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림책에서 의인화된 동물 등장인물에 대한 아동의 반응

        현은자 ( Eun Ja Hyun ),변윤희 ( Yoon Hee By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5 No.2

        동물 주인공은 아동문학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아동문학에서의 성격 묘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나 동물이 의인화될 때 작가는 등장인물의 성, 연령, 사회적, 지위 등과 같은 중요한 이슈들을 피해갈 수 있는 자유를 갖게 된다. 본 연구는 그림책의 주 독자가 되는 어린이들이 의인화된 동물의 인간적 속성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으며 그 근거는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대상은 그림책의 주독자인 6세 유아 62명과 초등학교 2학년 68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등장인물의 의인화 정도에 따라 동물이 등장하는 세권의 그림책이 사용되었다. 아동에게 등장인물의 선호도, 주인공, 나이, 성에 대한 질문을 하였고, 이에 대한 반응은 연령과 그림책 별로 빈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은 자신과 비슷한 연령으로 특이한 능력이나 행동을 보이거나 친사회적인 행동을 하는 등장인물을 선호하였다. 주인공 판단에서는 유아는 단편적인 사건이나 외형 등 그림책의 일부를 보고 판단하였고,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은 사건의 중심이 되는 인물을 주인공으로 선정하였다. 주인공의 나이 추측에서는 자신과 비슷한 연령으로 여겼으며, 등장인물들의 크기가 다를 경우에는 크기가 클수록 나이가 많다고 대답하였다. 등장인물의 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 유아와 아동은 외형적으로 빨간 옷을 입거나 머리가 긴 등장인물을 제외한 모든 등장인물이 남자라고 반응하였다. The creation of animal characters is a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children`s literature. A number of techniques are employed to portray character such as narrative description, events, dialogue, and character`s features. However, the depiction of the picturebook protagonist as an animal gives the creator the freedom to eliminate several important issues such as age, gender, and soci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assess the human attributes of animal characters in picturebooks. The research subjects were 62 of 6-year-old young children and 68 of the 2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picture books read to the children were selected according to personification degree of the animal characters. In this study, children were requested to answer to the questions which had to do with main character, age, sex, and their preference of the characters.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frequency based on children`s age and each picture book.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 preferred the characters with their age, special talent, unique behavior, or sociable personalities. Regarding the main character in picture book, 6 years old children focused on the role of the character in some parts of the story or his/her appearance. On the other hand, the 2n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ed the character as protagonist depending on his/her contribution to the story plot. Regarding the character`s age, children were likely to think that the main character would be their age, and the taller the one is, the older the one is. Regarding the character`s sex, children regarded all the characters as male except the ones dressed in red and with long hair.

      • KCI등재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계연구

        현은자 ( Eun Ja Hyun ),조메리명희 ( Myung Hee Cho Mary ),조경선 ( Kyung Sun Cho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어머니의 스마트폰중독,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과 그로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예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일산 4곳의 시립어린이집과 서울시 강동구에 위치한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6세 어머니 247명 이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성인스마트폰중독 자가 진단 척도, 한국판 양육효능감 척도, 한국판 부모양육 스트레스 검사 축약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x²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들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일반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61.5%, 일반사용자군 126.7%,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1.7%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은 어머니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 사용자군 2인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양육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들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게 나타났으며,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어머니는 스마트폰에 대한 내성이 높을수록 양육효능감이 낮았으며 스마트폰에 대한 가상세계지향성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nd provides basic materials for preventing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us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7 mothers each of whom had one child between the age of 3 and 6 years of age attending either one of four public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Iisan, GyeongGi-Do or one of five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angdong-gu, Seoul.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SRSASA), Le K-Echeele Globale du Sentiment de Competence Parentals, and the 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chi-suqare 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who got 40~43 points on the SRSASA or more than 14 points on the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 one of the sub factors of the Scale are categorized as the At-risk group, while those who got 30~39 and less than 30 on the SRSASA are did as general user group 1 and general user group 2 relatively. As fo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26.7% group 1 and general user group 2 relatively. As fo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26.7% of mothers could be considered as being at the lower end of general users Group 1while Group 2 consisted of more frequent general users at 61.5%. The At-risk group Group 3, consisted of 11.7% of mothers. Second, in general the study finds that the more mothers used their smartphone, the higher were their smartphone addiction levels. Third, group 2 mothers rated highest in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At-risk group rated highest in parenting stress. Fourth, mothers with highest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rated lowest in parenting efficacy and highest in parenting stress. Fifth, the higher the tolerance for smartphones, the lower the parenting efficacy, and the higher the mothers` directivity with the virtual world of smart phones, the higher their parenting stres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y is needed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ve use.

