous operation. I argue that the language-philosophical grounds of those linguistic theories can come in conjunction with one another in the ordinary, historical and scientific process of speech acts in which meaning-understandings and sense-creating juxtapose, although they have distinct problematics in their own philosophy of language. I am of the opinion that Foucauldian theory of discourse analysis gives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of meaning through grasping the differences of statement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discourse formations, while the Habermasean theory of universal/formal pragmatics gives attention to the creating of senses directed toward to the intersubjective mutual understanding(Verst?ndigung) among the participants. Their different philosophies of language including the same term ‘discourse’, that is, theory of discourse analysis and that of discourse ethics, lay the ultimate base for the irreconcilable divergence of their conceptions of modernity and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Each operative unit in their philosophy of language, namely, statement(?nonc?) and utterance (?ußerung), is related to the different stratum of language use.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a statement is believed to be in relation with the context of rules dominated by discourse formations which pre-determine quasi-institutionally the meaning of words already used, while an utterance directs itself toward creating senses and recreating validity-claims inherent in the speech acts in use and communication. Thus, the discourse-formations and the communicative discourse-processes come in conjunction with one another in the field of discretely circulating and dimension-fluctuating language-uses through successive understanding of meaning and successful creating of intersubjectively agreed senses. The activity of thinking with sensitivity capturing the differences in search for the mutual understanding with others, the different, turns out to be manifestations of capabilities of reason directing itself toward the total cognition and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which would result in the harmony and consensus amomg the affected. In this way, the post-structuralist approach to the discourse formations, watching out the differences and discontinuities, as well as the late criticaltheoretic pragmatic turn looking after the mutual understanding can be integrated into such a socio-pragmatics of meaning-understanding and sense-creating in the process of ordinary or extra-ordinary process of living in a certain life-world of a historical period and a certain social context. With such a socio-pragmatic model for language use as comprehending and expressing the form of REASON of global dimension man can lay mental fundamentals for the integration of human-beings in the vision of overcoming every conflict caused by misunderstanding of others. 푸코와 하버마스의 철학이 그들 자신이 생각했던 이상으로 상호보완적일 수 있다는 생각은 푸코 사후 점점 강화되어 왔다. 그러나 그들 사회철학의 방법론적 기초가 되는 담론분석론과 보편/형식 화용론의 두 언어철학적 패러다임이 상호보완적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검토는 아직까지 행해진 바가 전혀 없다. 나는 이들의 언어철학이 입각한 문제의식이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의미이해와 의미창출이 교착하는 일상적 담화행위과정에서 그 근거가 정확하게 연접될 수 있다는 것을 논증하려고 한다. 푸코의 담론분석론은 담론구성체의 포착에 의해 담론현장들 사이의 ‘차이’를 파악하여 그 각각의 ‘의미이해’에 중점이 두어져있다면, 하버마스의 화용론은 주체들 사이에 언어 이해를 매개로 한 ‘상호이해’를 지향한다. 바로 이런 언어철학적 지향점의 차이가 궁극적으로는 두 사람의 현대성 이해에 현격한 대립을 야기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철학적 요인이 된다. 모두 똑같이 discourse라고 불리는 것에 관한 이론으로 표명되는 두 사람의 언어철학에서 그 기본 작동소로 상정한 ‘진술’(?nonc?)과 ‘발화’(?ußerung)는 언어사용의 다른 층위와 상관한다. 즉 푸코가 ‘진술’이라는 개념으로써 밝히고자 한 것은 언어사용에 있어서 ‘이미 사용되어진 언어의 의미를 선규정하는 규칙연관’, 즉 담론구성체인 반면, 하버마스가 ‘발화’라는 개념으로써 부각시키는 것은 ‘사용 중인 언어 그 자체에 내장된 타당성 재창출의 권능연관’이다. 그러나 담론분석론과 보편/형식 화용론이 언어사용의 불연속적 순환과 차원상승적 증식, 즉 ‘사용되는(즉 말해지거나 쓰여지는) 언어에 관한 그 성공적 의미 이해와 무한계적 의미 창출’에서 접속된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런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차이’를 포착하는 감수성과 ‘상호이해’를 추구하는 사고활동은 사실상 이성 능력의 특정적 발현임이 입증되며, ‘차이’의 총체적 인지를 지향하여 담론현장을 담론구성체로 구조지어 파악하는 후기구조주의의 언어철학과 의사소통과정에서 ‘논변’을 통하여 타당성 기반에 대한 ‘상호이해’와 ‘합의’를 추구하는 후기비판이론의 언어철학은 근거연접을 통해 ‘의미 이해와 재창출’의 사회화용론 모델에서 구조적으로 통합되며, 이런 사회화용론 모델에 입각하여 지구적 차원에서 벌어지는 인간 현상의 대립적 갈등을 정확하게 파악함은 물론 그와 동시에 갈등을 넘어서는 차원의 대동적 통합을 지향하는 ‘지구적 차원의 이성’의 작동을 근거지울 기초 작업이 완수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시민'은 어떻게 애국하는가 - 민족과 인류의 실천적 매개자로서의 '시민'과 그(녀)의 경계 관통적 실존 양식

