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다큐멘터리 제작주체의 자기각인과 왜상적 형상화

        홍유리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5

        다큐멘터리의 제작자들은 그 자체로 주관성의 현현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스스로를 가시화했다. 이에 따라 제작주 체가 자신을 각인하는 방식은 관찰 카메라의 롱테이크, 인터뷰의 목소리나 퍼포먼스, 보이스오버 내레이션이나 설명 자막 등 우리가 다큐멘터리의 미학이라 말하는 대부분의 형식적 요소들로 완성되어왔다. 이러한 양상이 일종의 현상이 되자 다큐멘터 리 제작주체의 의미에 주목해온 연구자들은 이를 제작자의 ‘자기각인’이라 불렀다. 이제 더 이상 다큐멘터리 제작자, 연구자 들은 다큐멘터리가 현실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객관적으로 재현한 결과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이 재현물이 상상적 허구에 의한 완전한 가공물이라고도 말하지도 않는다. 라캉의 실재 개념을 이 연구가 주목한 것은 다큐멘터리가 완전히 객관 적일 수 있다는 낙관론도, 전 영화적 현실과의 완전한 괴리에 의해 지표성을 상실할 수밖에 없다는 비관론도 아닌 그 사이를 말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주관화된 어떤 재현물을 우리가 여전히 다큐멘터리라고 규정할 수 있는 것은 재현된 결과물에 표현된 실재의 징후들 때문 아닌가 하는 관점을 말이다. 이에 대한 형식 분석을 위해 시각장의 실재 개념으로서 응시와 왜상이 적용된 봉합 이론을 경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잉여 응시가 지금 보고 있는 것을 초과하는 그 이상의 것을 소환한다면, 상호 주관적인 그물망에 속하지 않는 실재의 것이 작품과 관객 사이에 보이지 않는 어떤 것으로 순환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Documentary filmmakers have exposed themselves in many ways in their films. Although their presence is subjectivity itself, they do not hesitate to use their own performance as an esthetic form, such as an observatory long take, an interview, voice-over narration, and other means. As it has become a phenomenon, researchers call it the filmmakers’ ‘self-inscription’. Researchers and filmmakers will no longer say that documentaries can represent reality objectively and that it is the completely imaginary fiction. I focus on Lacanian conception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Real lands somewhere between optimism, in which documentaries can be completely objective, and pessimism, in which they are subjective artificials that are fully changed from profilmics. I assume that our belief that documentaries are documentaries, despite subjective treatment, may be a symptoms of The Real as triggered and evoked by filmmakers’ self-inscription. To analyze this form, I apply the film theory of suture, which includes concept, gaze and anamorphosis as the visual version of The Real.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filmmakers’ self-inscriptions could become anamorphosis as they use themselves as the screen, aiming to rupture unstable representations. During this process, one can imagine that something real and free from intersubjective traps circulates between the films and the audience via a surplus gaze and the corresponding anamorphic image.

