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唐書釋音』의 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 『당서석음』이 참고한 『新唐書』의 版本 상의 특징

        홍성민 ( Hong Sungmin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3 No.-

        『唐書釋音』은 『新唐書』 속 어휘의 발음에 대한 주석서로, 江西 지역의 송대 학자 董衝이 崇寧5년(1106)에 지은 책이다. 『당서석음』에는 전부 11,972조의 주석이 있는데, 중복이 되는 7,154조의 주석과 뜻풀이만 한 주석 14조를 제외하면 4,759조의 音注가 확인된다. 『당서석음』은 송대 王觀國이 비판하였듯이 『廣韻』과는 다른 音注가 확인되는데, 여기에는 동충의 출신지인 강서방언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왕관국의 『당서석음』 비판 내용과 현행본 『당서석음』을 비교한 결과, 현행 『당서석음』은 왕관국이 인용한 『당서석음』에서 한 차례 수정이 이루어진 판본이다. 따라서 『당서석음』을 이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당서석음』의 저자 동충이 참고한 』신당서』는 숭녕5년(1106) 이전에 간행한 판본으로 현전 최고의 『신당서』 판본인 남송 초기(紹興7년[1137] 전후 간행)의 판본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어서, 양자 사이에는 字形 등의 차이가 확인된다. 따라서 『신당서』를 이용할 때는 이러한 판본상의 차이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당서석음』의 音注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호삼성의 『자치통감음주』와 비교 작업을 거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당서석음』와 『자치통감음주』의 표기가 기본적으로 일치하고 이들이 다시 『광운』의 반절표기와 일치한다면, 이를 7세기경의 음가로 간주하여도 무리는 없겠다. Tangshu Shiyin is a book of pronunciational comments on Xin Tangshu, written in 1106 by Dong Chong, a scholar of the Song dynasty in the Jiangxi area. Tangshu Shiyin has a total of 11,972 comments, and 4,759 comments are confirmed, excluding 7,154 comments that overlap and 14 comments that only explain meaning. Tangshu Shiyin, as criticized by Wang Guanguo in the Song Dynasty, has some different pronunciational comments from Guangyun,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 of Jiangxi which was the hometown of Dong Chong. As a result of comparing Wang Guanguo's article criticizing Tangshu Shiyin with the current edition of Tangshu Shiyin, the current edition has been revised once from a edition quoted by Wang Guanguo. Therefore, we should be cautious about use of Tangshu Shiyin. Xin Tangshu referenced by Dong Chong, author of Tangshu Shiyin, was published before 1106, and is different from the edition of the early Southern Song (published before and after 1137), which is the oldest Xin Tangshu edition. There is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itions, such as the shape of a charac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se differences in the edition when using Xin Tangshu. In order to utilize the pronunciational interpretations of Tangshu Shiyin,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a comparison with Hu Sanxing's Zizhi Tongjian Yinzhu. And if the pronunciational comments of Tangshu Shiyin and Zizhi Tongjian Yinzhu basically coincide, and they again match the interpretations of Guangyun, it is not unreasonable to regard it as the Chinese pronunciations after the 7th century.

      • 문화적 특성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선호 분석 : 한국과 미국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비교를 중심으로

        홍성민(Sungmin Hong),김현석(Hyunsuk Kim),은혜영(Hyeyoung Eun),정광용(Kwangyong Jeong) 한국HCI학회 201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1

        기존 PC 중심이었던 인터넷 생태기가 2010 년을 기점으로 무선인터넷의 본격적인 확산으로 인해 모바일 생태기로 재편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에 Wi-Fi 기능이 탑재되면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가 대중화되었다. 모바일의 확산은 IT 산업부분의 변화를 넘어 일하는 방식은 물론이고 소비패턴, 라이프 스타일에 이르기 까지 포괄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글로벌시대의 도래와 IT 및 첨단기술의 발전은 국가간 문화적 차이보다는 개인간 차이를 드러낸다는 기존 연구들을 반박하고 본 연구에서는 아직 새로운 기술의 수용에 있어 일정부분은 국가간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이와 더불어 문화적 차이로 설명되어지기 어려운 한국과 미국 간 애플리케이션의 선호 분포상의 차이는 기술수용주기의 국가간 위치에서 확인되는 현재 모바일 시장에 따른 차이에 근거한 것으로 발견될 수 있다. The system of the Internet is changing from PC to mobile devices due to the spread of the wireless internet since 2010. Additionally, mobile internet service has been popularized owing to the mobile devices built in Wi-Fi. The popularization of the mobile devices leads to several changes not only the work place including IT industry but also consumption pattern and lifestyle. However, this study disputes a claim that the advances in global era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w technology are resulted from individual differences rather than cultural differences. The main study brings about some clear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the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Moreo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s of the mobile application between Republic of Korean and the USA,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because of the cultural differences. However,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ored with different Technology Adoption Life Cycle based on the mobile devices market.

