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 프로그램의 참여적 성과모형 구축연구: 유네스코 브릿지 프로그램의 변화이론 적용의 사례를 중심으로

        홍문숙,이태주,남종민,박준영,정다정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9 地域發展硏究 Vol.28 No.1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다국가・다지역・다주제 개발협력프로그램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브릿지 아프리카 프로그램의 참여적 성과모형 구축사례를 중심으로 참여자 간의 학습의 과정을 담보할 수 있는 변화이론의 적용이 지역사회기반 국제교육프로그램의 기획 및 평가에 주는 함의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책무성 측면(Accountability Dimension)과 학습의 측면(Learning Dimension)에서 아래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초국가・국가・지역 차원의 성과 나레티브를 주제별, 활동 유형별, 프로그램 층위별, 프로그램・프로젝트의 대상별로 구조화하여 프로그램 다면적 성과가 체계화 및 가시화되었다. 둘째, 변화이론의 적용은 장기적 목표를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 및 전달방법을 다층위적인 구조로 표현할 수 있게하고, 변화의 목표와 방향성을 열린 구조로 점검할 수 있게 하였다. 참여적으로 수립된 성과프레임워크는 향후 2030년까지 진행되어야 할 프로그램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프로그램 전략과 수행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셋째, 이해관계자들 사업수행의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구체화하였으며, 모니터링과 평가에 대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는 학습의 계기가 제공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성과와 목표를 강조하는 책무성과 과정을 강조하는 이해관계자들의 학습을 강조하는 입장 사이에 긴장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사업 전략의 체계화 단계에서 책무성과 학습의 조화(reconcilable dilemma)를 이룰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성과모형이 지역사회 교육 현장에서 적용될 때, 프로젝트의 ‘성공’이 아닌 ‘성과’ 중심으로 이해되고, 성과 보고에 용이한 활동만 강조되는 방식으로 적용될 경우, 사업의 결과적인 측면에서 책무성과 학습의 가치교환(a trade-off) 관계의 딜레마가 존재할 것이라는 과제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전환주의 평가이론의 탐색: 임파워먼트 평가 개념 및 방법론을 중심으로

        홍문숙,박채원,변수진 국제개발협력학회 2019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1 No.1

        Purpose: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theoretical and conceptual dynamics between positivist, constructivist, and transformative evaluation discourses in international and national social development, together with the implications for Korean international educational development. Originality: The paper begins by exploring the axiological nature of transformative evaluation and discusses the conceptual and practical issues of empowerment evaluation approach from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Methodology: By focusing on theoretical analysis, it examines the “ol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ve evaluation, based on Fetterman and other scholars, and the “new” potentials and limitations of transformative evaluations and implications developed by his colleagues in reforming Korea’s international development evaluation. Result: As results of the study, the author argues that empowerment evaluation opens up the potential for Korean evaluation theorists and practitioners to re-examine the ontological meaning of power dynamics between the evaluators and stockholders — eventually the so-called “beneficiaries” of development programs and projects. Further, it argues that hyper-technocratization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development will create the evaluation culture that leads to deliberate avoidance or only partial interest in the power relations for social changes. Conclusion and Implication: In conclusion, the academic discussion on transformative evaluation as a concept and empowerment evaluation as a practical approach provides new understandings to the meaning of evaluation for transformative agenda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Korea. Amidst a rapidly changing policy landscape with more emphasis on peace, rights, democracy, and gender, theoretical and conceptual discussions on evaluations can inspire and influence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social meanings and impacts of Korean development and beyond.

