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rst Report of the Exotic Fig Weevil, Aclees taiwanensis Kôno (Coleoptera: Curculionidae) in Korea

        홍기정,박덕기,이소미,Hong, Ki-Jeong,Park, Deog Kee,Lee, So-Mi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4

        2020년 7월 하순에 전남 해남의 무화과 농장에서 Aclees속에 속하는 바구미가 발견되었다. 이 바구미는 무화과곰보바구미(신칭), Aclees taiwanensis Kôno, 1933로 동정되었다. 아마도 아열대 및 열대 아시아가 원산인 이 외래종 바구미는 이탈리아와 프랑스에도 침입되어 무화과나무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이 논문이 한국에서 보고되는 Aclees속 바구미에 대한 첫 보고이다. During late July 2020, a species of weevil in the genus Aclees (Curculionidae, Molytinae) was found on several fig farms in the Haenam-gun district of Jeonnam Province, Korea. The weevil was subsequently identified as Aclees taiwanensis Kôno, 1933 (Coleoptera: Curculionidae), an exotic species, probably of subtropical and tropical Asian origin, that has also been introduced to Italy and France, where it is associated with severe damage to fig tree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Aclees weevil in Korea.

      • KCI등재

        한국 미기록속 Palorus Mulsant (딱정벌레목: 거저리과)의 보고

        홍기정,김무성,Hong, Ki-Jeong,Kim, Moosung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3

        한국산 거저리과의 미기록인 Palorus Mulsant에 속하는 2종인 넓은이마쌀도둑거저리(신청)(Palorus ratzeburgii (Wissman, 1848))와 좁은 이마쌀도둑거저리(신칭)(P. subdepressus (Wollaston, 1864))를 보고한다. 이들 2종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저장곡물해충으로 중요하지만, 국내 정미소에서는 아주 낮은 밀도로 발생하고 있다. 이들 미기록종에 대한 성충 사진, 진단형질, 저장곡물의 검역해충인 본 속의 6종에 대한 검색표를 제공하였다. Two species of the genus Palorus Mulsant of Palorini (Tenebrionida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P. ratzeburgii (Wissman, 1848) and P. subdepressus (Wollaston, 1864). These species are economically importance as stored product insect pests in the tropical and subtropical countries, and occur in low densities in the rice mills of southern Korea. Adult morphology, taxonomic diagnosis,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se species, and a taxonomic key to the 6 species related to plant quarantine inspections in Korea are provided.

      • 곤충 종 목록집 발간 현황(딱정벌레목)

        홍기정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자국 생물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생물자원의 효율적인 연구와 관리를 위해서 국립생물자원관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국가 생물종 목록집 발간 사업을 추진하였다. 곤충 분야에 있어서 종의 기록만 나열한 방식의 기존 목록집은 한국 분포종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가 미비하여 분류군별로 최근 보고된 종의 추가 및 국내 분포가 잘못된 종의 삭제, 변경된 종명의 정리, 분류학적 위치의 재배열을 통한 국내 분포종에 대한 올바른 분류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일환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에 대해서는 2013년에 박 등에 의해 딱정벌레상과(Caraboidea) 및 반날개상과(Staphylinoidea)를 중심으로 한 1,672종을 정리하여 “국가 생물종 목록집 「곤충」 (딱정벌레목 I)”을 발간하였고, 2014년에는 홍과 이에 의해 I권에서 정리한 것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 2,560종을 정리하여 “국가 생물종 목록집 「곤충」 (딱정벌레목 II)”을 발간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딱정벌레목은 2010년에 백 등에 의해 발간된 한국곤충총목록에 수록된 3,659종에서 573종이 더해진 103과 4,232종으로 정리하게 되었다.

      • KCI등재

        A New Record of the Family Brachyceridae (Coleoptera: Curculionoidea) and a New Species, Desmidophorus hebes (Fabricius), in Korea

        홍기정,박상욱,김태우,Hong, Ki-Jeong,Park, Sang-Wook,Kim, Tae-Wo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3

        한국산 미기록과인 턱바구미과(Brachyceridae)(신칭)에 속한 Desmodophorus hebes (Fabricius) (무궁화턱바구미)(신칭)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종에 대한 재기재문, 성충사진, 진단형질 그림, 동아시아지역에 분포하는 Desmidophorus (턱바구미속)의 종 검색키와 한국산 바구미상과(Curculionoidea)의 과(family) 검색키를 제공하였다. The family Brachyceridae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is represented by Desmodophorus hebes (Fabricius, 1781). A revised description, morphological photographs of adults, illustrations of genitalia, a key to the families of Korean Curculionoidea, and a key to the East Asian species of Desmidophorus are provided.

