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등학교 화학 Ⅰ교과서의 STS 교육 내용 및 구성 방식 개선 방안

        홍미영,Hong, Mi Young 대한화학회 2001 대한화학회지 Vol.45 No.5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되어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중인 화학 I교과서에서 과학-기술-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이하 STS) 내용 및 활동 유형, 제시 방식 등을 검토하고, 이 결과을 외국의 대표적인 고등학생용 STS 자료를 분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장차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될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에서 적절한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 중 임의로 5종을 선택하여 STS내용, STS 교수 학습 활동 유형, STS 내용 제시 양식, STS 내용의 포함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외국의 STS 프로그램 중에서 Chemistry in the Community,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를 선택하여 구성 방식의 특징,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 주제 및 우리 나라 화학 I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학습 내용적인 살펴보면, 제 6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화학 I교과서에서는 주로 '사회적 문제','과학의 응용성', '과학의 다차원성'만 다루고 있고, '과학에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문제에 대한 협동 작업'과 관련된 내용은 전혀 없으므로 다양한 측면의 STS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다고 볼 수 있었다. 반면, 외국 교재에서는 과학${\cdot}$기술과 관련된 직업을 소개하는 난이 독립적으로 되어 있거나 실제로 의사 결정을 해야 하는 내용 등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활동 유형을 살펴보면, 지역에 대한 사례 조사, 역할 놀이, 다양한 의사 결정 활동 등 다양한 학생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외국 STS 교재에 비하여 우리나라 화학 I교과서는 설명 위주였으며, 조사와 토론 활동이 대부분이므로, 학생 활동이 상당히 빈약하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비하여 STS 내용 포함 비율은 높아졌으며, 책마다 STS에 대하여 따로 소개하고 있어서 우리 나라의 화학 교과서가 STS적인 성격을 띠려고 시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우리 나라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화학 I교과서에서의 STS 내용 및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r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published by the 6th curriculum and some foreign STS programs such as Chemistry in the Community,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 Chemistry: The Salter's Approach by analyzing STS contents, students' activity, overall structure of the books and space devoted to STS, and to provide improvement schemes for developing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to be developed by the 7th curriculum in future. It was found that STS topic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were related only to 'social problems and issues', 'applications of science', 'multiple dimensions of science', and STS contents were presented mostly by narration. Students' activities were limited to discussion and survey, and none of the topics were related to 'career awareness', and 'cooperative work on real problems' in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On the contrary, a variety of STS topics and activities such as case study related to local and community, practicing decision-making strategies, role play, practical work career awareness were included in foreign STS programs.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S contents and structure of present high school chemistry I textbooks were proposed in this paper.

      • KCI등재

        대학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인식

        홍미영,강남화,김주아,Hong, Mi-Young,Kang, Nam-Hwa,Kim, Joo-Ah 대한화학회 2011 대한화학회지 Vol.55 No.5

        이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고등학교 과학교육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은 전공별로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주는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학과의 경우에는 수학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 화학과와 생물학과의 경우에는 영어 능력과 기초 과학 지식이 대학에서 공부하는 데 큰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학생과 과학 교사 두 집단 모두 기초 과학 지식과 수학 능력이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크게 영향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과학 학습을 위한 과학교육 개선 방안으로, 대학생들은 탐구 기회 확대, 과학교사들은 선택과목의 필수 이수 확대라고 각각 응답하여 두 집단 간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examined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college student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Using a survey creat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college science majors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rated various factors of high school learning that positively influenced college science learning.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erceptions differed by college major: the physics major students considered math proficiency and logical thinking skills as the important factors; chemistry major students and biology major students considered English proficiency and basic scientific knowledg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Both college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emphasized basic science knowledge and math proficiency.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so found in that the students perceived more need to learn about experimentation than the teachers whereas the teachers had a priority in increasing advanced science content.