      • KCI등재

        마이클 무어 다큐멘터리 영화 연구 - 역설 프로젝트의 형식 구성을 중심으로

        홍유리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6

        마이클 무어는 1989년 이후 30여 년 동안 도발적인 작품을 만들어 왔으며 그의 작품은 대중과 평단 모두에서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어의 영화가 오랜 기간 대중적 흥행을 거두어 온 것은 그의 작품에 어떠한 설득 의 기제가 내재되어 있다는 것을 방증한다. 그의 영화들이 제시하는 메시지는 미국의 자본주의 체제와 최상위 권력구조 비판 으로 집약되며 이는 다른 많은 다큐멘터리들이 공유하고 있는 주제 의식이다. 따라서 무어 영화의 차별점은 그 주제 의식을 전달하는 형식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주목하는 핵심적 형식은 무어의 전작에 걸쳐 등장하는 '역설 프로젝트' 이다. 이는 의도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은 대화나 협상을 시도함으로써 그 결과의 의미를 역설적으로 형성한다. 이를 통해 무어는 자신을 캐릭터화하고 상황을 설정하여 영화 전체의 주제를 압축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현실을 창출해 낸다. 풍자와 해학의 저항적 웃음으로 구성된 이 형식은 근엄성의 담론, 제작 윤리의 문제, 제작자 전경화로 인한 주관성의 문제 등 다큐멘터리에 내포된 다양한 쟁점을 끌어낸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무어 다큐멘터리 영화 전작에서 구성된 역설 프로젝트의 양 상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한 감독의 작품 세계를 고찰하고 아울러 이에 수반되는 다큐멘터리 담론을 함께 탐구한다. Michael Moore has been producing provocative works for over three decades since the release of Roger & Me(1989), which have consistently stirred controversy among both the general public and critics. Nonetheless, the enduring commercial success of Moore's films attests to the presence of persuasive elements inherent in his works. The messages conveyed in his films critique the capitalist system and the upper echelons of power in the United States, themes shared by many other documentaries. Therefor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Moore's films can be identified in the mode used to convey these themes.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is the 'Paradoxical Project,' a recurring element in all of Moore's films. This format involves intentionally engaging in conversations or negotiations with low feasibility, resulting in a paradoxical meaning in the outcomes. Characterized by satire and subversive laughter, this unique format presents intensively the film's theme. It also brings to various issues inherent in documentary filmmaking, such as the discourse of sobriety, ethical concerns in production, and the subjectivity of the producer's perspective.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modes and significance of the Paradox Project found in Moore's documentary filmography, offering an exploration of a director's cinematic world while investigating the associated documentary discourse

      • KCI등재

        수행적 다큐멘터리에서 다큐멘터리의 수행적 실천으로

        홍유리 문학과영상학회 2017 문학과영상 Vol.18 No.2

        This article discusses performative practices in documentaries as ways to overcome the limits of realist representations in various types of contemporary documentary films by analyzing the issues of performative documentary. The study critically considers the ideas of Bill Nichols's and Stella Bruzzi's 'performative documentary', which are regarded as obvious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 have found, however, that each of their ideas reaches the same destination, as I look into their assertions such as “the world is more than the sum of the visible evidence” by Nichols, and “capturing the tension between the realness of the documentary situation and its artificialization by camera” by Bruzzi. Based on the core of their discussions, this study establishes performative practices as a special and fundamental system of documentary rather than as a subgenre. Based on John S. Austin's performative utterance, I define performative practices as the 'production system of making the reality that filmmakers interact with subjects and situation with their staged performance'. Performative practices indicate a movement of contemporary documentary films that focus not on mimetic representation, but on poietic process. In spite of the subjective and expressive asp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performative practices do not give up the reality that is the ontological root of documentaries. On the contrary performative practices provide an alternative way to reality by evoking the real.

      • KCI등재

        아두이노를 활용한 스마트 컨베이어 벨트 제어 메카니즘 설계

        홍유리,하세령,김태우,Hong, Yoo-Lee,Ha, Se-Ryeung,Kim, Tai-Woo 한국사물인터넷학회 2016 한국사물인터넷학회 논문지 Vol.2 No.2

        많은 공장에서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한다. 하지만 컨베이어 벨트에서 많은 사고가 발생되며, 이를 막기 위한 방법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컨베이어 벨트를 설계하고, 보다 안전한 스마트 컨베이어 벨트 제어 메카니즘을 개발한다. 특히, 휴대폰을 통해 컨베이어를 제어하여 보다 신속히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장뿐만 아니라 지하철 에스컬레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컨베이어 벨트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y produces the products using conveyer belts in many factories. However, so many accidents are occurred in the conveyer belts at the factories. It needs to prevent the any kinds of accidents in the conveyer belts. In this paper, we designed the smart conveyer belt and developed the smart conveyer control mechanism that provides more safe operation. Particularly, We proposed the methodologies to control conveyer belt using smart phone to prevent the accidents.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he smart conveyer will be adapt to not only factories but also various kind of conveyer such as escalator in the subway.

