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의 비교윤리론

        홍영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1 시대와 철학 Vol.12 No.2

        초기 저술 「자연법 논문」(1802-1803)에서 헤겔은 자연법에 대한 근세초기 홉스, 로크 등의 경험적 취급방식과 자연법에 대한 칸트의 형식적 취급방식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자연법에 대한 경험적 취급방식은 절대적 인륜성의 여러 계기를 제시했지만 이를 왜곡된 방식으로 수행했다. 경험적 취급방식은 원자론적 사회이론을 가정했으며 자연상태와 사회상태를 분리 시켰다고 헤겔은 비판한다. 반면에 자연법에 대한 칸트의 형식적 취급방식은 상관관계의 계기에 대해 주목했지만 일면성을 드러냈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칸트의 실천철학은 절대적 인륜성의 이념의 무차별 계기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른 한편, 자연법에 대한 경험적 취급방식은 학의 진정한 의미를 얻을 수 없는 데 반해 자연법에 대한 칸트의 형식적 취급방식은 무한성을 철학의 원리로 삼음으로써 학의 변혁을 일으켰다고 헤겔은 평가한다 헤겔에 따르면 유한성에 고정된 철학은 절대적 통일에 결코 도달할 수 없으며 절대적 통일이야말로 학의 본성을 위한 궁극적 기준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칸트의 실천철학이 무한성의 원리를 송두리 채 드러내지 못하여 자연법에 대한 진정한 학적 취급 방식이 못 된다고 헤겔은 논증한다. 이 같은 기반 위에서 헤겔은 근세 초기 자연법 이론과 칸트의 자연법학이 절대적 인륜성의 이념과 일치되게 구성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헤겔은 이 같은 주장을 간접증명법의 형식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사회와 정치에 대한 근세 초기 자연법론자와 원자론적·계약론적 접근 및 칸트의 보편적인 도덕법칙의 정식화에 대한 해결의 비판 과정이 곧 인륜성의 범주 또는 이념을 정초하는 기획이라고 논자는 평가한다. 현 논문에서 논자는 헤겔의 논의를 재구성해 봄으로써 바로 이 평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In a Hegel's early Essay, the "Natural Law", Hegel criticizes the empirical treatment way of early modern times' Hobbes and Locke and so on and kant's formal one about Natural Law as follows. The empirical treatment way of Natural Law presents the several moments of the absolute Ethical Life, but distorts this. Whereas Hegel criticizes that Kant's formal treatment way of Natural Law presupposes the atomistic social theory, and seperates the natural state and social state. Because Kant's practical philosophy did nut draw an attention to the moment of indifference of the absolute Ethical Life. On the other hand Hegel estimates that the empirical treatment way of Natural Law didn't receive the authentic meaning of the science, but Kant's formal treatment way of Natural Law caused the revolution of science by considering infiniteness as the principle of philosophy. For, according to Hegel, the philosophy fried in finiteness does not arrive at absolute unity and it is absolute unity that forms the ultimate criterion for the nature of science. But Hegel argues that Kant's tactical philosophy has not revealed the principle of infinitude, so it must be considered as an inauthentic way of scientific treatment way of Natural Law. On such ground, Hegel argues that Natural Law theroies of early modern times and the Natural Law science of Kant should be constructed correspondently to the idea of absolute Ethical Life. Hegel presents such an arguement as the form of reductio ad absurdum. Therefore, I estimate that his course of criticizing the atomistic contractual approach of Natural Law theorists in early modem times about society and politics and Kant's formulation of universal moral law is the scheme that grounds the category or idea of Ethical Life. I have examined this estimation by reconstructing Hegel's arguments in this essay.