      • KCI등재

        전환기 미얀마 개혁개방 10년의 도전과 위기: 국가발전정책-지식-권력의 국내외 역동을 중심으로

        홍문숙,김인애 한국동남아학회 2022 동남아시아연구 Vol.32 No.2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the dynamics between policy, knowledge, and power of Myanmar’s development and peace agenda since 2011. The paper begins by exploring the dynamics of the Thein Sein government’s Transitional Period(2010~2015), the beginning of the Aung San Suu Kyi government’s Civilian Period(2015~2020). and the Re-control of Military Regime Period(2021-now). By providing recent data regarding the dramatic international-national development power-policy changes, the article highlights that Myanmar become one of the five major donor countries after Cambodia and Lao PDR by 2018. In the course of expanding international engagement between 2011 and 2017, Myanmar’s policy discourse on the subject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y both military regime led-USDP and civilian-led NLD governments in its new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policy discourse resulted i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donors working groups as policy knowledge intermediaries. However, unlike the NLD’s expectations for further expand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engagement for boosting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the major western donors made withdrawals or partial pending on loan and grant assistance due to the Aung San Suu Kyi and NLD government human rights abuse of Rohingya peoples. This challenging situation sparked a critical turn in Aung San Suu Kyi’s international engagement to “look East”, thus resulting in an impact on the increas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non-DAC members and reducing influences of ‘hard-liners’ that have emphasized normative perspectives on peace and human rights agenda in development policy.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고등교육의 담론과 실천: 국제개발협력 아카데미협력 프로그램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홍문숙,박채원,김성규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9 시민사회와 NGO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ceptual and policy context of higher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Korea’s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policy and academic related literatures and international and national discussions on the roles of higher education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KOICA’s flagship academic cooperation program, which is carried out under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projects in Korea. The case study examined the program itself and 52 implemented proejcts, while using mixed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questionnaire survey and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takeholder from experts, aid agencies and project executing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finds that the case of the program consistently considered linkages with the international initiatives such as MDGs and SDGs, and has contributed to knowledge achievement of participants in term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However, there ar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Korea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erms of institutional,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stainability as well as a lack of strategic discussions on social responsibilities of the HEIs. In conclusion,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th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leadership awareness of global social responsibilities of higher education as well as expanding discussions in regards to relevant policy discus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개발에서 고등교육의 역사적, 개념적, 정책적 맥락을 점검하고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민관협력으로서 우리나라 국제개발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함의를 살펴보는 데 있다. 국제개발 고등교육 프로그램은 교육 및 연구 인프라, 정책컨설팅, 장학금 제공 및 연수 등의 형태로 우리나라 국제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관련 연구가 부재하며, 관련 프로그램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학술 및 정책 담론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의 맥락에서 국제개발에서의 고등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고찰하고 SDGs 목표와의 연계 속에서 우리나라 고등교육 국제개발의 방향을 모색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술 및 정책 관련 문헌 분석을 수행했으며, 아울러 국제개발에서 고등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국제적, 국내적 논의를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공적개발원조 사업 중 민관협력사업의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 아카데미협력 프로그램을 사례연구로 선정하여 문헌분석, 참여기관 설문조사, 전문가 및 원조 기관 면담 조사, 프로그램 참여기관 면담 조사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례 프로그램은 전 지구적 개발목표인 새천년개발목표(MDGs) 및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계가 꾸준히 고려되었으며, 프로그램 참여자의 국제개발관련 지식강화와 같은 성과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공여기관 고등교육 프로그램이 제도적, 재정적, 행정적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가지는 한계 및 해외사업을 민관협력으로 구현하는 과정에서 국내 대학 및 연구소의 현실적·구조적 한계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향후 우리나라 고등교육 협력사업의 근간은 불평등을 해소하고 인류의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지속가능발전의 차원에서 ‘고등교육의 전 지구적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기관차원의 인식강화’가 동반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단발적이며 한시적으로 진행되는 고등교육 국제개발협력 프로그램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에 대한 본격적인 학술적·정책적 논의와 함께 파트너들의 협력과 실천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변화이론의 개념과 개발협력 적용에 대한 비판적 소고

