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부문에서 개인정보보호 자율규제에 관한 공법적 고찰

        홍석한(Hong, Seok H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성균관법학 Vol.21 No.1

        Facing the Information Society, a State is required to regulate in flexible and specialized way while respecting social autonomy, and the Self-regulation is highly recommended for the method. The Self-regulation is praised as an appropriate method of regulation, especially in an information society, and has various advantages. The Self-regulation, however, simply imposes self-obligation; so the Self-regulation itself is not enough to achieve effectiveness, and to make the Self-regulation meet the target of regulation, a State is required to establish a framework and lay a definite foundation on which autonomous private businesses can pursue the public good. In this regard, this study insists that a State should admit that it can't do all public tasks independently and it should utilize social autonomy actively; but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mphasizes that a State cannot relinquish overall responsibilities to civil organizations. Regarding the regulation issue, a State should trust and make use of civil Self-regulation, exceed the limit of Self-regulation itself, and establish legal frameworks to secure its effectiveness. Government-regulation and Self-regulation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an be combined. A State should support Self-regulation and legal foundation to secure fairness and transparency of the Self-regulation is necessary. Also, a supervisory authority in charge of monitoring and cooperating for the Self-regulation is needed.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rts the inevitable action of a State for the Self-regul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lso, From the aspect of the public law, the study suggests the principles of legislation and the concrete methods for the State.

      • KCI등재

        해고예고제도에 대한 헌법적 고찰 - 헌재 2015. 12. 23. 2014헌바3 결정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홍석한 ( Hong Seok-han ),김일환 ( Kim Il-hwa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2

        근로기준법은 해고의 기간, 사유, 절차 등과 관련하여 폭넓은 제한을 두고 있다. 해고 예고제도는 절차적 제한의 하나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적어도 30일 전에 해고를 예고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30일분 이상의 통상임금을 지급하도록 한다. 이는 돌발적인 해고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지만, 일정한 예외도 인정된다. 개정 전 근로기준법은 별도의 조항을 통해 해고예고의 예외를 규정하면서 특히,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를 예외대상에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예외는 2001년과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헌법재판소의 위헌심사의 대상이 되었다. 헌법재판소는 2001년 결정과 달리 두 번째 결정에서 판례를 변경하여 근로의 권리 침해와 평등원칙 위반을 인정하면서 “월급근로자로서 6개월이 되지 못한 자”를 해고예고의 예외로 규정한 것은 위헌이라고 선언하였으며, 이 결정을 계기로 근로기준법상 해고예고의 예외에 관한 규정은 큰 폭으로 개정되었다. 본 논문은 위 헌법재판소 결정의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통해 해고예고에 대한 권리의 헌법적 의의 내지 근로의 권리와의 관계, 해고예고의 예외로 인하여 문제되는 기본권, 해고예고제도에 대한 입법재량의 범위와 위헌심사의 기준 등 해고예고제도와 관련한 헌법적 쟁점에 대해 고찰한다. 우선, 헌법재판소 결정은 해고예고제도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해고와 관련한 근로자 보호를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해고예고의 적용에서 다른 형태의 급여를 받는 근로자와 달리 월급근로자를 차별한 것은 근로관계의 지속에 대한 신뢰와 관련이 없는 급여의 지급형태를 기준으로 한 차별로서 불합리한 차별에 해당하고 따라서 위헌이라는 결론도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아래와 같은 측면에서 비판적인 평가도 가능하다. 즉, 직업의 자유에 대한 보호의무 위반 여부를 심사하지 않았다는 점, 해고예고에 관한 권리를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한 최소한의 근로조건으로서 헌법상 근로의 권리에 직접 포함되는 권리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근로의 권리의 실현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법익과 이해관계를 고려해야 하는 만큼 민주적 입법기능에 대한 존중과 권력분립의 관점이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근로관계의 지속에 대한 월급근로자의 신뢰가 형성되는 기간을 6개월로 설정한 입법자의 판단이 현저히 불합리하다거나 월급근로자 상호간의 차별이 자의적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가 이러한 측면에 대해 근로의 권리 침해와 평등원칙 위반을 인정한 것에 대해서도 동의하기 어렵다. The Labor Standards Act restricts the duration, reasons and procedures for dismissal. In particular, Article 26 states, “When an employer intends to dismiss an employee (including dismissal for management reasons), he/she shall give the employee a notice of dismissal at least 30 days in advance of such dismissal, and, if the employer fails to give such advance notice, he/she shall pay such employee a 30 days' ordinary wage at the least.” There are some exceptions for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Before the amendment, the Labor Standards Act included “A worker who has been employed for less than six months as a monthly paid worker” as an exception to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The Constitutional Court conducted judicial review twice in 2001 and 2015. In the second dec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it unconstitutional, recognizing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Work and the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Equality by changing the case. This decision led to a major revision of the exceptions to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meaning and the relationship to the Right to Work of the right to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Constitutional Rights related to exception to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the scope of powers of legislators and the scale of the judicial review regarding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First,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be evaluated positively in that it has been an important opportunity to systematically improve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system and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workers related to dismissal. However, criticisms can be made because of the following problems. The Constitutional Court did not screen the violation of protection obligations of the state for the Freedom of Occupation. Al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regarded the right to the Advance Notice of Dismissal as a right to be included directly in the Right to Work in the Constitution as a minimum condition of employment to ensure human dignity. In addition,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Work requires respect for democratic legislative functions and due 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gree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onsiders the legislator's judgment that it takes six months for the monthly paid worker to build confidence that the working relationship will continue as significantly unreasonable, and that there is arbitrary discrimination among the monthly paid worker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헌법재판소에 의한 입법권 통제에 대한 고찰