      • KCI등재
      • KCI등재

        공동선의 연대 정치와 민주주의의 배제의 동학 : 차알스 테일러의 철학을 중심으로

        홍영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1

        차알스 테일러는 근대성이 공동체 참여와 개인의 자유 사이에 충돌을 일으키는 비극의 상을 가지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근대성의 문제점을 치유하고자 한다. 그는 자유주의를 근대성의 일반적인 문명 추세로서 파악하며, 자유주의의 철학적 한계와 불충분함을 비판한다. 자유주의자들이 정의내리는 외적 장애물이 없는 상태로서의 소극적 자유론은 자유주의가 가치 있게 충분히 실현하고 싶어하는 자아실현의 자유를 충분하게 옹호할 수 없는 한계를 포함 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권리 개념은 능력 개념을 전제하는 이상 공동체의 유지와 보존이라 는 공동선을 배경으로 탄생한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원자론을 전제하고 있는 자유주의는 이 점을 망각하고 있다고 테일러는 비판한다. 자유주의 문명의 위기는 바로 이 같은 소극적 자 유론과 원자론에서 비롯되며, 이 같은 자유주의의 문제점은 궁극적으로 근대 인식론의 토대론적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한다. 반면에 테일러는 인간 개인의 자유와 능력의 사회 성 명제를 주장하고 인간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공동체 형성 간의 구성적 관계를 강조한다. 이 구성적 관계는 우리가 강한 가치평가의 질적 대비틀을 가짐으로써 의미있는 개인의 삶을 영위함과 함께 사회의 유지와 책무를 위해 공동선의 정치에 참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전체론적 존재론을 명시한다고 테일러는 본다. 그래서 테일러는 개인 정체성 형성 및 자유 행사, 공동체의 유지, 보존, 새로운 형성을 위해 우리 모두가 공화주의적 애국심을 통한 공동선의 연대 정치와 차이 인정의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같은 논의를 통해 논자는, 공동선에 정향하여 개인의 정체성 형성 및 자유행사, 그리고 공동체의 유지 보존에 대한 책무를 강조하는 테일러의 공동체주의 철학이야말로 오늘날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위험 이 불러일으키는 원자화와 파편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저항 이념이자 한국 민주주의의 실질적 발전을 이루어낼 수 있는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이 논문에서 주장하고자 했다. 더 나아가, 테일러는 민주주의의 배제의 동학을 통해 민주주의의 역설을 보여준다. 민주주의가 요구하는 공동 정체성과 같은 포섭의 추동력이야말로 배제의 동학을 발생시키는 역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배제는 새롭게 대두하는 문제를 부인하는 행위이며, 문제를 손쉽게 처리 하고자 하는 행위이며, 우리와 그들로 차별하는 행위라고 테일러는 비판한다. 그는 차이가 연대를 강화한다는 헤르더의 생각을 발전시켜, 다원적 사회에서는 좋은 삶에 관한 하나의 표상이 아니라 항상 다수의 표상들이 형성된다는 것을 인정하며, 상이한 주민집단들과 전통들의 차이를 인정하는 정치를 요구하며, 이를 통해 사회적 인정과 정체성 간의 구성적 관계를 주장한다. 그러나 개인주의를 옹호하고 차이를 무시하는 롤즈와 하버마스의 절차적 자유주의가 오늘날 현대 사회의 개인주의 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아니라고 그는 주장한다. 그리고 포스트 모더니스트들과 문화 다원론자들이 희생자의 태도에 고정되어 있어서 공동의 정치적 행위를 조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공감의 연대성이 약화될 때, 분파적인 이익을 추구할 때 파편화 현상이 생기며, 파편화는 정치적 무력감에 대한 체험을 통해 자라난 다고 본다. 그러나 성공적인 공동 행위는 바로 그것에 힘이 실리고 있다는 느낌을 가져올 수 있고, 정치 공동체와의 동질감을 강화해준다고 말한다.

      • KCI등재후보

        독일 근현대사회철학 원전 번역과 한국의 근대성 : 1950년 이후 맑스와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 수용을 중심으로 Centering around the Reception of Marx' and Habermas' Philosophy since 1950s