        홍윤기(Hong Yun-Gi)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4 사회와 철학 Vol.0 No.7

        Based on the spectator-experience of corean musical <Blue Saigon> having the record of eight-years long-run, this paper inquires analytically into the practical course of evolution of 'I', going across the overlapping borders settling down in the 'my' partitions of feelings, toward the 'citizen'. Here 'I', confirms as the field of 'my' life the multilayered borders from the pointzero starting point, 0) 'the self' as 'I', over 1) gender, 2) family, 3) friends, 4) neighbors, 5) locals, 6) vocational organizations or non-organized groupings as the field of social self-realization, 7) informal groups (or minority groups), 8) class, 9) society, 10) state, 11) nation, and 12) international organs, ultimately to the world society on the dimension of human race, confronting with the personals as 'others', that is, Sergeant Kim who is a veteran having participated in the Vietnamese War and a victim of defoliant, the Vietnamese woman Hu-En who was both his enemy, Vietmin guerilla, and his fiancee, their son of Vietnamese nationality, namely, of nationality different from his corean father, and Kim's corean daughter who inherits her father's aftermath of defoliant. This situation of 'my' life says that 'I' -identity has the overlapping multi-borderedness. At now the strongest negative border or the hardest hurdle against the living-together which 'I' pursues with really existing others is found in the nation or the state, specifically speaking, in the borderline between nation-states which realize the modernity in politics. The critical discourses on the nation-state or the nation used to deduce theory of nation as a fiction from Benedict Anderson's concept of nation as an imagined community, comparing it with the theory of nation as a substance. The negation of substantiality of nation by japanese critical intellectuals as Nishikawa Nagao and Kozakai Toshiaki goes along with such argumentative line. But I point to their argumentative defects, by showing that the fictitiousness of the nation ('The nation is fictitious') or the non-existence of the nation (The nation does not exist) can not be concluded automatically from the total negation of the theory of nation as a substance, which claims the time-and space-transcendent substantiality of nation giving to it the unchangeable identity and continuity and to all its members the homogeneity. Rather the nation as an imagined community is a result of interactions among individuals, a product made from the interactions of its members, and is conceives as a real existent with an independent way of operation separated from the subjectivity of the individuals. Just from such theory of nation or state as a real existent a positive bridgehead for the active and practical participation or the civic intervention in the real existent state politics can be established. In this respect the controversy of patriotism-cosmopolitanism among the american scholar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s a more advanced aspect in the problematical level of issue-posing than the japanese intellectuals. Very delicately in this controversial arena, the radical cosmopolitanism as such was not affirmed in its whole, while the chauvinistic americo-centrism was totally denied. The main trend of this controversy was congruent on the conclusion that the patriotism for the american state can be justified, if and only if the universalistic value-contents of cosmopolitanism are to be accepted in the ideal orientation of american state. Just in this point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as the being-in-the-state mediating between nation and human race is posed as the driving motor for penetrating into the overlapping life-borders as both the limiting conditions and the realizing ones determining 'I'-identity and achieving what 'I' will be. I call just the form of existence transforming this 'I'-identity to a practical subject "citizen". A citizen does not leave out his (her) state and is loyal to the state by the engageme 본 논문은 8년간 장기 공연되었던 한국 뮤지컬 <블루 사이공>을 본 ‘나’의 관객 체험을 소재로 하여, 그 ‘나’가 ‘나의’ 감정의 칸막이들로 들어와 있는 중첩적 경계들을 관통하여 '시민'으로 진화되는 실천적 과정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여기에서 ‘나’는 ‘나의’ 인생과 무관한 베트남 참전 군인이자 고엽제 피해자인 김 상사, 그의 적이자 애인인 베트콩 여인 후엔, 그가 후엔과의 사이에서 난 이국적의 아들, 그리고 그의 고엽제 후유증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같은 국적의 딸과 계속 대변하는 과정에서, ‘0) 자기(나)’를 포인트 제로(영점)의 시발점으로, 1) 성性, 2) 가족, 3) 친구, 4) 이웃, 5) 지역, 6) 직업 조직/비조직(자기실현 현장), 7) 비공식 집단(소수자 집단), 8) 계급, 9) 사회, 10) 국가, 11) 민족, 12) 국제기관, 13) 인류 차원의 세계 사회 등이 겹겹이 경계를 이루면서 나의 삶의 현장에 포진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즉 “‘나’-정체성은 중첩적 다경계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런 구조 속에 놓여진 ‘나’의 삶이 현존하는 모든 남과의 상생을 도모함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부정적 경계 또는 장애물은 국가와 민족,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정치에서의 현대성을 구현하는 국민(민족)국가들 사이의 경계에서 발견된다. 국민국가 또는 민족을 주제로 한 비판적 담론들은 베네딕트 앤더슨의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민족 개념을 민족실체론과 대비시키면서 민족허구론을 도출하고, 그것을 근거로 민족부정론을 전개한다. 니시카와 나가오와 고자카이 도시아키 등의 일본의 비판적 학자들이 제기하는 만족 비판 담론들은 모두 이런 논증 선 위에서 움직인다. 그러나 필자는 ‘민족’이라는 것에 시대와 공간을 초월하는 그 어떤 ‘실체성’이 있어 그것이 민족에 불변의 정체성과 연속성, 더 나아가 거주지를 불문하고 그 민족 구성원 전체에 동질성을 부여한다고 주장하는 ‘민족실체론’을 전면적으로 부정한다고 해서 ‘민족은 허구’라거나 ‘민족은 없다’라는 결론은 나오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 오히려 상상된 공동체로서의 민족은 구성원 개인 간의 상호 작용이 만들어내는 산물이면서 그 개인들의 주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독립된 운동 방식을 갖춘 현실적 실존체로 파악된다. 바로 이런 민족 또는 국가실존론을 바탕으로 할 때 비로소 현존하는 국가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실천적 개입, 즉 시민적 개입의 교두보가 확보된다. 이런 점에서 1994년 미국의 인문사회학계에서 벌어진 애국주의-세계시민주의 논쟁은 쟁점 제기의 수준에서 일본의 비판적 지식인 그룹에서 제출한 민족허구론보다 훨씬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런데 참으로 미묘하게도 미국 학계의 이 논쟁에서 급진적 세계시민주의가 그 자체로서 전폭적으로 긍정되지 않는 반면 국수적 미국중심주의는 철저하게 부정된다. 논쟁의 대체적 결론은 세계시민주의의 가치 내용들을 미국 국가의 이념적 지향으로 수용하고, 미국 국가에 대한 애국은 바로 그런 한에서 정당화된다는 쪽으로 귀결된다. 바로 이 지점에서 민족과 인류를 매개하는 국가 내 실존으로서의 ‘시민’의 참여가 ‘나’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제약 조건이자 동시에 실현 조건인 중첩적 다경계들을 관통하면서 ‘나이고자 하는 것’을 획득하는 추진력으로 부각된다. 바로 이 실천적 주체로 ‘나’-정체성이 전화되고 진화된 바로 그 실존 형태를 필자는 ‘시민’이라고 명명한다. 시민은 자기가 소속한 국가를 떠나지 않고 자기 삶의 각종 현장에 투신함으로써 자기 국가의 야만성을 방지하고, 이 세계에 사는 모든 국가의 시민들이 선망하거나 아니면 같이 하고 싶다고 욕구할 정도로 국가의 도덕적, 정치적, 물질적 문명도를 높이는 활동에 자기 삶의 과정을 통해 매진함으로써 국가에 헌신적 충성을 다한다. 예를 들어 우리의 행위로 인해 누구도 죽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이라크 사람도 동의할 보편적인 규범이다. 따라서 이런 규범을 지키기 위해 ‘대한민국에서 탈퇴’하지 말고 바로 ‘대한민국 시민’으로서 이라크 파병에 대한 항의를 관철시켜야 한다는 것은 은하계 우주 안의 한 행성인

