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홍복기 한국경제법학회 2017 경제법연구 Vol.16 No.1
This Article reviews the 2016 Korean Corporate Law Amendment Proposal(hereinafter “2016 Proposal”) concerning Economic Democratization. Currently, the 2016 Proposal i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 by the opposition parties. The key contents of the 2013 proposal include: the separate election of director who will be a member of audit committee in the listed corporation and a voting right limitation to any shareholder who holds more than 3/100 of the total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introduction of the cumulative voting system and a mandatory electronic voting system in the listed corporation; and introduction of double derivative suits. Ironically the 2016 Proposal wa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for the same purpose and the contents at the beginning of new Park Geun-hye government in 2013. However, the 2013 Proposal was strongly opposed by economic groups contending that economic groups threatened management rights and shrink corporate activities, and failed to pass the National Assembly because of the lack of cooperation from the opposition parties. In 2016, almost identical content was introduced by the opposition parties, but this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bill will be difficult to pass because of objections from the ruling party.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not desirable for the revision of the corporation law to be objectionable according to the subject of the initiative. This paper as a whole examined the legal implications of the 2016 Proposal and some core legal issues related to Korean corporate law, which includes as follows: problems of severely unbalanced use of corporate forms, making a independent code of corporate law, difficulties in corporate governance, revitalization of the electronic shareholder's meetings, fiduciary duty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Finally, the author of this paper proposed the specific considerations and concerns regarding individual content and issues were presented. 이 논문은 경제민주화와 관련된 2016년 회사법 개정안의 타당성을 검토한 것이다. 현재 야당을 중심으로 ‘경제민주화’라는 이념 하에 일정규모(자산 2조원) 이상의 상장회사에 있어서 감사위원인 이사의 분리 선출과 의결권제한, 소액주주의 신청에 의한 집중투표제의 의무화, 전자투표제의 단계적 실시, 다중대표소송 도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상법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되어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위 개정안은 2013년 박근혜 정부가 출범하고, 동년 7월에 정부안으로 대주주와 경영진의 전횡을 견제하고, 소액주주의 권한을 강화한다는 취지로 제안되었지만 경제단체들이 경영권위협, 기업 활동의 위축 등을 주장하면서 강력히 반발하였고, 야당의 협조를 얻지 못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한 의안이다. 2013년에는 박근혜 정부가, 2016년에는 야당에 의하여 거의 동일한 내용이 발의되었지만, 이번에는 주로 여당의 반대로 법안의 통과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내용의 당부를 차치하더라도 상법개정이 발의주체에 따라 ‘반대를 위한 반대’가 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근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김종인 의원 등 122명의 야당 국회의원이 발의한 2016년 회사법 개정안의 제안이유와 회사법상 의미, 우리나라 지배구조의 난맥상으로 인한 회사법 개정의 어려움, 개정안의 개별적인 내용과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와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홍복기 법무부 2017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77
본 논문은 주주총회의 정족수에 관한 상법의 관련 규정의 해석, 개정논의, 외국의 입법례 등을 검토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입장을 개진하였다. 첫째 주주총회의 보통결의는 정관에 다른 정함이 없는 한 발행주식의 총수의 과반수에 해당하는 의결권을 가진 주식을 가진 주주의 출석과 그 의결권의 과반수(특별결의사항은 3분의2)로 한다. 둘째 의결권이 없거나 제한된 종류주식, 자기주식, 비모자회사간 의결권제한, 감사(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에 있어서 의결권이 제한되는 3% 초과주식은 발행주식의 총수에 산입하지 않는다. 셋째 총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상법 368조 4항)는 규정은 삭제한다. 정족수제도의 개정과 더불어 중요한 것이 주주들이 자신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주는 것이다. 기업들이 섀도우보팅을 통해 손쉽게 정족수를 확보할 수 있었기 때문에 등한시한 서면투표, 위임장권유, 전자투표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기관투자가들에 대한 홍보와 그들의 적극적인 의결권행사가 요청된다. 주주총회를 활성화시키는 남아있는 유일한 희망은 주주총회의 전자화, 전자주주총회의 도입이다. 주주총회의 활성화가 주주들의 의사를 회사의 경영에 반영시키자 하는 것에 초점이 있다고 한다면 IT 강국인 우리나라는 그 어느 나라보다도 네트워킹 확보가 잘 되었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전자주주총회와 관련하여 주주총회에서의 전자적 방법에 의한 의결권행사와 사이버공간에서의 전자주주총회의 개최 두 가지가 있으나, 우리 상법은 전자만 인정하고 있고, 그것도 이사회의 결의가 있어야만 가능하다(368조의4 1항). 이제 그 방식을 바꿀 때가 되었다고 본다. 이사회가의 결의가 없더라도 개별 주주의 요청이 있으면 의결권행사를 전자적 방법(인터넷, 모바일) 등으로 행사하는 것을 허용하여야 할 것이다. 소위 IT화에 따른 기술상의 문제, 시스템 및 네트워크, 주주들의 인증과 동일성의 확보, 주주총회 회의장에서 의결권의 동시집계 등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준은 우리나라에서는 문제되지 않는다고 본다. 이러한 수준의 전자주주총회의 도입은 회사의 지배구조는 물론 사회전반에 많은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이다. 지금은 주식회사의 경영구조가 주주총회, 이사회, 대표이사, 감사(감사위원회)로 되어 있지만, 회사의 중요 결정의사에 있어서 예컨대 전자주주총회가 도입이 된다면 향후에는 이사회에서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지 않고 직접 주주에게 묻는 날도 올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This Article reviews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voting requirement system of shareholders’ meeting under the Korean Commercial Act (hereinafter “KCA”). The KCA § 368(1) provides that unless otherwise provided for by the KCA or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general resolutions “shall be adopted at a shareholders’ meeting by affirmative votes of a majority of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present thereat and representing at least a quarter of the total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The KCA § 434 provides that a special resolutions “shall be adopted by the affirmative votes of at least two thirds of the voting rights of the shareholders present at a shareholders’ meeting and of at least one third of the total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Facing the high diversification of share possession and the indifference of shareholders as to a shareholders’ meeting in a listed company, the KCA amended the above two provisions in 1995 to facilitate the adoption of resolutions at a shareholders’ meeting by abolishing the quorum requirement and relaxing the voting requirement. However, the voting requirement of those provisions has been criticized for allegedly not corresponding the principle that “the meeting is assembled when a majority of the current members are present, and the issue is decided by a majority of those present,” which is necessary for acknowledging the “representative nature of a resolution” in a decision-making process of organizational law. Meanwhile, the shadow voting system, which applied only to listed companies, was abolished on January 1, 2015 by the amendment of the Korean Capital Markets Act of 2013. Since permitting the KSD (Korea Securities Depository) to exercise voting right on behalf of the shareholders, the shadow voting system not only has been exploited by a small number of managing officers or controlling shareholders for strengthening their positions, but also has been obstacles to vitalizing a shareholders’ meeting. Thus, securing the quorum and voting requirement necessary for a resolution of a shareholders’ meeting has been an important issue, and it is argued that the current quorum and voting requirement should be loosened. After reviewing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provisions of KCA about voting requirement, discussions regarding amendment of the current law and the foreign legislation, this Article concludes and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general resolutions should be adopted at a shareholders’ meeting by attendance of a majority of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at a shareholders’ meeting and a majority (two thirds in a special resolution) of the voting rights of shareholders present thereat. Second, in computations with respect to resolutions by a shareholders’ meeting, the number of non-voting shares such as non-voting class shares, treasury shares, shares more than three percent of KCA §§ 409(2) & 542-12 and cross-owned shares should be excluded from the total number of issued and outstanding shares. Third, KCA § 368(3), which provides that “No person who has special interests in a resolution by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shall exercise his/her voting rights,” should be eliminated.
M&A에 대한 상법상의 규제와 몇 가지 문제점- 합병,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을 중심으로 -
홍복기 법무부 2014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67
In 2011, the Ministry of Justice amended the Korean corporate law portion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companies in international markets by establishing effective form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market-oriented discipline. Among the amended provisions two important institutional devices in relation to the merger are newly introduced. One is the cash-out merger which the subparagraph of Article 523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set forth the cash amount or property which is to be paid by the surviving corporation to the shareholders of the merged corporation, the other is the triangular merger which the Article 523-2 authorize the use of shares of parent's shares as consideration for mergers. Now the cash-out merger and the triangular merger are became the means of corporate reorganization.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amended law one case was reported as a the triangular merger. Nevertheless there are many legal obstacle including corporate law, capital market law, competition law, labor law and tax law in order to reorganize the corporation. Recently Korea Government has released its legislative plan for introducing the reverse triangular merger to revitalize the national economy in the small sized corporations and the venture business corporations. The reverse triangular merger is not permitted under the current Korean Commercial Act because of that the merger subsidiary is prohibited to acquire the parent's share for exchange between the parent's and the target's shares. This paper reviews some legal issues about the merger, division, and share exchange of corporations related to M&A in the amended Korean Commercial Act, 2011 inclu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correspond article and the suggestion of amendment of the law. 본 논문에서는 편집자의 요청에 따라 기업의 구조조정 또는 기업재편의 가장 중요한 수단인 M&A에 대한 회사법상의 규율과 몇 가지 문제점을 합병,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합병, 분할 및 주식의 포괄적 교환은 상법상 M&A의 다양한 수단 중 가장 중요한 것이며, 기업구조조정 또는 기업재편의 수단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합병에 있어서는 무증자합병, 채무초과합병, 삼각합병, 소규모합병에 있어서 주식매수청구권의 인정, 역삼각합병 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회사의 분할에 있어서는 대상회사의 범위, 분할의 대상, 물적 흡수분할합병의 인정, 채무초과회사의 분할, 무증자분할합병, 분할교부금, 불비례적 분할, 분할 후의 회사의 책임, 단순분할시 주식매수청구권, 삼각분할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에 있어서는 주식의 포괄적 교환 대가의 유연화, 소규모주식교환의 요건, 삼각주식교환 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합병,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에 대한 상법상의 규율은 2011년 개정상법이 교부금합병과 삼각합병을 인정함에 따라 일대 전환기를 맞이하였다고 볼 수 있다. 교부금합병제도에 의하여 합병수단의 유연화ㆍ다양화를 가져왔으며, 삼각합병이 인정됨에 따라 역삼각합병, 삼각분할, 삼각주식교환 등 소위 ‘삼각적 조직개편수단’의 도입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입법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이들 제도의 도입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회사법상의 구조조정을 위한 회사법상의 제도의 특성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제도간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실정에 맞는 기업구조조정의 원활화와 회사를 둘러싼 이해관계인의 보호가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회사의 구조조정에 관한 법적 문제는 헌법, 세법, 노동법, 경제법, 금융법 등 다른 인접분야와 융합적 해결을 필요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