      • KCI등재

        천운영 소설의 야생 이미지와 ‘견딤’의 인간학

        홍기정 문학과환경학회 2021 문학과 환경 Vol.20 No.1

        In Cheon un-yeong’s Short stories, there are often characters who assault someone without losing their reason. And on the other side of them, there are characters who are ruthlessly attacked and endured. They do not resist or cry, they just crouch and endure with the punching and kicking. They are ‘people who endure violence’ and form an important axis in the character composition of Cheon's Short stories. This paper is a study of these 'people who endure violence'. They are those whose endurance and endurance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he personality. This paper shows how "endurance of violence" appears in Cheon’s Short stories and how it relates to wildness, the main aesthetic of Cheon’s Short stories. It also reveals that “endurance of viol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human understanding and life understanding of Cheon's Short stories. Some conclusions drawn by this paper are as follows. 1) In Cheon’s Short stories, almost everyone including the attacker endures something. Objects of endurance are a kind of 'violence' from reality and destiny. 2) The image of the wild, a prominent attraction of Cheon’s Short stories, is often related to the power of enduring this violence. In particular, appetite and aggression are usually the means to endure pain in reality. 3) Cheon’s Short stories show that enduring suffering is a universal condition for all people, and all of them are ultimately compassionate. But there is a qualitative difference in the way of enduring suffering, and the difference is not simply negligible. 4) There are people in Cheon's Short stories who endure pain only by the power of pure endurance, not by the means of eating and hitting. They do not cry or scream in spite of the harsh beatings of reality and destiny, and they keep themselves undisturbed. This reveals the belief that 'bearing' can be a way of keeping our own original images pure for the inevitable sufferings that are always present in life. 천운영 소설에는 자주 이성을 잃은 채 누군가를 폭행하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리고 그들 맞은편에, 무자비한 공격을 당하면서도 그저 그것을 참고 견디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저항하거나 피하지 않고 그저 웅크린 채, 퍼부어지는 주먹질과 발길질을 몸으로 받아내며 견딘다. 그들은 ‘매질을 견디는 사람들’로서 천운영 소설의 인물 구도에서 중요한 축을 이룬다. 이 논문은 이들 ‘매질을 견디는 사람들’에 대한 연구이다. 그들은 참고 견디고 버텨내는 것이 성격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이 논문은 ‘매질의 견딤’이 천운영 소설에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살피고, 그것이 천운영 소설의 주요 미학인 야생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살펴본다. 또한 ‘매질의 견딤’이 천운영 소설의 인간 이해와 삶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주제의 하나라는 것을 밝히고, 그것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 논문이 도출해 낸 몇 가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천운영 소설에서는 폭력적인 사람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인물들이 무언가를 견디는 사람들이다. 견딤의 대상이 되는 것들은 현실과 운명으로부터 가해지는 일종의 ‘매질’과 같다. 2) 천운영 소설의 두드러진 매력점인 야생의 이미지는 자주 이러한 ‘매질’을 견디는 견딤의 힘과 관련된다. 특히 식욕, 공격욕 등은 대개 현실에서의 고통을 견디기 위한 방편이 된다. 3) 천운영 소설은 고통의 견딤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인 삶의 조건이며, 이들 모두가 궁극적으로 연민의 대상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고통을 견디는 견딤의 방식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간단히 무시해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4) 천운영 소설에는 먹고 때리는 등의 방편들에 의지하지 않고, 순수한 견딤의 힘으로써만 고통을 견디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현실과 운명의 가혹한 매질에도 불구하고 울거나 소리 지르지 않으며, 흐트러짐 없이 자기 자신을 지켜낸다. 이는, 삶에 늘 있게 마련인 어찌할 수 없는 고통들에 대해서 ‘견딤’이 우리 자신의 본래적 상(像)을 순결하게 지켜내는 방법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드러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