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간과 자연의 상관관계에 대한 환경론적 접근 :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홍병선(Hong ByungSun) 한국인간과자연학회 2020 인간과자연 Vol.1 No.2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지구는 다름 아닌 우주선의 보조선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생명을 지탱시켜주는 생명부양환경이다. 공기, 물, 식량, 동력을 제공하는 생명부양계인 지구는 오염과 부적절한 관리, 인구증가 압력으로 열악해져가고 있다. 우리는 인류의 지속적인 생명부양에 필요한 물질들과 조건들에 관한 전체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것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만일 지구에 핵폭발이 일어나거나, 환경이 현재의 속도로 오염되는 경우, 우리가 얼마나 오래 지구에서 버틸 수 있을지 모른다. 이에 대한 환경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기술지향적 환경론과 생태지향적 환경론을 들 수 있다. 그 가운데 기술지향적 관점을 거부하는 이유는 그 이유는 문제를 발생시킨 과학기술로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반면 생태지향환경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하루아침에 기술문명을 포기하고 생태적인 삶으로 우리의 삶의 양식을 바꿀 수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현대 과학기술문명은 근대의 과학적 페러다임의 토대 위에 성립한 것이라고 했을 때, 현대문명이 지니고 있는 환경문제는 그 과학적 패러다임을 검토함으로써 보다 근본적인 진단과 해결책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arth we live on, like a spaceship, is a life-support environment that supports our lives. The earth, which provides air, water, food, and power, is deteriorating due to pollution, improper management, and pressure on population growth. We don’t have the overall information about the substances and conditions needed to sustain human life and don’t fully understand how they interact. If there is a nuclear explosion on Earth or the environment is polluted at its current rate, we don’t know how long we can survive on Earth. Technology-oriented environmental theory and ecological-oriented environmental theory can be cited as solutions to environmental problems. The reason for rejecting the technology-oriented view is that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fundamentally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used the problem. On the other hand, as ecologically-oriented environmentalists argue, we cannot abandon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change our way of life in an ecological way. Therefore, when moder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is based on modern scientific paradigm,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modern civilization can be more fundamentally diagnosed and solved by examining the scientific paradigm.

      • KCI등재
      • KCI등재

        비판적 사고'가 갖는 철학적 함의

        홍병선(Hong Byung-Sun)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이 글의 목적은 기존 비판적 사고를 둘러싼 담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살펴 본 후, 비판적 사고에 대한 철학적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우리가 지향해야할 비판적 사고의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기존 비판적 사고에 대한 논의는 그 형식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 점은 비판적 사고가 갖는 본성을 전혀 드러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왜냐하면, 형식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의 핵심적인 측면인 비형식적 요소에 해당하는 감정 요인을 비롯하여 '반성', '성향', '상황' 등을 적절하게 반영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사고는 추론적 사고이기는 하지만 논리적 사고와는 다르다. 논리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의 부분 집합이라는 점에서 비판적 사고의 상당 부분은 '비논리적 사고'로 이루어져 있다. 비판적 사고의 비논리적 사고가 논리적 사고로 대치될 수는 없지만, 얼마든지 그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논리적 사고는 말의 힘을 이용해 상대를 설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형식을 넘어 정당화가 필요한 사고이기 때문이다. 결국 비판적 사고는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 판단'에 수렴하는 사고라는 측면을 반영한다. Primarily, this article reviews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discourses about critical thinking. The ultimat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n ideal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at we need to achieve based on the discourse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ritical thinking. The conventional discussion of critical thinking have merely focused on its form and technique. This results in the failure of revealing its essential aspects: 'reflection', 'disposition', 'context' and emotional character of thinking as informal. Critical thinking can be counted for inferential thinking but not logical thinking itself. Rather, critical thinking embraces logical thinking, thus it requires 'illogical thinking' as its meaningful parts. In critical thinking, it is possible to justify illogical thinking though not to be replaced by log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focuses on how to persuade others using the power of argumentation regardless of its formalization. With this, I argue that critical thinking reflects the aspects of reducing subjective judgement to 'objective judgement'.