      • KCI등재

        트라우마적 경험의 다큐멘터리에서 구축된 공동 수행적 실천의 양상과 의의 - <꿈꾸는 카메라>와 <액트 오브 킬링>을 중심으로

        홍유리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6

        이 연구는 트라우마적 경험을 조명하는 다큐멘터리에서 사실주의적 재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축되어온 공동 수행적 실천의 양상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공동 수행적 실천의 기본적 관점이 된 수행적 실천은 빌 니콜스와 스텔라 브루치의 수행적 다큐멘터리 논의를 통해 구축된 개념이다. 이는 제작주체가 스스로를 제작 과정의 다양한 층위에서 노출함으로써 대상과의 관계 및 과정적 실천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생산된 새로운 현실을 형상화 하는 제작방식이다. 이 연구는 트라우마를 다루었던 다큐멘터리에서 발견되는 두 가지 측면, 즉 제작주체와 대상의 협업에 의한 생산물과 공감적 관계 형성을 덧붙임으로써 공동수행적 실천이라는 좀 더 구체화된 개념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타인의 트라우마에 접근하는 것은 현실지시적 매체로서 다큐멘터리에게 형식으로도, 윤리적으로 극단적인 난제이다. 따라서 생산의 과정에 대한강조는 트라우마의 비상징적 속성에 의해 현실에 대한 모방을 통해서보다 더 직관적인 접근이 되어 왔다. 극심한 고통에 처해있는 타인에게 다가기 위해 시혜적 감정보다는 정서적이면서 인지적인 사고의 흐름을 통해 제작자 스스로의 책무를 찾아가는 공감적 접근이 더욱 요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꿈꾸는 카메라>와 <액트 오브 킬링>을 분석하면서 제작자와 대상이 ‘사진’과 ‘영화’라는 공동의 생산물을 만들어나아감으로써 그들의 트라우마를 드러낼 기회를 갖게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국 공동 수행적 실천은 희생자의 트라우마적 경험을 통해 그들의 취약함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잃어버린 사회적좌표를 찾고 가능성의 미래를 제시하는 것에서, 가해자의 트라우마적 경험을 통해 가해자의 잔혹함에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양산한 상위구조의 모순과 패악을 찾아내는 것에서 의미를 찾고 있었다. This study discusses co-performative practices in documentaries as ways to overcome the limits of realist representations by analyzing the aesthetic and ethical aspects that have been built into expressing traumatic experiences. Performative practices refer to a 'production system of making a reality in which filmmakers interact with subjects'. It is based on the theories devised by Bill Nichols and Stella Bruzzi on performative documentaries. When approaching the trauma of others, one must deal with major dilemmas in all of their ethical and aesthetical aspects. Co-performative practices emphasize this idea with the two points of production by cooperation between filmmakers and subjects and empathic relationships. It is likely that the non-symbolic nature of trauma can be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expressed based on poiesis rather than on mimesis. Moreover, it does not require sympathy or pity but instead empathy as it drives filmmakers to be strongly motivat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ir subjects. I find here that filmmakers configure one's trauma by materializing relationships with their subjects through recursive interactions. Such materialized relationships become products as a result of their cooperation, such as the 'photos' of Born into a Brothel, 'a film' of the Act of Killing. Most importantly, co-performative practices show that performing with victims can open up future possibilities in their communities and performing with perpetrators can arouse awareness of the fundamental structural problems of society.