        홍석한(Hong Seok Han) 한국국가법학회 2015 국가법연구 Vol.11 No.2

        헌법재판소가 국회와의 관계에서 어느 정도의 통제력을 발휘하도록 할 것인지는 헌법재판제도와 관련된 논쟁에서 오래된 주제이다. 이는 헌법원리인 의회주의의 원리, 권력분립의 원리와 헌법재판제도의 취지인 헌법의 규범력 확보 사이에 적절한 선을 찾아내야 하는 문제로서 그만큼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헌법재판소의 국회 입법에 대한 통제는 크게 입법내용에 대한 통제와 입법과정에 대한 통제로 나누어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전자와 관련된 판례로 신행정수도의건설을위한특별조치법위헌확인 사건을, 후자와 관련된 판례로 미디어 관련 법률들의 국회 강행처리와 관련된 국회의원과 국회의장 간의 권한쟁의 사건을 검토하고 있다. 이 두 사건은 최근까지도 문제되고 있는 정치의 사법화 또는 사법의 정치화 현상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헌법재판소에 의한 입법권 통제와 관련하여 큰 논란을 불러일으킨 대표적인 사례이다. 헌법재판은 헌법규범에 대한 해석을 그 본질로 하는 사법적인 법인식 작용으로서 사법작용의 하나이다. 그러나 동시에 심판의 대상이 다른 사법작용에 비하여 보다 정치적인 성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정치적 사법작용'이다. 헌법재판소는 최고법규범이면서도 추상성과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헌법규범을 해석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그리고 헌법과 법률을 토대로 국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권한유무와 범위를 결정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치적 쟁점에 대해서도 대답을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헌법재판의 특징은 헌법재판소가 정치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의미도 아니지만 동시에 헌법재판소가 정치의 한 가운데 서야한다는 의미도 아니다. 비록 헌법재판소는 국회의 입법권을 존중해야 하지만 헌법으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권한과 의무를 다함으로써 정치를 통제하는 기능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회에서 압도적 다수에 의해 의결된 법률을 헌법재판소가 관습헌법론을 원용하여 무효화시킨 신행정수도특별법 사건은 헌법재판소가 자신의 권한을 넘어서서 입법권을 침해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반면, 국회의원의 심의ㆍ표결권을 침해하는 분명한 절차상의 하자를 드러낸 법률안 의결절차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국회의 자율권 등을 이유로 사실상 유효를 선언한 미디어법 사건은 헌법재판소가 헌법의 수호자로서 정치를 통제해야 하는 역할을 소홀히 하였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It has been the subject of intense scholarly debate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that to what extent the Constitutional Court exert control over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As this problem is related to the finding of a delicate balance between the parliamentarism and the purpose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to realize the principles of a constitution, so it is an extremely hard task.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trol over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sections. the one is for the contents of the laws, the other is for the legislative procedure.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Case or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Case"(16-2(B) KCCR 1, 2004Hun-Ma554, 566(consolidated), October 21, 2004) related to the former, and "the Competence Dispute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the National Assembly Speaker Case"(21-2(B) KCCR 14, 2009Hun-Ra8 ㆍ 9 ㆍ 10 (consolidated), October 29, 2009) related to the latter. The essence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is to interpret the Constitution and it is one of the judicial ac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subject of judgment assumes a political nature and it is also political action. In turn,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work out an answer to political issues. However, this nature of the constitutional adjudication system means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neither should be free from politics nor get into politics. Although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to respect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ational Assembly, it should fill the role to control political problems as it is empowered by the Constitution to interpret the Constitution. In that respect,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City Case that the Special Act that intended to relocate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by constructing a new capital for administrative function is unconstitutional on the grounds that Seoul is the capital is a constitutional custom and is endowed with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written constitution exceeded it's authority. The decision on the Competence Dispute Case that rejected the claim to seek the declaratory judgment of annulment of the announcement of passage of the Bills in spite of the infringement on the rights to review and vote on the Bills of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is also unjust.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사물인터넷 발전과 법적 대응