      • KCI우수등재

        사료의 재검토를 통해 본 高麗 윤관의 女眞征伐

        홍성민(Hong Sungmin) 역사학회 2021 역사학보 Vol.- No.250

        In 1107, the Goryeo army led by commander Yun Gwan, conquered the Jurchens and incorporated their area into Goryeo territory. According to Inscriptions on the Wall of Yeongju office 英州廳壁記, the area was described as ‘the square 300 ri里.’ On the other hand, Dongin Ji Mun Sa Ryuk (Four-Six Proses of Eastern People), quoted from ‘Yun Gwan Biography’, said crossing the area needs seven days. However, this statement is not found in the ‘Yun Gwan Biography’ in Goryeo Sa 高麗史. Comparing the record of ‘crossing the area needs seven days’ with Yeoji Doseo 輿地圖書 compiled in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it can be assumed that Goryeo army reached from Dancheon to Gilju area. As Yun Gwan’s army marched to the northea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stance within 424 ri, which is the diagonal line of the square 300 ri. Calculations show that the northeastern boundary of the Yun Gwan’s occupied territory was more than Dancheon and less than Gilju, which shows almost the same result from record of Dongin Ji Mun Sa Ryuk. Therefore, the range of Yun Gwan’s occupied territories became more accurate. According to the historical materials on the Jin dynasty, it is consistently said that “Goryeo built Nine Fortresses in Helan dian 曷懶甸”, so it can be seen that the range of Helan dian was larger than Yun Gwan’s occupied territories.

      • 사회적 관계망에 따른 온라인 SNS 사용행태

        홍성민(Sungmin Hong),김현석(hyunsuk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최근 온라인 SNS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그에 따라 온라인 SNS 사용자들의 경험이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2012 년 4 월 뉴욕 타임즈의 기사를에 따르면 “Social networks, small and smaller” 라는 주제로 SNS 사용자들이 Facebook 이나 트위터를 사용하면서 온라인 친구가 계속 증가하자 점차 친구를 제한하는 폐쇄형 SNS 으로의 이동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라고 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SNS 사용자가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SNS 이용 행태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보다 면밀한 데이터를 얻고자 인댑스 인터뷰를 통해 질적 연구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는 Facebook 과 같은 보다 광범위하게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된다고 느끼는 오픈된 공간보다 그 필요와 목적에 따라 자신들만의 private 공간을 원한다는 것을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이는 사회적 관계망과 연관시켜 설명할 수 있다. This trend is accompanied by the rapid growth of the global smartphone market while the hardware, platforms, and application continuously increase in the market. Therefore, SNS market also changes and develops depending on the user"s behavior. With regarding to the article in the New York Times in April 2012, with the topic "social networks, small and smaller" SNS users while using the Facebook or Twitter friend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and gradually increase the limit of a closed SNS friends use, said. Thus, this smart phone SNS market dramatically developed in recent years, reasons, by a user, the user experience is changing rapidly, and depending on their own needs and purposes prefer different SNS applications. As a study result, users such as Facebook and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are exposed more broadly than the space feels open, users want their own private space, through interviews that were known. Additionally, it could be explained the associated relationship with social networks.

