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연구의 메타분석과 변수 설정에 따른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 변화

        현은주 ( Hyun Eunju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8 사회보장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국내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의 문헌들에 대해 메타 분석하고 미국과 비교해 낮은 국내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을 유도한 요인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국내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의 크기는 0.104-0.292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0.2 근방에 위치하였고 선행연구별 추정 모형 및 표본의 성격에 따라 추정치의 크기는 달랐다. 미국의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이 0.4 근방에 위치하는 것과 비교해 약 절반 수준인 0.2 근방의 낮은 한국의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을 가져온 요인들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실증 결과를 통해 밝혔다. 제시한 세 가지 요인은 표본 연령 차이, 미국과 한국의 사용하는 소득 변수(세전, 세후)의 차이 그리고 지역 간 물가 차이 반영 여부이다. 각 요인들을 기존의 세대 간 소득 탄력성 추정 모형에 반영하여 추정치의 변화를 이론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실증 분석 결과에 따르면 0.204이었던 기존의 세대 간 소득 탄력성은 제시한 요인들을 모두 반영 시 0.236으로 증가하여 미국과의 격차가 줄었다. 따라서 국내 선행 연구들에서 밝힌 국내 세대 간 소득 이동성보다 훨씬 경직되어 있을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This paper aims to meta-analyse the literature on Korea's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nd performs comparison of the intergenerational elasticity estimat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t also presents three factors which lead to lower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estimates in Korea than the United States. In empirical results, The gap of estimate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ecreases when they are reflected.

      • KCI등재

        부모와 자녀 성별에 따른 세대 간 소득 이동성 추이 비교

        현은주 ( Eunju Hyun ),김성희 ( Seong Hee Kim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4 여성경제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적 지위의 상승 추세를 반영하여 기존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 연구를 확장한다. 선행 연구는 아버지-아들 조합으로 소득이동성을 주로 측정하였으나, 본 연구는 아버지-딸, 어머니-아들 및 어머니-딸 조합을 추가하여 한국의 최근 소득이동성 추이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복수표본도구추정법을 사용하여 2010년대와 2020년대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을 부모의 성별과 자녀의 성별 조합에 따라 분석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세대 간 소득탄력성 내 교육의 설명력을 교육투자수익률을 통해 비교한다. 분석 결과, 2010년대의 세대 조합에 비해 2020년대 세대 조합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이 더 활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투자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아들-딸 간 교육투자수익률 차이가 2020년대 들어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성별 간 교육수준 격차가 사라지면서 교육 자체에 따른 임금 프리미엄이 10년 사이에 감소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literature by reflecting the increasing trend of women's economic status. Previous studies mainly measured income mobility with father-son combinations, but this study examines the recent trend of income mobility in Korea by adding father-daughter, mother-son, and mother-daughter combinations. Specifically, the two-sample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method is used to analyze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the 2010s and 2020s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parents-children. In addition, the explanatory power of education in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by child gender is examined by observing the returns on education inve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intergernerational income mobility increased in the 2020’s. In addition, differences in the return on education investment between son and daughter disappeared in the 2020s. This implies that wage premiums due to education itself decreased as the gender gap in education level disappeared.

      • KCI등재

        재배방법을 달리한 복령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김유진 ( Yoo-jin Kim ),박해진 ( Hae-jin Park ),이진상 ( Jin Sang Lee ),은주 ( Eunju Do ),손형락 ( Hyeong Rack Sohn ),전선만 ( Seon Man Jeon ),염정 ( Jeong Hyun Yeum ),김미려 ( Mi Ryeo Kim ) 대한본초학회 2016 大韓本草學會誌 Vol.31 No.5

        Objectives : Poria cocos Wolf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n medicine as a medicinal fungu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at comparative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wild Poria cocos (WP) and plastic bag-cultivated Poria cocos (PBP). Methods :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WP and PBP extract were monitored. And DPPH, ABTS, hydroxyl (·O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reducing power and xanthine oxid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m were determined at 5, 1, 0.5 mg/ml concentrations. Results : Highe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found in the PBP extract (52.07±0.6 mg/TAEg) than in the WP extract (28.44±0.26 mg/TAEg). The flavonoid contents in WP and PBP extract were 17.29±0.30 mg/ RUEg, 21.36±0.40 mg/ RUEg, respectively. Also, DPPH, ABTS and ·OH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PBP extract in treated concentrations (5, 1, 0.5 mg/ml)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WP-treated group. In particular, DPPH,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reducing power of PBP extract at 5 mg/ml concentration were similar to positive control (BHA or vit. C). Xanthine oxidase (XO) inhibition rate in both extract increased dose dependently. But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BP-treated group, only at 5 mg/ml, compared to those of WP-treated group. Then, their inhibition rate by PBP was similar to positive control (BHA).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P extract is superior to WP extract in anti-oxidant capacity thus PBP can be applied in variable antioxidative products as a substitute for W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