        홍영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2

        이 연구는 1950년 이래 한국에서 번역된 독일 근현대의 대표적인 사회철학 원전인 맑스 엥겔스의 원전과 하버마스의 원전의 번역 수용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다. 전자는 한국의 80년대를 대표하며, 후자는 한국의 90년대를 대표하는 주요 번역 흐름을 반영한다. 번역은 출발언어와 도착언어의 등가적 대입이 아니다. 모든 지식은 구체적인 역사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따라서 그러한 맥락 속에서 파악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번역은 문화적 전환 과정이다. 이 문화적 전환 과정에는 지배와 피지배라는 권력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식을 생산하는 주체가 분명히 드러나야 하고, 그 과정도 동시에 파악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문명화 과정으로서의 번역은 식민화 과정으로서의 번역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번역 과정에 개입하는 권력관계에 대한 탐구는 번역 실천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번역은 그 행위 자체 내에 독자적인 저항과 해결의 공간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번역은 번역물이 수용되는 사회의 속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며 평가할 수 있게 해주는 비평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룬다. 1948년 이래로 한국의 국가보안법은 마르크스주의 문헌을 금압하였다. 1980년 광주항쟁 이후 민주화 운동 세력은 맑스주의를 이념적 대안으로서 수용하기 시작한다. 87년 6월 민주화대투쟁의 승리 직후『자본』이 '공식적 번역 출판'의 의미를 현실적으로 획득하면서 일어났던 원전 번역 붐 현상과 번역담론은 한국 사강의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되었다. 그러나 소련과 동구권의 해체 후 마르크스주의적 지식인은 스탈린주의의 변종으로부터 벗어나서 여러 갈래로 분화되어 가고 있다. 80년대 맑스주의의 우회로였던 하버마스의 이론은 90년대 들어 맑스주의의 재구성을 위한 전략이 되기 시작했고, 독일 유학에서 돌아온 철학박사들은 96년 봄 그의 한국방문을 전후해 그의 텍스트를 본격적으로 번역 수용하였다. 곧 이어 다시 쓰기 시작한 개별 미디어의 공론장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글쓰기들은 미국 유학의 제도화를 보여주는 것이며 한국사회의 지식생산의 장이 처한 식민성을 그대로 반영한다. 필자는 이 팥은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 학문이 식민성을 벗어나 자생적 학문의 길을 개척해아 한다고 주강한다. The National Security Law of Korea which was established in 1948 has prohibited the reading of marxist lliteratures. After Kwangju-Resistance in 1980, Democracy Movement Camp began to accept Marxism as a ideal alternative. According to the victory of struggle for democracy, the translation of Marxist Texts was boomed in korea, and organized the discourse of translation which established the principle, the attitude, the phase of translation, has become th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Thought. But the dissolution of Soviet Union and Eastern Europe differentiated korean Marxism in several divisions. Owing to the dissolution of them, Korean Marxists got out of the bad dream of stalinism, has searched newer thought and movement. Habermasian Theory which was thought as a detour to reach Marxism in 1980s was considered as a reconstruction strategy of Marxism in 1990s. And The visit of Habermas to Korea made academic circles of Korea receive his theory. This is the efforts-result of ph. D. students who returned from study in Germany. After this event, Rewriting which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the public sphere in individual medias is to show the institu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U. S., to reflect the colonialization of the field in production of knowledge in korean society as it is. All knowledge is formed in a concrete historical context, therefore shoud be understood in a such context. At this time, the subject of production in knowledge should be elucidated explict, the course of production in knowledge should be understood simultaneously. For the translation as a civilization-course can be the translation as a colonialization-course.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f power-relations which intervene in translation-course is important in translation-praxi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eeply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production in original language culture and its transmission, its reassignment, its reinterpretation in translational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 번역사와 우리의 근대성: 20세기 초엽부터 1953년까지를 중심으로