      • KCI등재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물질 개념에 대한 고찰

        홍미영,전경문,Hong, Mi-Young,Jeon, Kyung-Moon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7차 과학과 교육과정(화학 영역)에서 물질의 의미, 입자 개념, 물질의 상태등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에서 ‘물질'이라는 용어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material, matter, substance 등 서로 다른 의미로 혼용하고 있어 학생들이 순물질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물질의 입자성에 대해서는 9학년에서 원자 개념, 10학년에서 이온 개념을 도입하기 이전에, 7학년에서 물질의 기본 단위로 분자 개념을 도입한다. 학생들이 물질의 구조에 대해 통합적으로 일관성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입자 개념의 제시 순서를 재고할 필요가 있다. 상태 변화에서는 물질 보존이나 가역성 등 주요 개념들을 교육 과정에서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다양한 입자적 관점에서의 설명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물질 개념은 화학에서 기본이 되므로, 이를 명확히 가르칠 것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chemistry domain) regarding the meanings of ‘mulgil' (Korean),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d the state of matter. It was found that the term of ‘mulgil' was being used vaguely as representing material, matter, or substance without clear definition. This was problematic by reason that it could hinder students from having the concept of substance. Regarding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molecule was introduced as a basic unit of matter at grade 7, prior to atom and ion, which were introduced at grade 9 and 10, respectivel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sequence of each particle concept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consistent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matter. In the case of change of state, key concepts such as conservation of matter or reversibility were omit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and explanations based on various aspects of particles were somewhat insufficient. The concept of matter is fundamental to chemistry, and we must recognize it as a concept that needs to be taught clearly. Implications for curriculum revis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공통과학 중 화학 영역의 문항 및 응시자 응답 분석

        홍미영(Mi Young Hong),전경문(Kyung Moon Jeon),이양락(Yang Rak Lee),이범홍(Bum Hong Yi)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2

        In this study, the students` responses on the chemistry items of in the general science of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CSAT) implemented for the past 3 years since 1999 were investigated. The number of items by content and inquiry process, the average percent correct by content and inquiry process, the distribution of items by the level of percent correct, and the items with high and/or low percent correct were analysed. There were the fewest items in `environment` area, especially in `ozon layer`, no test item had been made. The most difficult content area was `acid rain` in environment. By inquiry process, the most number of items belonged to `analyzing & interpreting data` , and `identifying problems & formulating hypothesis` was the most difficult process. No test item came under the level of `very difficult`, and many items under the `easy` or `very easy` level. Students were generally poor at solving test items demanding several concepts, and very good at simply requiring basic concept treated in lower grade.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광염색체이상시험의 광발암성 예측능력에 대한 평가

        홍미영(Mi-Young Hong),김지영(Ji-Young Kim),이영미(Young Mi Lee),이미가엘(Michael Lee) 한국독성학회 2005 Toxicological Research Vol.21 No.2

        Photo-mutagenic compounds have been known to alter skin cancer rates by acting as initiators or by affecting subsequent steps in carcinogenesi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photo-chromosomal aberration (photo-CA) assay for detecting photo-clastogens, and to evaluate its ability to predict rodent photocarcinogenicity. Photo-CA assay was performed with five test substances that demonstrated positive results in photo-carcinogenicity tests: 8-Methoxypsoralen (photoactive substance that forms DNA adducts in the presence of ultraviolet A irradiation), chlorpromazine (an aliphatic phenothiazine an alpha-adrenergic blocking agent), lomefloxacin (an antibiotic in a class of drugs called fluoroquinolones), anthracene (a tricyclic aromatic hydrocarbon a basic substance for production of anthraquinone, dyes, pigments, insecticides, wood preservatives and coating materials) and Retinoic acid (a retinoid compound closely related to vitamin A). For the best discrimination between the test substance-mediated genotoxicity and the undesirable genotoxicity caused by direct DNA absorption, a UV dose-response of the cells in the absence of the test substances was firstly analyzed. All 5 test substances showed a positive outcome in photo-CA assay, indicating that the photo-CA test is very sensitive to the photo-genotoxic effect of UV irradiation. With this limited data-set,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dictive value of this photo-CA test for determining the photo-carcinogenicity showed that photo-CA assay has the high ability of a test to predict carcinogenicity. Therefore, the photo-CA test using mammalian cells seems to be a sensitive method to evaluate the photo-carcinogenic potential of new compound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 2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홍미영(Mi Young Hong),정경문(Kyung Moon Jeon),이범홍(Bum Hong Yi),이양락(Yang Rak Lee)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1

