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에서의 인공지능연구_주제범위 문헌고찰

        홍민주,신혜원,피정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본 연구는 국내 간호학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에 관한 인식 및 활용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인공지능 관련 후속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된 주제범위 문헌고찰 연구이다. Arskey와 O'Malley의 방법론적 기틀을 사용하였으며,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연구를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20편으로, 간호분야에서 인공지능 관련 연구는 2020년 이후에 증가하였으며,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서술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인공지능 연구의 관련변수는 간호임상분야와 관련된 변수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의 주제는 인공지능 인식 및 활용준비도, 간호적응, 인공지능 관련 간호윤리로 축약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인공지능 연구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국내 간호 임상 및 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scoping review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 on the awareness and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nursing field in South Korea.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f Arskey and O'Malley was used, and studies published from 2010 to 2023 were analyzed. A total of 20 studies were used in the final review, and most of the descriptive studies were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The most relevant variabl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were related to clinical nursing, and the literature topics were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tion and readiness for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nursing adapt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nursing ethic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nursing field in Korea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This study propose follow-up research to develop the capacity to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in Korea's nursing clinical and educational sectors and to support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일개 지역 남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홍민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212 male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C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 version 27.0. Results Influences of academic stres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 variable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subjects were interpersonal competence (β=.614, p<.001), grade level (β=.170, p=.001), smartphone dependence (β=-.160, p=.002),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2.3% (F=78.129, p<.001). Conclusions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one of the biggest influential factor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evelopmental stages must be carried out in parallel.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plan that can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overindependence on smartphones in consideration of the subject's personal environment.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지역 남자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C시에 소재하는 일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역량,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test,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학년, 핸드폰 사용시간, 성적이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증진행위는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대인관계역량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역량(β=.614, p<.001), 학년(β=.170, p=.001), 스마트폰 과의존(β=-.160, p=.002) 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52.3%이었다(F=78.129, p<.001). 결론 고등학생의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한 대인관계역량의 발달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대상자의 개인적 환경을 고려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의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는 교육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톤차임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민주,순진이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톤차임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가요, 영화음악 주제곡, 클래식 연주곡 등 청소년에게 친숙한 음악을 바탕으로 선율 연주 및 화음연주, 2성부와 3성부 앙상블 연주를 포함하여 톤차임을 활용한 음악치료 활동을 구성하였다. 서울시 M 외국인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0명(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n- Whitney U 검정, 순위 공변량분석, Wilcoxon 대응표본 부호순위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톤차임을 활용한 음악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청소년들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톤차임을 활용한 음악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청소년들은 대인관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 연구는 톤차임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밝힘으로써, 음악치료가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ㆍ정서적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임을 입증하는 동시에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실용적인 치료 접근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usic therapy using tone chime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Music therapy session using tone chimes, which includes playing melody, harmony, 2 parts, and 3 parts ensemble, was organized and operated based on using music that is familiar to adolescents from pop music to Original Sound Track and classic mus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M foreign school in Seoul. Of 20 participants, 10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were assigned into a control group. The SPSS 20.0 program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of the results of following tests: Mann-Whitney U, Ranked ANCOVA, an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below. First, adolescents i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y with tone chim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Second, adolescents i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y with tone chim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 By showing the positive result of the music therapy with tone chimes i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is study affirms the music therapy with tone chimes not only as an effective way to support intercultural adolescents both socially and emotionally, but also as a practical therapeutic method which can be applicable to a school setting.

      • KCI등재후보

        기사형광고(Advertorial)가 소비자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화장품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홍민주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최근에 광고흐름을 살펴보면, 광고의 다양한 유형중에서 기사형광고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잡지내 기사형광고는 자세한 정보제공과 시각적인 비주얼을 통해 독자들의 주목을 이끌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사형광고에서 시각적인 요소가 소비자 관여도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즉, 시각적 구성 비율이 다른 기사형광고를 감성적 소구(시각성)와 이성적 소구(정보성)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유형에 따라서는 사용자후기, 유명인모델, 전문가 추천으로 분류하였고 이들 중 어떤 광고를 독자들이 가장 선호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온라인 설문조사와 면접조사(FGI)가 행하여 졌다. 연구 분석의 결과, 잡지 매체에서 화장품 기사형광고는 유형에 따라 관여도가 다르며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형식이 독자들에게 관여도를 높이고 주목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소비자들의 실제 사용 경험담을 증언하는 사용 후기 기사형광고가 높은 관여도를 보였다. 즉, 텍스트와 이미지가 결합될 때 보다 독특하고 창의적인 광고형식은 주목도를 높이고 독자들로부터 광고효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기사형광고 전략은 시각적 요소를 높이는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함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기사형광고의 유형을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더 향상된 화장품 기사형광고의 접근을 시도하는데 의의가 있다. Looking at the recent flow of advertising, there are the trends in which advertorial is increasing rapidly among various types of advertising. In particular, advertorial in magazines increases the attention of readers through detailed information and visual beau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visual factors in advertorial on consumer involvement. In other words, advertorials with different ratio of visual composition were analyzed with emotional appeal (visual) and rational appeal (informative) and classified into user's reviews, celebrity models and recommendation by experts depending on the type. I analyzed which one was the most favorite advertising of readers among them.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and FGI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showed that cosmetics advertorial had different involvement depending on types. A variety of types to convey the information visually to readers increased the involvement of readers and led to increasing attention. In particular, advertorial with consumers' reviews which demonstrate consumers' actual experience showed high involvement. In other words, more unique and creative advertising format increases attention and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effect of advertising rather than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Thus, it is revealed that an effective strategy for advertorial is to increase the visual el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try to approach more advanced cosmetics advertorial by analyzing types of advertorial visually.