        홍문숙 국제개발협력학회 202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4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외 개발협력 다자⋅양자 공여기관, 시민 사회, 국제 재단 등이 있는 활발히 적용하고 있는 변화이론(ToC, Theory of Change)의 개념과 적용의 장단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우리나라 개발협 력 전략 및 실천에서의 인식론적, 개념적,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최근 국내 개발협력 실행기관 및 평가 실무자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변화이론에 대한 실무적 관심을 넘어, 본 접근법의 개념 과 도전과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영미권에서 발전된 개발협력전략및프로그램구축및평가의도구가우리나라국내외사업에 무비판적으로 적용되지 않도록 제도화 초기에 면밀한 학술적, 개념적, 방법론 적 검토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본 논문은 먼저 사회과학 평가 패러다임의 흐름속에서 실증주의, 해석-전환주의 평가와 비교되는 방법인 변화이론의 사회구성주의적(social constructivist) 위치를 점검한다. 12개월간 수집된 문헌 및 변화이론 워크숍에서 표출된 개념적 혼란과 과제를 (i) 프로그램 이론(program theory), (ii) 방법론 (methods), (i) 개발협력 성과연구 및 평가에 대한 비전과 가치에 대한 인식론 (epistemology)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첫째, 프로그램 이론 측면에서는 프로그램에서 의도하는 변화 를 이끌어내는 방법(how)를 논의하는데 시간(when), 맥락(context), 가정(assumption) 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체화할 수 있는 가교로서 개발협력에 적용되었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국별 정책, 클러스터 및 분야별 변화모델 구축 단계에서의 유의미한 적용이 가능한 점,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되어지는 실체에 대한 객관성 및 체계성 담보의 과제, 전문가적 검증이 부재할 때 발생하는 모델 및 논리 검증의 한계, 퍼실리테이터의 역량 및 가치에 따른 변화이론 구성의 질적 차이 등이 발견되었다. 셋째, 인식론적 측면에서 사회변화의 맥락, 경로, 결과를 가시화하여 사회변화와 혁신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가 개발협력 기획과 평가에 필요하다는 가치와 신념에 전제될 때 본 접근법이 실천에서 작동될 수 있다. 결론 및 시사점: 우리나라 개발협력에 변화이론이 체계적으로 적용되기 위해 서는 개념적으로 평가연구 및 전략도구로서의 ‘광의의 변화이론(Big T)’ 및 프로젝트 수준의 기획과 평가를 위한 ‘협의의 변화이론(Small T)’를 구분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장기적으로는 다양한 개념적, 실천적 강점을 가진 변화이론의 접근법이 우리나라 개발협력에 새로운 개발협력의 정책, 전략, 가 이드라인, 방법론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논의 초기에 비판적 토론이 중요하다. 단순히 본 접근법을 새로운 도구로 한정지어 성급히 제도화 할 것이 아니라, 이해관계자들 간의 공동학습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우리나라 개발협력에 적합 한 접근법과 사회변화를 위한 접근법으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Symbolic habitus and new aspirations of higher education elites in transitional Myanmar

        홍문숙,전유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2 No.1

        This paper examines critical aspects of the birth of the new generation of Myanmar’s emerging elite groups and their roles in the society based on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two universities in Yangon. It particularly pays close attention to the critical roles of the two universities – as political, social and knowledge institutions – in the formation of the new elite groups in Myanmar. The interplay between the students’ individual agency and the two elite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mplies three sets of processes: the societal context in a transitional democratic country, the institutional habitus of higher education, and the young elites’ agency. Findings from observations, interviews, and field research indicate that students attending the two universities exhibit a common sense of pride in being members of academically and historically prestigious institutions. At the same time, students in each university developed distinctive understandings of their roles as elites in the transitional society of Myanmar, reflecting the disciplinary difference of each institution. More importantly, this study found that the symbolic habitus of the two universities provided the new elites with a strong desire to contribute to the nation’s development, although their actual practice and outcome remains uncertain. This study thus urges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role of higher education, beyond merely instilling symbolic prestige, to nurture the emerging elites to thriv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 KCI등재

        ‘Forgotten’ democracy, student activism, and higher education in Myanmar: past, present, and future

        홍문숙,Hani Kim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20 No.2

        This paper is a historical examination of higher education in contemporary Myanmar,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tudents, the most important and visible actor in higher education. Refecting upon dramatic socio-political transitions from the fve decades of military rule to partly constitutional democracy that led to major reform and liberation in education, this paper traces the development and destruction of generations of student activists in maj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ince 1962, as well as the emergence of a new generation of youth who are deeply disconnected with their history since 2010. By examining major literature combined with direct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in Myanmar, the authors argue that celebrating heroic student activists is perhaps essential in order to mobilize the public to remember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democratization in Myanmar, but it is, at the same time, dangerous to only emphasize the stories of ‘student heroes and martyrs’ without deeply questioning the vulnerabilities of education philosophy, policy, and the very meaning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gainst regime changes. By examining the exogenous relations with democracy in the wider society of Myanmar, it argues that the future of democracy can only be nurtured, debated, and learned when the endogenous relations to democracy of Myanmar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ithin are val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