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와 Headspace-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제주산 민트 에센셜오일 성분 분석

        호봉 ( Ho Bong Hyun ),부경환 ( Kyung Hwan Boo ),혜림 ( Hye Rim Kang ),김소미,( Somi Kim Ch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5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8 No.2

        제주에서 생산된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3종으로 부터 추출한 에센셜오일의 성분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 석기(GC-MS)와 headspace-GC-MS (HS-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GC-MS 분석결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데코롱민트 각각에서 13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전체 이온 크로마토 그램의 피크 intensity를 기초로 보았을 때, 페퍼민트에서는 peperitenone oxide, 스피아민트에서는 carvone과 limonene, 오데 코롱민트에서는 linalool이 주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HS-GC-MS 분석에서는 GC-MS와 비교하였을 때 alcohol과 acetate와 같은 휘발성이 강한 성분이 많이 검출되었고, 검출되는 성분의 수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스피아민트와 오데코롱민트의 주 화합물은 GC-MS에서 검출된 것과 같았고, 페퍼민트에서만 GC-MS에서 낮은 함량을 보였던 menthol이 주요화합물로 동정되었다. 흥미롭게도, 오데코롱민트 에센셜 오일에서 linalyl acetate와 linalool 의 함량이 탁월하게 높음을 확인했다. Compositions of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mint herb such as Mentha piperita, Mentha spicata, and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produced in Jeju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headspace- GC-MS (HS-GC-MS). By the GC-MS analysis, 13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 Mentha piperita, Mentha spicata, and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respectively. Peperitenone oxide, carvone, and linalool were detected as major compounds in Mentha piperita, in Mentha spicata, in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respectively, based on the ratio of peak intensity in the total ion chromatogram. The greater number of compounds, including volatile alcohols and acetates were identified by HSGC- MS than by GC-MS in these all three essential oils. Similarpatterns of composition were detected in both Mentha spicata and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by either one of GC-MS methods. However, in case of Mentha piperita, L-(-)-menthol, which was identified as the major compound by HS-GC-MS was detected in dramatically reduced quantity by GC-MS. Interestingly, we found that both linalyl acetate and linalool were identified as the dominant compounds in the essential oil of Mentha × piperita var. citrate.

      • KCI등재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outcomes of isolated myeloid sarcoma without bone marrow involvement: a single-institution experience

        이정연,혜림,조현수,장지은,김윤덕,김수정,김진석,신영,민유홍,정준원 대한혈액학회 2017 Blood Research Vol.51 No.3

        Background: Isolated myeloid sarcoma (MS) is a rare extramedullary tumor mass composed of malig-nant myeloid precursor cells without any evidence of leukemia in the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We describ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diag-nosed with isolated MS at our institutio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9 of 497 acute myeloid leukemia (AML) patients (1.8%) with isolated MS. Isolated MS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the first-line treatment strategy: systemic treatment only (S) or local treatment with or without sys-temic treatment (LS). Results: The most common site of MS occurrence was the head and neck area (N=4, 44.4%), followed by the anterior mediastinum (N=2, 22.2%)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N=2, 22.2%). The tumors of 4 patients (44.4%) eventually evolved to AML, in a median time of 13.4 months (range, 2.4‒20.1 mo). The number of patients achieving complete re-mission after first-line treatment was higher in the LS group (N=5, 83.3%) than in the S group (N=1, 33.3%) (P=0.226). All patients in the LS group survived, but those in the S group died (P=0.012). Conclusion: Accurate and rapid diagnosis using various modalities and the early initiation of intensive combined treatment may be the optimal strategies to reduce the risk of isolated MS sub-sequently evolving to AML. To ful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MS, a larger number of patients from a multinational study is necessary.

