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은희(Eun-Hee Hyun),김성희(Sung-Hee Kim),이헌(Hun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 No.2
본 고는 현재 개발중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EIR의 개발 방향에 대하여 기술한다. EIR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디지를 이동통신망의 한 구성 요소로서 이동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상태정보를 관리하므로서 개인별 서비스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본 고에서 제안된 EIR은 일종의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으로 이동단말기에 대한 데이타들을 관리하여 서비스 보안기능을 지원하고 VLR 및 HLR 데이타에 대한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감사 기능의 지원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EIR에서 관리되어야 하는 데이타들을 정의하고, EIR과 연동하는 이동통신 교환기, VLR, HLR간의 인터페이스를 제안하며 시스템 구현사항에 대하여 기술한다.
홍형섭(Hyung-Seop Hong),하정락(Jeoung-Lak Ha),현은희(Eun-Hee Hyun),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현재 제안되고 있는 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은 각 라우터에서 멀티캐스트 라우팅을 위한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각 라우터는 상태정보를 유지해야 하므로 확장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제안된 메커니즘으로 Explicit Multicast (Xcast)[1]가 있다. 하지만 Xcast의 경우 각 경로상의 라우터는 반드시 Xcast를 탑재해야 하는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약은 현재의 망에 구현 관점에서는 큰 문제가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상태정보가 없이 멀티캐스트를 점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Multicast based on Virtual Topology (MVT)를 제안한다. MVT는 멀티캐스트 데이터가 분기되는 라우터를 분기라우터로 지정하고 분기라우터간의 가상 토폴로지 정보를 헤더에 삽입함으로써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커니즘이다.
정준영(Joon-Young Jung),이제원(Je Won Lee),현은희(Eun Hee Hyun)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최근 OTT 와 같이 인터넷을 통한 비디오 서비스 전송을 위해 적용되는 적응적 스트리밍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특히 종래의 ABR 알고리즘 방식에서 대두되는 최적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계학습 기반의 ABR 알고리즘에 대해 소개한다.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종래의 ABR 알고리즘 방식과 기계학습 기반 방식의 성능을 비교한다.
홍형섭(Hyung-Seop Hong),하정락(Jeoung-Lak Ha),현은희(Eun-Hee Hyun),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Mobile IP(MIP)[1] Working Group에서 제안하고 있는 멀티캐스트 적용 방안에는 크게 HA기반 라우팅과 FA기반 라우팅으로 구분된다. HA기반 라우팅 방법은 멀티캐스트 패킷을 HA에서 터널링하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경로의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터널 집중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FA기반 라우팅 방법은 이동 호스트의 핸드오프가 일어날 때마다 멀티캐스트 트리의 재구성이 필요하므로 많은 오버헤드가 발생하지만 경로 최적화는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HA기반 라우팅과 FA기반 라우팅 방안을 절충한 새로운 멀티캐스트 제공 방안을 제안한다. MH의 이동이 빈번한 마이크로 레벨에서는 HA기반 라우팅을 이용하고, MH의 이동 거리가 큰 매크로 레벨에서는 경로 최적화를 위하여 새로운 멀티캐스트 트리를 재구성함으로써 보다 효율적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가능한 메커니즘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김인경(In-Kyeong Kim),하정락(Jeong-Lak Ha),현은희(Eun-Hee Hyun),김상하(Sang-Ha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IETF Mobile IP는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IP 멀티캐스트를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HA 기반 라우팅과 FA 기반 라우팅을 간략히 언급하고 있다. FA 기반 라우팅의 경우, 단말기 이동 시 멀티캐스트 트리를 재구성하는 오버헤드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반연, HA 기반 라우팅의 경우, 단말기 이동시 경로 최적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멀티캐스트 트리 수정에 대한 오버헤드가 존재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망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연구에서 HA 기반 라우팅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HA 기반 라우팅 방법에서 가장 큰 장애 요소는 터널링 집중화 현상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bile Multicast(MOM) 등에서 정성적인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프로토콜이 없으며 모든 HA들이 관여하는 복잡도로 인해 실제로 망에 배치되는 데 한계성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Mobile IP 메시지의 간단한 확장과 FA에 멀티캐스팅을 위한 기능을 첨가하여, 터널링 집중화 현상을 해결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되는 프로토콜은 현재의 모든 IP 멀티캐스트를 수용하고, Mobile IP와의 호환성을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