      • KCI등재

        암환자 가족원의 우울에 대한 영향요인

        홍민주,김영숙,방부경,김익지 보건의료산업학회 2019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3 No.3

        Objectives: With the rapidly increasing incidence of cancer worldwide, it has become important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to both provide care for cancer patients and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by family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among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to propose programs for family caregivers as well as cancer pati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219 caregivers who were informed of the study purpose and agreed to participat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5.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depression among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was 1.57±.40 (range: 0–3).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ag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education, occupation, cancer recurrence, care days per week, financial burden, site of cancer, and health status.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model 1 showed 16% of the factors predicting depression among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F=6.16, p<.001) including occupation, recurrence, and health status of the caregiver. Model 3, which included additional burnout, showed 37% of the factors predicting depression (F=12.36, p<.001).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pression among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 KCI등재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영향요인

        홍민주,김정민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9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지각된 윤리풍토, 직업존중감, 소진을 확인하고, 이들변수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B시와 G도에 소재한 300병상 이하의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이용하였으며, t-test,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평균연령은 35.63세였으며, 93.2%가 여성이었다. 지각된 윤리풍토(r=0.44, p<.001), 직업존중감(r=0.61, p<.001), 소진(r=-0.36, p<.001)은 조직시민행동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상자의 직업존중감(β=0.61, p<.001), 임상경력(β=-.19, p=.002) 및 학력(β=-1.32, p=.032)은 유의미하게 조직시민행동을 예측하는 변수였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2.0%로 나타났다. 결론 직업존중감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지방중소병원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 향상을 위해 직업존중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nurses' perceived ethical climate, job esteem, and burnout in rural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nd determine whether these variables influ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thods Data from 162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ith 300 beds or less in city B and province G were analyzed. SPSS 25.0 was used to perform t-test, ANOVA,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5.63 years old, and 93.2% were female. Perceived ethical climate (r=0.44, p<.001), job esteem (r=0.65, p<.001), and burnout (r=-0.36, p<.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participants’ job esteem (β=0.61, p<.001), clinical experience (β=-.20, p=.002), and education level (β=-1.32, p<.032)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2.0%. Conclusion Job esteem is a crucial variable that influen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reveals the necessity of various measures that enhance job esteem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nurses in rural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KCI등재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공감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홍민주,김윤화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1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공감능력 및 소진의 정도를 확인하고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B시에 소재한 암 전문병원인 D병원과 S병원의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23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평점 5점 만점에 3.64±.51, 공감능력 정도는 3.22±.30, 소진은 3.23±.67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성별(t=-3.159, p=.002), 결혼상태(t=2.143, p=.033), 연령(F=9,175, p<.001), 근무경력(F=8.285, p<.001), 근무부서(F=3.792, p=.001), 근무형태(F=8.166, p<.001), 직위(F=7.766,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r=.513, p<.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관심은 소진과 음의 상관관계를(r=-.285, p<.001), 개인적 고통은 소진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409, p<.001).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 스트레스(β=.458, p<.001), 공감능력의 하위영역인 개인적 고통(β=.268, p<.001)과 공감적 관심(β=-.248, p<.001), 연령(β=-.217, p<.001), 성별(β=.126, p<.001)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진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총 49.7%였다. 그러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들 변수를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하고 임상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empathy and burnout and to describ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experience, burnout in nurses who take care of cancer patients. A total of 236 nurses enrolled in this stud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e collected data from S and D cancer hospital located in B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20.0 program. The score of job stress was 3.64±.51, empathy was 3.22±.30 and burnout was 3.23±.6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urnout according to gender (t=-3.159, p=.002), marital status (t=2.143, p=.033), age group (F=9,175, p<.001), clinical experience (F=8.285, p<.001), work area (F=3.792, p=.001), type of duty (F=8.166, p<.001) and position (F=7.766, p<.001). The factors affecting burnout were job stress (β=.458, p<.001), personal distress (β=.268, p<.001), empathic concern (β=-.248, p<.001), age (β=-.217, p<.001) and gender (β=.126, p<.001). They were accounted 49.7% in burnout. These results indicate a ne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 promoting empath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