      • 비판적 사고의 논리적 근거

        홍병선(Hong, Byung-Sun)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6

        이 글의 목적은 기존 비판적 사고를 둘러싼 담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 후, 비판적 사고에 대한 철학적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우리가 지향해야할 비판적 사고의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기존 비판적 사고에 대한 논의는 그 형식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 점은 비판적 사고가 갖는 본성을 전혀 드러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왜냐하면, 형식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의 핵심적인 측면인 비형식적 요소에 해당하는 감정 요인을 비롯하여 ‘반성’, ‘성향’, ‘상황’ 등을 적절하게 반영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사고는 추론적 사고이기는 하지만 논리적 사고와는 다르다. 논리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의 부분 집합이라는 점에서 비판적 사고의 상당 부분은 ‘비논리적 사고’로 이루어져 있다. 비판적 사고의 비논리적 사고가 논리적 사고로 대치될 수는 없지만, 얼마든지 그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논리적 사고는 말의 힘을 이용해 상대를 설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형식을 넘어 정당화가 필요한 사고이기 때문이다. 결국 비판적 사고는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 판단’에 수렴하는 사고라는 측면을 반영한다. Primarily, this article reviews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discourses about critical thinking. The ultimat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n ideal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at we need to achieve based on the discourse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ritical thinking. The conventional discussion of critical thinking have merely focused on its form and technique. This results in the failure of revealing its essential aspects: "reflection", "disposition", "context" and emotional character of thinking as informal. Critical thinking can be counted for inferential thinking but not logical thinking itself. Rather, critical thinking embraces logical thinking, thus it requires "illogical thinking" as its meaningful parts. In critical thinking, it is possible to justify illogical thinking though not to be replaced by log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focuses on how to persuade others using the power of argumentation regardless of its formalization. With this, I argue that critical thinking reflects the aspects of reducing subjective judgement to "objective judge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철학적 주제로서의 상상력이론에 대한 접근

        홍병선(Hong, ByungSun)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0 지식융합연구 Vol.3 No.1

        In this study, I want to focus on the imagination that is the basis of creativity. Considering that the argument about imagination is a philosophical them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reation of artistic creation and scientific hypothesis. In that respect, imagination,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philosophy,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human intellectual creation work. So, among philosophers, almost no one has paid any attention to this topic, and has presented various theories about i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lso to examine in detail the different opinions of the imagination and, based on its analysis and evaluation,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how this can contribute to creativity development. Especially.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에 해당하는 상상력에 초점을 맞추어 논하고자 한다. 상상력을 둘러싼 논의가 철학적 주제임을 감안했을 때, 그것이 예술적 창조나 과학적 가설의 성립 등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철학에서 핵심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인 상상력은 인간의 지적 창조 작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그래서 철학자들 사이에서 이 주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사람이 거의 드물 정도로 이 주제에 대해 다양한 이론을 제시해 왔다. 이 글의 목적 또한 상상력을 둘러싼 다양한 견해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토대로 이것이 창의성 함양에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해 그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있다.

      • KCI등재

        글쓰기 교육의 대안적 모델로서의 '논증적 글쓰기'