        홍석한(Hong Seok Han)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3

        사물인터넷이 경제적, 사회적 전반에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사물인터넷이 국가경제와 국민생활에 미치게 될 영향에 대한 광범위하고 세밀한 검토, 문제점 및 부정적인 효과에 따른 법적 대응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은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비롯한 헌법적 관점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람의 개입이 없이 자동화되고 상호 연결된 여러 사물들이 스스로 정보의 수집, 전송, 처리의 주체가 되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는 무엇보다 개인정보와 사생활 침해에 대한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는 만큼, 무엇보다 이에 대한 법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헌법적 틀을 벗어나지 않는 사물인터넷의 발전, 기본권 보호에 위배되지 않는 사회적 변화를 위해서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노력이 병행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미국의 사물인터넷 발전 현황과 개인정보 보호를 중심으로 한 법적대응에 관한 진행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미국은 2013년 국제데이터협회의 사물인터넷 준비지수 평가에서 G20 국가들 가운데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하여 전 세계 사물인터넷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로서 민간기업에 의하여 사물인터넷기술의 발전과 활용영역의 확대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여러 도시들과 국가 차원의 지원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해서는 민간부문을 아우르는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의 부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모종의 변화가 초래될 조짐이 보이고 있는바, 백악관과 연방거래위원회가 매우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공정정보처리원칙을 기초로 한 연방차원의 개인정보 관련 입법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역시 경제적 효과에만 초점을 둔 일방적인 지원 위주의 정책을 지양하고 사물인터넷이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와 같은 기본권에 미칠 영향에 대한 세밀한 평가, 현행법에 의한 대응 가능성 내지 관련 법령의 제·개정 필요성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후속조치에 우선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It is predicted that Internet of Things(IoT) will create revolutionary changes in society and the economy. However, countermeasures in law should be preceded to prevent the negative effects on living of the people of IoT and in these countermeasures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ncluding the fundamental rights should be maintained. In the IoT context, physical objects connected through internet and embedded with sensor collect, process, and transmit information without explicit human intervention. With the increased connectivity between devices, the risks to security and privacy becomes greatly multiplied and the most urgent thing is to lay the legal groundwork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This article describes the United States’ current condition of the IoT and legal regime of data protection. As a leading country in the IoT field, US held the second rank in the IDC's G20 ranking through the lens of the IoT. Companies are stepping up technical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businesses, and cities and government are institutionally support them.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appointed as a problem that US legal system is not enough to protect personal privacy from companies. However, there are signs of changes. The White House has issued a report titled “Consumer Data Privacy in a Networked World: A Framework for Protecting Privacy and Promoting Innovation in the Global Digital Economy” on Feb. 2012. Also, Federal Trade Commission(FTC) issued “IoT: Privacy & Security in a Connected World” on Jan. 2015. These both reports ar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federal law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on the bases of Fair Information Practice Principles(FIPPs). Considering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challenges raised by the Io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lso avoid one-sided policy to support IoT. Most of all, the government should analyze the effect of the IoT on the privacy and pay more attention to counterpla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urrent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