      • KCI등재

        <우리말샘>의 방언 표제어에 대한 연구-제주방언에서 '·'로 실현되는 단어를 중심으로-

        김미진,권미소,현혜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69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in confirming how words expressed with ‘ㆍ’(Are-a) in Jeju dialect amongst Jeju dialect headwowrds are registered in <Urimalsaem>, inspecting issues of notation errors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issue. In <Urimalsaem>, ‘ㆍ’(Are-a) appears 4,718 times in 4,008 Jeju dialect words, most of which is notated as ‘ㅏ, ㅓ, ㅗ, ㅜ, ㅡ, or ㅣ’. It is notated in ‘ㅏ’ mostly as words using ‘ㆍ’ (Are-a) in Jeju dialect has been studied as a variation of ‘ㅏ’ based on conjecture and expansion of standard language. However, the issue is that when ‘ㆍ’(Are-a) in Jeju dialect is uniformly notated in ‘ㅏ’, it creates words such as ‘맘국’, ‘남삐’, ‘바뜨다’, ‘가레’, ‘탁’ which are not practically used in Jeju Island, creating confusion in its user. In <Urimalsaem>, 99.7% of the words in ‘Xᄒᆞ다’ form in Jeju dialect are shown as ‘X하다’ form. Such does not acknowledge conversion of ‘Xᄒᆞ다’ form in Jeju dialect to ‘X허다’. Furthermore, standards for allomorphic headword for Jeju dialect provided in <Urimalsaem> is incoherence. In words like ‘ᄂᆞᄆᆞᆯ’, ‘ᄆᆞᄆᆞᆯ’, very diverse allomorphs are offered as headwords, but allomorphs that must be provided, such as ‘아ᄃᆞᆯ’ into ‘아덜’, cannot be found, but ‘아달’, which is never used, is rather provided as allomorph. Therefore, This study has added words that must be notated with ‘ㆍ’(Are-a) amongst Jeju dialects in <Urimalsaem>, emphasized notation based on natural speech in selecting headword, and proposed more logical standard in selecting headword and furthermore addition of various allomorphs as headword after confirming textual reference and dictation in recording of its actual speech. Also, headword of dialect including Jeju dialect has been noted of necessity to provide its pronunciation. Providing user with information on dialect headword is very meaningful feature in <Urimalsaem>. However, it seems as a very urgent issue to correct the incorrect entries of Jeju dialect that consists the most of dialect headwords. I hope <Urimalsaem> would become a better open dictionary after reviewing the errors commented in this article along with future improvement plans and other issues. 이 연구는 <우리말샘>에 등재된 표제어 가운데 제주방언에서 ‘ㆍ’로 실현된 단어가 어떻게 표기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표기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우리말샘>에는 제주방언에서 ‘ㆍ’로 실현되는 단어를 ‘~로도 적는다’처럼 나타내고 있는데 이들의 수를 확인하면 단어는 4,008개이고, 하나의 단어에서 ‘ㆍ’가 두 번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포함하면 총 4,718번이 확인된다. 이들은 대체로 ‘ㅏ’로 표기되었고, 이어 ‘ㅓ, ㅗ, ㅜ, ㅡ, ㅣ’ 등으로도 나타났다. ‘ㆍ’의 ‘ㅏ’ 형 표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제주방언에서 ‘ㆍ’로 나타나는 단어들을 표준어형에 기대어 ‘ㅏ’의 변화로 파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말샘>에서처럼 제주방언에서 나타나는 ‘ㆍ’를 일괄적으로 ‘ㅏ’ 형으로 표기할 경우 ‘맘국’, ‘남삐’, ‘바뜨다’, ‘가레’, ‘탁’ 등과 같이 실제 제주지역에서 사용되지 않는 형태가 나타나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게 된다. 한편 <우리말샘>에서는 제주방언에서 ‘Xᄒᆞ다’로 나타나는 단어의 99.7%를 ‘X하다’ 형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것은 제주방언의 ‘Xᄒᆞ다’가 ‘X허다’로 변한 형태를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또한 <우리말샘>에서 제공하는 제주방언의 이형태 표제어의 기준은 매우 불분명하다. ‘ᄂᆞᄆᆞᆯ’, ‘ᄆᆞᄆᆞᆯ’ 등의 단어에서는 방언의 다양한 변이형들을 표제어로 제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제공되어야 하는 변이형, 이를 테면 ‘아ᄃᆞᆯ’이 ‘아덜’처럼 나타나는 경우에 대해서는 찾아볼 수 없고, 제주지역에서 실제 발화되지 않는 ‘아달’이 변이형으로 제시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우리말샘>에서 방언 표제어를 싣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일은 매우 의미가 있는 일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방언 표제어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주방언의 표제어에서 잘못 제공되는 자료를 바로잡아야 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말샘>에 등재된 제주방언 가운데 ‘ㆍ’로 실현되어 표기될 필요가 있는 단어에 대해 표제어로 추가하는 한편 표제어 선정에 실제 발음을 최대한 고려한 표기가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표제어 선정에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나아가 실제 발화를 기록한 텍스트 자료와 음성을 확인한 후 다양한 이형태를 표제어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방언의 표제어에 발음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언급하였다.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Pseudomonas fluorescens DR397, a drought tolerant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수스미타 다스 니슈,현혜림,이태권 한국미생물학회 2020 미생물학회지 Vol.56 No.3

        Pseudomonas fluorescens DR397 is a potential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that enhances plant tolerance to drought stress. We isolated this Gram-negative, rod-shaped strain from soybean plant rhizosphere, grown in drought-prone area of Gangwon-do province and obtained the whole-genome sequence using the Pacific Biosciences (PacBio) RS II platform. The complete genome of strain DR397 comprises 6,418,441 bp, 60.6% G + C content, which include 5,667 protein-coding genes, 74 tRNAs, 19 rRNA, 4 ncRNA, and 32 pseudo genes. The genome analysis revealed osmoadaptive drought regulatory pathway and plant growth promoting genes in P. fluorescens DR397, employing symbiotic strategy to promote plant drought resistance.

      • KCI등재

        내건성 식물생장 촉진 균주인 Glutamicibacter halophytocola DR408의 유전체 분석

        수스미타 다스 니슈,현혜림,이태권,Nishu, Susmita Das,Hyun, Hye Rim,Lee, Tae Kwo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9 미생물학회지 Vol.55 No.3

        제천에서의 콩 근권 시료로부터 분리한 Glutamicibacter halophytocola DR408 균주는 내건성 식물생장촉진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DR408 균주의 완전한 유전체 서열을 해독한 결과, 유전체의 크기는 3.77 Mbp였으며, G + C 함량이 60.2%였다. 또한 총 3,352개의 유전자 서열과 65개의 tRNA, 19개의 rRNA, 3개의 ncRNA가 존재하였다. 유전체 분석을 통해 식물의 내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삼투질 합성과 식물생장촉진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다수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Glutamicibacter halophytocola DR408 isolated from the rhizospheric soil of soybean plant at Jecheon showed drought toleran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capacity. The complete genome of strain DR408 comprises 3,770,186 bp, 60.2% GC-content, which include 3,352 protein-coding genes, 64 tRNAs, 19 rRNA, and 3 ncRNA. The genome analysis revealed gene clusters encoding osmolyte synthesis and plant growth promotion enzymes, which are known to contribute to improve drought tolerance of the p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