      • KCI우수등재

        변증법의 타당성 근거의 재정립

        홍윤기(Yun-Gi Hong)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0 No.-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 대화법에서 발상된 변증법은 현대에 들어와 칸트와 헤겔에 의해 진리를 향한 이성의 운동을 설명하고 그 양식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의식철학의 영역 안에서 재가동되었다. 그러나 헤겔 대논리학 본질론에 나오는 발상, 즉 변증법적 운동에 있어서 모순 파악의 최우선성을 과잉·확대해석한 레닌을 기점으로 하여 변증법은 국가독점 사회주의 체제의 이데올로기적 정당화에 동원되면서 철학적 생동성을 상실하는 일종의 ‘의미 위기’를 겪게 된다. ‘모순’을 이성적 주체의 인식 한계 개념이 아니라 세계의 변화를 보편적으로 규제하는 법칙적 속성으로 간주하고, 이 모순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변증법을 세계운동법칙으로 형이상학화시킨 변증법관을 필자는 ‘범모순주의적 변증법 파악’으로 규정한다. 이에 대비하여 필자는 변증법을 그 발생 연원에 상응시켜 ‘물음과 대답함의 담화행위 복합체’로 규정하고, 물음과 대답함에서 오가는 주장들의 진리성을 이 담화행위의 성공조건과 결부시키는 ‘진리이론적 변증법 파악’에 입각하여, 현대 언어철학을 변용시킨 사회적 화용론을 통해 현대적으로 재정식화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에 따라 변증법은 그 시발점인 쟁점입지를 규정하는 ‘예비조건’에서 시작하여, ‘도입조건’, ‘태도조건’, ‘본질조건’의 접합으로 이루어진 작동구조를 가진 진리추구 담론으로 파악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