      • KCI등재

        송대 陸佃 『使遼錄』의 연구 : 逸文의 재구성과 역주

        홍성민(Hong Sung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1 No.-

        요대 역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정사인 『요사(遼史)』는 매우 소략하여 그 실상을 밝히는데 어려운 점이 많다. 따라서 풍부한 송대 사료에서 요 관련 사료를 찾는 작업이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송대 기록 중에서 송의 사절이 요에 갔다 온 후 작성한 『사요어록(使遼語錄)』도 요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한편, 송대 필기사료(筆記史料)에서도 다량의 요 관련 기사가 확인되는데, 그 연원을 살펴보면 『사요어록』에서 유래하는 경우가 있다. 육전(陸佃)의 『사요록』의 경우, 육유(陸游)의 발문을 통해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미 산일되어 현재는 온전한 형태로 남아있지 않다. 다만, 육유의 필기인 『가세구문(家世舊聞)』과 『노학암필기(老學庵筆記)』 등에서 그 일문이 확인된다. 따라서 본고는 『가세구문(家世舊聞)』과 『노학암필기』의 판본상의 특징을 고려하면서 육전(陸佃)의 『사요록』을 재구성하고 역주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육전 『사요록』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더 나아가 11~12세기 동아시아의 역사상의 이해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Because of the official history entitled Liao Shi 遼史 is very brief, it is not easy to research on the history of Liao dynasty. Therefore, the work of searching for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Liao from the historical materials of the Song dynasty has been carried out. Among the record of bureaucrats of Song dynasty, Shiliao Lu 使遼錄, the embassy reports, also contains important information of Liao dynasty. On the other hand, a larg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Liao dynasty in the notebooks confirmed by bureaucrats of Song dynasty, may be derived from the Shiliao Lu. In the case of Lu Dian s 陸佃 Shiliao Lu, has been confirmed by his grandson Lu You s 陸游 postscript, but it has already been scattered. However, the fragments of Lu Dian s Shiliao Lu contain in Lu You s notebooks entitled Jiashi Jiuwen 家世舊聞 and Laoxuean Biji 老學庵筆記. In this article, the author will reconstruct and translate Lu Dian s Shiliao Lu whi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itions of Jiashi Jiuwen and Laoxuean Biji.

      • KCI등재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향상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홍성민 ( Hong Sungm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도시에서 공공복지의 역할을 담당하는 공공건축물의 역할과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일반 건축물과 달리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향상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 기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건축물 디자인 경험이 풍부한 건축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공성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추출한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평가 항목에 대한 가치 인식을 조사하고 지표 형태로 구조화하여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지침이나 기준을 제정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평가지표를 제안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향상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연구 대상, 연구 목적, 연구 특징 및 분석방법, 연구 제안, 평가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기존 연구들의 주된 연구방법인 완성된 건축물이나 공간을 분석하는 결과물 중심이 아닌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구축과정을 공공성 개념 구축과정, 공공 공간 구축과정, 공공 프로그램 구축과정으로 나누어 분석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공공건축물 설계를 주로 하는 건축 전문가를 대상으로 응답된 내용을 AHP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별로 분석하고 각 평가항목에 대한 건축 전문가의 중요도 인식을 종합하고 지표화하여 공공건축물의 디자인 기준 제정 시 참고할 공공성 평가지표로 제안하였다. (결과) 평가 항목은 항목의 위계에 따라 1차 위계 3가지 항목, 2차 위계 13가지 항목, 3차 위계 22가지 항목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1차 위계 분석 결과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구축 과정은 공공 공간 구축과정-공공성 개념 구축과정-공공 프로그램 구축과정의 순서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공공 공간 구축과정의 하위 위계 중요도는 공공 공간 사용 차원의 공공성-공공 공간 접근 차원의 공공성-공공 공간 연계 차원의 공공성-공공 공간 인지 차원의 공공성의 순서로 나타났고, 공공 공간 인지 차원은 인지성-상징성-식별성, 공공 공간 접근 차원은 보행접근성-대중교통접근성-접근안전성-차량접근성, 공공 공간 사용 차원은 사용성-쾌적성-가변성-점유성-유도성, 공공 공간 연계 차원은 도시구조와의 연계-내외부공간 연계-내부공간 상호연계의 순서로 나타났다. 공공 프로그램 구축과정의 하위 위계 중요도는 프로그램 피드백-프로그램 연계-프로그램 운영과정-프로그램 운영주체-프로그램 생성과정의 순서로, 공공성 개념 구축과정 하위 위계 중요도는 도시공간구조에서의 공공성논의-논의과정의 공공성-논의주체의 공공성-도시 시간구조에서의 공공성 논의의 순서로 나타났고, 도시시간구조에서의 공공성은 시대성-역사성-유행성으로, 도시공간구조에서의 공공성은 장소성, 공론성-통합성-정체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공공건축물의 공공성 향상을 위해 공공성 구축 과정에 주목한 공공성 평가 항목을 바탕으로 전문가 가치 인식을 AHP분석하여 객관성이 높은 평가지표를 제안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utility of public buildings that play a role in public welfare in modern c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sign standards specifically for improving the publicness of public buildings, setting them apart from ordinary buildings.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architectural experts who have abundant experience in designing public buildings. The experts were asked to rate public building evaluation items. Based on this rating, public building evaluation indicators that can be referenced when establishing design guidelines or standards for public buildings were proposed. (Method) Prior research was divided into research subjects, research purposes, research features and analysis methods, research proposals, and evaluation items. It was established as a process-oriented research centered on analyzing the public concept building process, public space building process, and public program building process, rather than a result-oriented analysis of completed buildings or spaces, which is the main research method seen in existing studies. The AHP analysi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architectural experts by hierarchy, and the evaluation items were aggregated and indexed and proposed as publicness evaluation indicators to be referred to in the establishment of design standards for public buildings. (Results) The evaluation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sets of hierarchies, 3 items in the first hierarchy (that is, 3 items arranged in descending order of priority), 13 items in the second hierarchy, and 22 items in the third hierarchy, depending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item.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publicness of public buildings, the item of public space construction process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ublic concept construction process and public program construction process. Next, within the public space construction process the items were arranged, as per their importance, as: public space use > public space linkage > public space access > public space cognition. Then, within the public concept construction process, the order was: public discussion in urban spatial structure > publicness in discussion process > publicness in discussion subject > public discussion in urban time structure. Finally, in the process of public program construction process, the order was: program feedback > program linkage > program operation process > program operator > program creation proces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ness of public buildings, AHP analysis of expert’s opinions on publicness evaluation items, focusing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ublicness of public buildings, can be performed to propose publicness evaluation indicators with high objectivity and effectiveness.

