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지방도시 브랜드 구축을 위한 지역 이미지 구조에 대한 연구

        홍상희(Sang Hee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한국의 지방도시 중 강원도의 동해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브랜드 구축을 위한 지역 이미지 구조의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동해시의 지리적·인문사회적 특성 파악을 통한 동해시의 현황과 시정전략 고찰을 통해 향후 동해시가 기존의 관광도시 고수와 더불어 산업도시로서의 전환을 위해 물류산업의 전초기지로 나아가고자 한다는 발전방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해시의 브랜드 구축을 위해서는 관광도시로서의 역할이 절대적이라는 가정 하에, 여행·관광지 선정의 기준에 대해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매력 있고 인기 좋은 자연경관이나 시설등의 하드웨어적 측면이 잠재적 여행·관광객에게 유인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다양한 이벤트나 지역주민의 친절함이 관광지 선정요인 중 성별과 연령에 상관없이 주요요소로 작용한다는 것도 밝혔다. 나아가 잘 구축된 지역브랜드의 홍보가 관광의 주요 유인요소임도 규명했다. 또한 동해시의 지역주민과 전문가, 방문객에 대한 지역 이미지조사를 통해 동해시의 이미지구조를 파악 할 수 있었다. 조사결과 동해시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이나 ``무릉계곡``, ``천곡동굴``, ``망상오토캠핑리조트``등 하드웨어적 요소에 대한 이미지가 강하며, 상대적으로 다양성과 차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불친절``이나 ``불편한`` 등의 이미지가 동해시의 브랜드구축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것도 규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한국의 지방도시 브랜드 구축을 위한 전략적 지표도출이 가능해졌으며, 나아가 지역이미지전개에 유효한 지표가 되리라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image structure in Donghae which is one of the small cities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general status of Dongha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review of the city strategy, touristic resources, and industrial outpost that leads to logistics industry. I adopted the criteria of the tourist city standard under the premise that the role of the tourist city is the most important in selection of the tourist city. As a result, good natural scene and facilities proved to be one of the fascinating factors in hardware assets, a variety of events and kindness of the local residents also influenced on the touristic attractions. The well-made advertisement on the City brand played a major role in tourism. The regional image was revealed through the enquetes from the people, experts, and tourists. The strong points of Donghae were beautiful scenic sites including Mooreung Valley, Cheongok Cave, and Mangsang Auto-camping Resort. In the meanwhile, Donghae had software shortage. The weak points of Donghae were inhospitality and inconvenience an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negative regional brand image.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ake effective strategy and milestone to regional brand in Korea. And also can gotten effective index which points out development of regional Image hereaft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元代 李ㆍ郭派 畵風의 연구