        홍병선(Hong Byung-Sun)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3 No.53

        이 글의 목적은 지금까지 글쓰기 교육의 이상적인 모델로 여겨온 온 표현적(expressive)글쓰기를 넘어 합리적 의사소통이라는 글쓰기의 본질적 목적에 부합하는 논증적(argumentative) 글쓰기의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신의 생각이나 체험을 상대와 단순히 공감하기 위한 기존의 글쓰기가 갖는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비판은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표현적 글쓰기는 상호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설득이라는 글쓰기의 본질적인 목적을 반영해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요구라는 차원에서도 그 한계를 지닌다. 요구되는 논증적 글쓰기에서 의도하는 바는 자신의 생각이나 체험을 얼마나 적절하게 표현하여 상대로 하여금 공감을 유발시켰는가에 있다기보다는, 얼마나 설득력 있는 논거들과 추론구조가 제시되었는가에 있다. 그래서 논증적 글쓰기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필자의 체험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매체가 아니라, 언어를 통해 사건을 합리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설득력을 확보하는 과정인 것이다. 사회적 요구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논증적 글쓰기는 다양한 합리성의 구조가 존재하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요구되는 글쓰기의 대안적 모델은 바로 논증적 글쓰기이다. 따라서 삶의 다양한 구조 속에서 자신의 주장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합리적인 논증구조를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논증적 글쓰기는 결정적이다. It is said that the most discussion of debating 'writing' has been treated by the literal terms of surrounding either the korean language or korean literature. And in fact we can say that they have domain only for them. Recently with the beginning of one or two accomplishments from interdisciplinary studies it is coming out slowly self-scorn consideration out of their internal aspect. It is because they have wrong directions to the study. In the center of debate the main reason is the absence of philosophical methodology. It means that the philosophical methodology delves into the logical side of writing. So that the new approaching and demanding of writing change will be the 'argumentative writing'. The precedent condition for the argumentative writing is based on the training of logical thinking. Importantly speaking the practical scheme for the logically thinking train is first of all the learning program of different step. Therefore through this kind of learning program of different step for the reading and writing it is satisfactory only to have rational communication for the time claim.

      • 융합교육을 통한 기초교양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홍병선(Byung-Sun Hong)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1 교양논총 Vol.- No.4

        본 연구는 대학 교육경쟁력 확보라는 시대인식을 바탕으로 그 방향이 설정되었고, 이를 통해 '대학 교육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려는데 있다. 이를 위한 실천 가능한 대안으로 학제 간 융합교육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기존 교육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허와 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롭게 요구되는 교육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문제의 출발은 "기업을 포함한 사회에서 대학에 대해 무엇을 기대하고, 무엇을 요구하는가?"라는 물음에 대해 대학에서 그 답변을 해야만 한다는 당위성에서 출발한다.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효용가치를 만들어 내는 핵심은 지식자체에 있다기보다는 지식 창출능력 혹은 지식에의 적응 능력이다. 그래서 새로운 지식의 창출 및 적응 능력이 곧 기업 및 국가 경쟁력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한다면, 전통적 의미의 전문적 지식이라기보다는 통합(통섭)적 지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문지식과 함께 관련된 분야의 지식, 나아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까지 확보하고 있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지식이 창출되는 과정은 당면한 문제에 대해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며, 새로운 지식에 적응한다는 말은 당면한 문제 상황을 이해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갖추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 경쟁력은 문제 자체를 명료히 분석하고 정의하는 능력, 문제해결의 아이디어를 조직하는 능력, 이 아이디어를 타인에게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해당 집단에서 합의를 얻어내는 능력에 달려 있다. 대학에 대한 기업 및 사회의 요구는 바로 이러한 능력을 갖춘 인재를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갖추라는 것이다. 그러한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할 수 있기 위한 실천 가능한 대안으로 그 하나로 융합교과목 개발을 통한 융합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융합교과목 개발과 융합전공 개설을 통한 융합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사물의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섭능력(consilience)을 배양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삶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해준다. 융합교육은 매우 급속하게 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전통적 학문영역에 기초한 지식과 사유로는 창의적 사유와 문제해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통섭적 사유를 통해 사물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first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social demand to the elastic confrontation of college. What do we expect and demand for the college including enterprises? The enterprises ask to the college program reflecting on the competitive power of business to complete at the moment. Contemporary is, we can say, as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In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its effective value is for the ability of knowledge adaptation or knowledge creation not for the knowledge itself. Because the creation of new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adaptation is to decid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nation and enterprise. In the knowledge-convergence society the process of producing new knowledge is the course of indicating and practicing the new solution for the present tasks we are facing. What we are adapting to a new knowledge is to understand the problem situation which we confront and to cultivate the a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In this thesis, as we can see, one of the practical alternatives for cultivating the talented men in the college that are equipped the a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will be given a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a convergence subject development. As a result the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to cultivate a consilience ability that will be able to understand holistic things or a state of aff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