      • KCI등재

        VAR 모형을 이용한 산지별 양파의 선도가격 분석

        홍성민(Sungmin Hong),김종화(Jonghwa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9

        양파는 무안, 신안, 합천, 제주, 군위 등 여러 산지에서 생산되고 있다. 여러 산지에서 생산되는 품목인 만큼 양파의 산지가격은 지역 간에 상호 영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특정 지역의 산지가격이 다른 지역의 산지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정산지의 가격이 다른 지역의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양파의 유통산업에서 매우 중요하고, 그 영향력을 갖는 산지가격을 선도가격이라고 할 수 있다. 선도가격은 미래의 농산물 수급에 대한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며, 미래 시장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동안 시계열 자료를 이용한 유통채널(산지, 도매, 소매 등)별 농산물가격 전이 및 인과성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산지별 가격이 다르게 형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지가격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유통채널별 수직적 관계가 아닌 산지 간의 가격 인과성을 측정하는 수평적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산지의 범위를 전라권(전남, 전북, 광주), 제주권(제주), 경상권(경남, 경북, 대구), 충청권(충남, 충북)으로 확대하여 어느 산지의 양파가격이 가격을 선도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Onions are produced in several production areas such as Muan, Sinan, Hapcheon, Jeju, and Gunwi. The onion price in each production area can influence and be influenced by prices in other production areas. The price in a specific production area that affects the price in other onion production areas is called the leading price as it has the power to influence the overall onion prices. The leading price provides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future agricultural supply and demand and thus helps predict the future market. Substantial research on agricultural price transition and causality using time series data has been conducted until now. However, despite arriving at the different prices by production areas, the research related production areas price has been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that estimated the price causality among the production areas and not the vertical relationship by distribution channel. Additionally, we aimed to identify empirically the production areas that lead onion prices, while broadening the scope of the production areas to include the Jeolla (Jeonnam, Jeonbuk, Gwangju), Jeju (Jeju), Gyeongsang (Gyeongnam, Gyeongbuk, Daegu), and Chungcheong (Chungnam, Chungbuk) region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