        홍상희(Hong Sang-hee) 한국미술사학회 2004 美術史學硏究 Vol.- No.244

        李ㆍ敦派 樣式은 원래 中國 華北地方의 황량한 자연을 기반으로 李成(919-967)에서 비롯되어 郭熙 (약 1020-1090)와 같은 계승자들에 의해 완성된 북송의 산수화 전통이다. 이 글은 元代ㆍ郭派 畵風의 출현 배경, 원초 趙孟?를 통해 제시된 새로운 측면, 시대에 따른 전재 양상을 고찰하여, 北宋의 이ㆍ곽파 양식과 다른 원대 이ㆍ곽파 화풍의 특색과 회화사적 의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元初 唐ㆍ宋의 회화양식이 추구된 文人畵壇의 復古主義와 이ㆍ곽파 화풍이 선호된 宮廷畵壇의 분위기는 이ㆍ곽파 화풍이 원대 다시 부각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복고주의는 몽골족의 지배라는 정치적 상황에서 漢族 出身 文人畵家들의 이민족에 대한 저항과 무능했던 南宋에 대한 의식적인 거부에서 비롯된 것이다. 元初 궁정화단에서는 수도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대규모 건설사업이 활발하였는데, 대화면의 산수도벽화에 적합한 이ㆍ곽파 화풍이 선호되었다. 원대 이ㆍ곽파 화풍의 시작은 원초 화단의 복고주의를 주도한 趙孟?(1254-1322)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북송 이래 南宋, 金을 거치면서 변용된 이ㆍ곽파 화풍을 총대집성하는 한편, 唐ㆍ宋의 다양한 화풍을 결합하여 원대 이ㆍ곽파 화풍을 창출해 내었다. 이는 이후 많은 화가들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浙江地域을 중심으로 이ㆍ곽파 화풍을 구사한 화가들이 다수 배출되는 데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원대 이ㆍ곽파 화풍은 화면의 특징에 따라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중국 회화사상 14세기 중반을 전후해서 元四大家를 중심으로 한 강남 문인화단의 활동이 두드러지는데, 윈대 이ㆍ곽파 화풍 역시 이 시기를 기점으로 화풍상의 변모가 뚜렷하다. 14세기 초반에서 중반까지는 원초 조맹부에서 비롯된 寒林平遠山水 형식이 성행하였다. 近ㆍ中ㆍ遠景이 뚜렷한 三段構圖나 전경에 부각된 雅集을 연상시키는 듯한 인물 모티프는, 大觀的인 산수를 지향한 북송의 이ㆍ곽파 양식과 구별되는 원대 이ㆍ곽파 화풍의 특징이다. 14세기 중반에서 후반까지는 이전 시기에 성행한 한림평원산수 형식을 계승하는 한편, 당시 주도세력인 江南 文人畵壇의 동향에 부합하듯 笞點이나 垂直ㆍ水平的인 構圖, 巨碑的인 산봉우리 표현 등 새로운 경물 구성과 표현이 도입되었다. 이는 14세기 중반 경부터 董ㆍ巨樣式 및 巨碑的인 山水樣式이 성행한 당시 강남 문인화단의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원대 이ㆍ곽파 화풍은 북송의 이ㆍ곽파 양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당시 화단의 동향에 따라 거듭 변모하였음을 이 논고를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원대 이ㆍ곽파 화풍은 원초부터 원말까지 시대를 통괄해 文人畵家, 宮廷畵家, 職業畵家 등 다양한 계층의 화가들에 의해 제작되었기 때문에 원대 회화의 전체적인 맥락을 살펴볼 수 있는 점에서도 중요한 회화사적 위치를 차지한다고 생각한다. Li-Guo style (李ㆍ郭派 樣式) is a tradition of landscape painting of Northern Song that depicts the desolate landscapes of Huabei region (華北地方), China, which originally began by Li Cheng (李成, 919-967) and was completed by his followers such as Guo Xi (郭熙. c. 1020-1090). This paper examines Li-Guo style of the Yuan dynasty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its emergence. new aspects initiated by Zhao Mengfu (1254-1322). and chronological development. In the beginning of the Yuan dynasty, the prevalence of revivalism of Tang and Song styles among the literati painters and the inclination toward the Li-Guo style in the court provided a foundation for the rebirth of the Li-Guo style in this period. The protest of Chinese literati painters against the foreign invaders under the Mongol rule and their conscious rejection of the Southern Song style also prompted the revivalism. The revival of the Li-Guo style during the Yuan period was initiated by Zhao Mengfu, who also took the lead in revivalism. Based on the collection of Li-Guo style paintings through the Southern Song and [in dynasties, he created his own manner of Li-Guo style by combining diverse painting style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His Li-Guo style inspired many later painters particularly in the Zhejiang province (浙江地域). Li-Guo style paintings of the Yuan dynasty could be divided in style into two groups, thos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and those from its latter half, The literati painters centering around the Four Great Masters from the Jiangnan region became prominent around the mid-14th century, and about this time, changes took place in the Li-Guo style paintings as well, The landscape type of wintry trees and level distance (寒林平遠山水) which began by Zhao Mengfu prevailed in the first half of the 14th century. Distinct features of the Li-Guo style painting in the Yuan period include the definite distinction of close, middle and distant views and the grouping of figures in the foreground that recalls the elegant gatherings (雅集). In the latter half of the 14th century, the landscape type of 'wintry trees in the level distance" continued, while a new visual vocabulary such as taidian (苔點). vertical and horizontal compositions, and monumental mountain peaks were introduced, which seem to correspond to the trend of literati painters from Jiangnan region. This is a reflection of the trend of literati artists' circle from Jiangnan where Tung Yuan and Chu Jan's style (董ㆍ巨樣式) and the monumental landscape style (巨碑的 山水樣式) were in fashion since the mid-14th century. This paper examined that while the Li-Guo style of Yuan is based on that of Northern Song, it was repeatedly transfigured according to the evolving currents of contemporaneous artists' circles. Furthermore, it is very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e Li-Guo style paintings of the Yuan peri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hole context of paintings of Yuan, as the Li-Guo style of paintings were produced by different classes of painters such as literati, court and professional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일 가로경관관련 현행법제도 비교에 의한 한국 가로공공물디자인과 가로경관디자인의 과제 도출

        홍상희(Sang Hee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가로경관 및 도시환경형성의 주요 구성요소인 가로공공물을 대상으로 현행법제도의 현황 파악과 법제도에서 오는 문제점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 경관디자인사업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사업의 내용과 범위, 문제점 등을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가로공공물에 관련한 현행법제도를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을 통하여 고찰, 가로공공물의 법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인터넷 법률조회서비스를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한일 간의 현행법제도의 비교를 실시, 같은 동양문화권이면서도 서로 다른 가로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양국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시환경 내지는 가로경관형성과 관련한 법제도는 기본계획이라는 큰 틀을 정의하는 범주 내에서 정의하고 있기에, 형태나 디자인의 디테일을 규정짓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각 시설에 대해서는 각각의 관련법에서 규정하도록 명시되어 있어, 각 담당부서별로 시설물을 설치·관리하는 현재의 체제가 만들어졌다는 것도 파악하였다. 특히, 가로공공물의 설치는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나, 형태·디자인에 대해서는 설치·관리주체가 개인으로 갈수록 법적 규제가 완화되어 비교적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점이 가로공공물에 의한 특성화나 개성화의 추구가 가능한 장점인 동시에, 디자인의 그릇된 적용에 의한 폐해도 발생하기 쉬운 허점이라는 것 또한 명백히 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관점에서 규정한 법률적 보완과 디자인 매니지먼트의 도입, 그리고 설치·관리 담당자들 간의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도 분명히 하였다. This study explained Korea`s current legal system by comparing various streetscape and street furniture to contribute to visual pollution, and identified a number of problems. Then, it sought to systematize Korea`s legal system, and categorize them according to leg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compared Japan and Korea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ir approaches to the promotion of the better streetscape. The study revealed few differences in the two countries` current legal system, Korean law prohibits the placement of structures alongside public roads. The law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In general. Japan has the same problems of Korea, such as regulations on construction and design and systematic problems relating to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treet furniture, and the lack of an integrated approach to roadside visual pollution. The study suggested four approaches to combatting the problems: new legislation regarding to visual pollution; administrative improvements including closer cooperation between builders and managers of street furnitur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ies; and increased public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