        In this study, the students` responses on the items of chemistry Ⅱ in the College Scholastics Ability Test (CAST) implemented for the past 3 years since 1999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applicants and mean score of chemistry Ⅱ, average percent correct by contents and inquiry process, and the items with high and/or low percent correct are analysed and discussed. The percentage of applicants for natural science track is reduced each year. However, more than 25% of natural science track applied to chemistry Ⅱ, which ranked second to biology Ⅱ. The mean score of chemistry Ⅱ was increased in 2001 along with those of other subjects. There is no difference in average percent correct either by contents or inquiry process. Students performed generally poor at solving test items relating to `colligative properties of solution` such as `boiling point elevation` or `osmotic pressure`, and very well at solving test items relating to `reaction rate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양식,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홍미영(Mi-Young Hong),강구용(Gu-Yong Kang),한지수(Jee-Su Han),김은영(Eun-Young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1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활양식 과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가자는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46명이었다. 참가자들은 생활양식을 묻는 질문지와 일주기 유형 척도를 작성하였다. 스트레스 척도를 평가하기 위해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4문항을 사용하였고,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판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참가자의 수면의 질은 한국어판 Leeds 수면 평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면의 질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T검정, 피어슨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은 건강상태, 일주기 유형,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주거형태에 따른 수면의 질을 분석한 결과, 자가 및 기숙사 거주 집단이 자취 거주 집단보다 높은 수면의 질을 나타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주기 유형이 수면의 질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수면의 질 향상 중재를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for lifestyl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n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46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Participants responded to responses to the lifestyle questionnaire and Morning and Evening Questionnaire-Korean version(MEQ-K). The levels of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reported by participants were obtain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Perceive Stress Test-4(K-PSS-4) and Korean version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K-SWLS). The quality of sleep was assessed using Korean Modified Leeds Evaluation Questionnaire(KMLSEQ). An independent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sleep.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health status, morning type of chronotype,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of sleep according to the chronotype, the main family house and dormitory group showed higher sleep quality than the boarding group.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hronotype predicts quality of sleep. This study could provide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for university students by identify factors affecting sleep for university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서울시 생활권별 공공시설의 공급 불균형 분석

        홍미영(Hong, Mi Young),이제원(Lee, Jea Won),김학진(Kim, Hak Ji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7 No.3

        본 연구는 서울시 역세권 내 공급된 도시공공시설 중 어린이집, 도서관, 공공체육시설이 어떠한 불균형적 공급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 그에 따른 공급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역세권을 생활권 5대권역 · 토지이용(주거 · 비주거중심) · 범위(1 · 2 차 역세권)로 구분하여 서울시 역세권내 도시공공시설 공급특성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른 유형별 공급방안 및 공급량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도심권은 대체적으로 모든 역세권 유형에서 공공시설 공급 현황이 양호하였고 동북권은 1차 역세권을 중심으로 공공시설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남권은 대체적으로 모든 역세권 유형에서 공공시설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남권은 비주거 중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서북권은 주거중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공공시설 공급부족현상을 보였다. 각 권역별로 상이한 공급 실태를 보임을 감안할 때, 권역별 차별화된 공급방안을 통하여 역세권 개발과 연계한 필요 공급량 확보전략이 공공서비스 지원 및 대중교통 중심의 공간이용을 도모하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sproportionat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facilities supply such as daycare center, library, public sports complex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of the facility capac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 categorized Seoul Metropolitan Area in accordance with 5 geological communities, 2 zones as residential / non-residential and 1st/2nd degree of distance from subway s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upply of the public facilities in the downtown area were generally good in all types of public facility and Dong-buk (North-East) community showed some lack of public facilities around the primary station area. Dong-nam (South-East) community was lacking in all types of public facility. Seo-nam (South-West) area was showing some shortage of public facilities around the major station area in residential area and Seo-buk (North-West) community was lacking in public facilities around the major station in the business area. Considering the different situation in supplying of public facilities in each community, it is recommended to secure the specific supply strategy of public facilities per community, associated to the development of urban transit centers to enhance the public service and make TOD spa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