        홍영두 ( Hong Yeong D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이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의 번역 수용사를 다룬다. 마르크스주의 철학 및 꼬뮤니즘 운동의 탄생지ㆍ성장지가 근대 유럽사회였던 점에서 마르크스주의 사상은 식민지 근대 하의 조선인들에게 외래사상이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서양에서 발원 된 외래사상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가 식민 피지배 상황에 놓여 있었던 우리 근대 사회의 공론영역에 수용되었다. 외래사상 수용의 경우, 번역물에 대한 독서가 공론 영역에 서 이루어지고 여론 또한 거기서 형성되었다. 바로 그 점에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의 수용사에 대한 연구가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에 대한 번역 작업을 탐색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할 이유가 있다. 그렇지만 번역은 외래사상의 일방적인 수용 과정이 아니다. 번역은 사람들 사이에 문제를 제기하고 되물을 가능성, 그리고 같은 텍스트에 대해서도 그런 일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여는 작업이다. 번역은 전통문화와 외래문화의 접촉 행위이다. 그 접촉은 전 통을 변화시킨다. 이 점은 번역어 형성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일본이 수입 번역한 외래어를 우리가 또 다시 일본으로부터 수입한 흔적이 우리글 번역어에 배어 있다. 하지만 번역은 의미의 풍부화여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의 경우 우리가 수입한 일역어는 우리 근대 사회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얻었고 역사적 실정성을 구성했다. 그렇지만 번역어 탄생시부터 일역어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우리글 번역어에도 고스란히 이전된 식민 잔재의 흔적이 오늘날까지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식민 잔재를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번역어에 남아 있는 식민 잔재의 흔적을 찾아내야 한다. 이런 관점을 견지하면서 연구한 이 논문은 마르크스, 엥겔스, 레닌, 스탈린의 철학사 상 원전에 대한 우리말 번역 실상을 조사ㆍ검토하며, 누가 어떤 동기로 원전을 번역했는 지, 번역 대본으로 무엇을 사용했는지, 시기별 번역된 원전의 내용과 우리의 시대 상황이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중심으로 원전 번역의 동기, 번역 수용의 경로, 번역의 시기적 특징, 번역과 시대 상황의 관계, 그리고 번역이 미친 영향력 범위를 검토하고자 했다. 이 검토 작업은, 수입된 외래사상으로서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에 대한 번역 수용이 식민 피지배 상황의 우리 근대인에게 어떤 새로운 사회적 상상력을 불러 일으켰고 어떤 신조어를 발생시켰는지, 이 같은 사회적 상상력과 신조어 형성이 우리의 식민지 근대에 어떤 문화적 코드를 부여하면서 우리의 근대를 어떻게 재구성하였는지, 마르크스주의가 우리의 민족 문화 기획과 근대 사회과학 및 사회ㆍ역사철학의 형성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으며 우리 근대성의 구성요소로서 어떻게 소화되었는지, 또 마르크스주의 번역 수용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은 없었는지, 있었다면 어떤 문제점이었는지에 관한 물음의 대답을 어느 정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This essay treats history about reception-activities of our modern intellectuals who translate the texts of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Marxism. It is Marxism as western foreign thought that had been received by way of translations in the public sphere of our modern society under the colonial oppressed situation. In such cases how foreign thoughts was receiving by people, Reading translated texts was performed in the public sphere, and the public opinion was formed there. Therefore a study about reception-history of marxian philosophical thoughts should start the translation-activities the texts of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Marxism. However, translation is not the one-sided reception of foreign thoughts. Translation is the work which opens the possibility that presents, reexamine problems between people, and performs it about the same text. Translation is contact-activities between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foreign culture. This contact varies the tradition. This was true of forming translation-language applied to philosophical terms of Marxism in our modern times. Our modern intellectuals borrowed the philosophical terms of Marxism from Japanese Marxists or Socialists. Because our modern intellectuals used Japanese texts that had translated english or german written philosophical texts of Marxism. Owing to it, our translation-language of marxian philosophical terms has been contained the preoccupation and prejudice pervaded in the Japanese translation-language that was invented using Japanism Chinese Characters. This trouble is one of marks of our experience that suffered the colonial domin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t is today’s our task that had to overcome colonial remainder. But we should pay attention to new meanings which has been formed by our modern experience, and has been embedded in our translation-Language. We could construct modern Social Science and modern Korean Philosophy by way of the reception of Marxism. From a point of this view, this essay reexamines the characters and conditions of our activities that translated the philosophical texts of Marx, Engels, Lenin, Stalin, who translated texts of Marxism from what motives, who used what sort of texts, how the content of translated texts was closely connected with our modern situation. This research contains the motives of translation-activity, the course of translation-reception, periodical distinctions of translation-content, interrelations between our moderns’ contemporary situation under colonial domination and our translation-activities, effect-scope of translations, troubles of translated publications, and so forth. Finally, this paper tries to confirm that Marxian philosophy was one of our important elements that has been composed of our modernity and our modern 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