      • KCI등재

        실패의 무대화 - 다큐멘터리 <김군>의 제작방식과 그 의미

        홍유리 한국영상학회 202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1 No.3

        KIM-GUN (2019) is a documentary film inwhich a person who was only remembered as "Kim Gun" during the 1980Gwangju Uprising is tracked down, relying on recorded photos and vaguetestimonies. Unlike traditional films, KIM-GUN approaches the emotional aspectof post-memory generation and portrays the 5·18 Uprising as an ongoing event inthe present, attracting atten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production method that derives such meaning, exploring the form in which thisfilm embodies traumatic history and the significance that it places on contemporarydocumentary films. The plot of KIM-GUN revolves around an anticipated"failure." The filmmakers present a project called "Finding KimGun" and use the medium of "viewing photos" to evoke thesuppressed emotions and memories of those involved in the Gwangju Uprising,rather than relying on uniform and standardized testimonies. Throughinteractive and performative practices, rather than just observation andrecording, this film draws out issues that have been excluded or marginalizedfrom mainstream records, such as youth, street vendors, and missing persons. Inparticular, the visible cross-editing that signals the moment of failureemphasizes how unresolved historical tragedies continue through individuals, raisingquestions about the roles of contemporary documentary films. <김군>(2019)은 1980년 5·18 광주항쟁 당시 이름도 없이 김군으로만 기억되던 한 사람을 기록 사진들과 불분명한 증언에 기대어 추적해가는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김군>은 기존 영화들과 달리 포스트메모리의 정동적 측면으로 접근하며 5·18을 현재 진행형의 사건으로 구현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받았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의미를 도출시킨 제작방식으로 초점화하여 이 영화가 트라우마적 역사를 구현하고 있는 형식, 그리고 그 형식이 동시대 다큐멘터리에 부여하는 의미를 탐구했다. <김군>의 플롯은 예견되는 ‘실패’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제작자들은 ‘김군 찾기’라는 프로젝트를 제시하고 ‘사진 보기’라는 매개 행위를 활용하여 5·18 광주항쟁의 당사자들로부터 획일화되고 정형화되었던 증언이 아니라 그들이 지니고 있던 억압된 감정들과 기억들을 환기하게 한다. 이와 같이 관찰과 기록이 아닌 상호적이고 수행적인 실천을 통해 이 영화는 청년, 넝마주이, 행방불명자와 같이 주류 기록에서 배제되거나 주변화되어 있던 쟁점들을 끌어낸다. 특히 실패의 순간을 알리는 가시적 교차편집은 해결되지 않은 역사적 비극이 어떻게 개인을 통해 지속되고 있는지를 강조하고 동시대 다큐멘터리의 역할에 질문을 남긴다.

      • KCI등재
      • KCI등재

        가해자의 부재와 불가능한 용서 - 영화 <쓰리 빌보드(Three Billboards Outside Ebbing, Missouri (2017))> 인물들의 ‘행위’와 ‘행동화’ 양상 분석

        홍유리 한국영상학회 2020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8 No.4

        This study analyses certain problems resulting from the situation when a society demands victims to forget, forgive, and reconcile, with the unexpected or violent a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Three Billboards: Outside Ebbing, Missouri>. When the victims are forced to undergo “victimness”, they raise their voices to reach out to society. Society, however, would suppress the victims' voices by judging such behavior as a threat, after which the victims then attempt to make their voices even louder repeatedly. The film suggests a method to overcome this vicious cycle with discreet and elaborate cinematic grammar. I use the concepts of 'act' and 'acting out' from Lacanian psychoanalysis. Lacanian psychoanalysis can help u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estructive or enigmatic actions of traumatized victims. Moreover, it could be a useful perspective during the film as it attempts to propose a means by which to end an unbreakable cycle, that is, to contemplate the possibility that subjects can reset their own positions in an intersubjective structure. 이 연구는 사회가 희생자에게 망각, 용서, 화해를 강요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영화 <쓰리 빌보드>에 등 장하는 인물들의 돌발적이거나 폭력적인 행동, 그리고 이를 통해 형성되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 고자 한다. 피해자가 사회로부터 고통을 인정받지 못하고 ‘피해자다움’을 강요당할 때 피해자는 자신의 목소리가 전달되지 못했다 믿고 이를 다시 호소하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게 된다. 그러나 사회는 이러한 목소리를 위협으로 간주하고 억누르려 하며 피하자는 억압을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목소리를 더욱 높이 게 된다. 영화 <쓰리 빌보드>는 트라우마를 갖고 있는 인물과 타자와의 관계에 집중하면서 인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정교한 영화적 문법을 통해 이와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는 길을 제시한 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론으로 라캉주의 정신분석학에서의 ‘행위’와 ‘행동화’ 개념을 경유하고자 한 다. 이는 트라우마적 경험의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 그 관계를 바탕으로 표출하게 되는 이상행동, 그리고 상호주관적인 구조 안에서 근본적인 주체의 재설정을 가능케 함으로써 진정한 변화를 촉발할 가능성의 지점을 고찰하도록 도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