      • KCI등재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역할 분석4)

        현은자 ( Eun Ja Hyun ),설려나 ( Ryu Na Seol ),홍지민 ( Ji Min H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가 편찬하여 2013년부터 사용된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 1,2학년국어 교과서와 국어활동 교과서 16종에 수록된 그림책 59권을 분석하여, 등장인물의 성별 출현도, 남성·여성 등장인물의 직업과 그 종류, 성별 차이가 등장인물의 활동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성별 출현 분포는 중성, 남성, 여성의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직업분포는 남성이 여성보다 직업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직업의 종류 또한 남성의 직업종류가 훨씬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활동 내용도 남성과 여성이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업활동을 하는 인물은 남성으로, 가사노동을 하거나 직업이 없는 인물은 여성으로 표현되어, 성역할 고정관념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균형 잡힌 성역할 학습을 위해서 초등 교과서에 수록되는 그림책 제재에 대한 다각도의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nder-appearance ratio, kinds of job in male and female characters and gender roles through picture books in [Korean] and [Korean activity] textbook of the national elementary curriculum revised in 2009. For this purpose, fifty-nine picture books are analyzed. This analysis shows that firstly, gender-appearance ratio appears in order of intersex, male, female. Secondly, distribution of gender occupation shows higher occupied ratio of male than female. Also the kinds of jobs for males have more variety than for females. Lastly according to gender, there are differences of activity content. It shows that picture books describe males as having jobs, and females as working at home. These results are assumed to carry stereotypes to children in gender roles.

      • KCI등재후보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현은자(Hyun Eun-Ja),윤현민(Yoon Hyun-Min),강정미(Kang Jung-M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실에서 교육용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활용하고 있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로봇에 대한 인식(생물학적, 정신적, 사회적, 도덕적, 교육적)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로봇 사용경험이 로봇에 대한 인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아들의 로봇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용 서비스 로봇을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세 곳의 유아 11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로봇에 대한 유아의 교육적 인식은 로봇에 대한 로봇의 정서 사회적 인식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이러한 로봇에 대한 정서, 사회적 인식과 관련이 있는 로봇의 콘텐츠는 ‘대화하기’와 ‘출석’ 기능처럼 로봇과의 상호작용성이 높은 콘텐츠였다. 로봇의 보고 듣고 ‘말하기’ 기능 중에서도 특히 로봇이 말하는 것을 들어보았다는 유아와 로봇의 화면을 직접 조작한 경험이 있는 유아가 로봇에 대한 교육적 인식이 높았다. 특히 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과 교사의 로봇활용 및 로봇의 위치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로봇이 자기 반이 아닌, 복도나 교사/원장실에 있을 경우 로봇에 대한 유아의 교육적 인식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들을 위한 교육용 로봇 콘텐츠 개발 및 교육적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s among the biological, mental, social, moral,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how young children perceived the intelligent robot iRobiQ.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11, 5-year-olds attending to 2 kindergartens and 2 child care centers where iRobiQ was purchased and used since March 2009. The young children had experienced the robot one hour or less every day for two weeks or les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educational perception, mental, social perceptions. The robot contents related to the socio-emotional perceptions of robot had high level of human-robot interactions such as “Talking with the Robot” or “Attendance Check”. Especially children experienced ‘voice’ and ‘touch screen’ function of robot showed higher educational perception. And the social and educational perceptions was higher when the robot was placed in classroom than in the hallway or the offi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y should develop robot content focused on socio-emotional characteristics for educational purposes and place a robot in classroom to use a robot individually.

      • KCI등재

        가정에서의 디지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영유아 부모의 인식

        현은자 ( Eun Ja Hyun ),김태영 ( Tae Young Kim ),조메리명희 ( Mary Myung Hee Cho ),박은미 ( Eun Mi Park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1 신앙과 학문 Vol.16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영유아를 둔 가정에서 모바일기기의 사용현황과 그것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러한 결과가 기독교 부모와 비기독교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기독교 가정 내에서의 모바일기기 사용에 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설문지는 모바일기기의 보유대수, 사용현황,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경기 북부지역 5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부모 241명이었다. 자료 처리는 SPSS 1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일원분산분석 처리하였다. 결과는 첫째, 모바일기기 사용이 가족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부모들은 인식하고 있다. 둘째, 조사된 변인에 있어서 기독교 부모와 비기독교 부모 간에 차이는 없었다. 셋째, 모바일기기 사용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부모교육의 요구가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대의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의 계발과 더불어 아동의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는 기독교 부모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young children`s parents perceive their use of mobile devices at home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 Christian counterpart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at home and perception of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1 parents from 5 nursery schools in north part of Kyung Ki Do.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30 questions asking how many mobile devices is used at home, how to use them, and how to perceive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Th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One-way Anov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s: 1) the parents are Likely to use the digital devices at home not considering enough young children`s presence, 2) most of them show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effect of mobile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common topics to share, time spent together, and the degree of intimacy). 3)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Christian parents and non Christian parents regarding the use of mobile devices and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devices on family relationship. 4) majority of parents answered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young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regarding the use of mobile is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as a role model of young children need to have reflective thinking regarding the use of the digital devices in our daily Lives.

      • KCI등재
      • KCI등재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 비교

        현은자 ( Eun Ja Hyun ),연혜민 ( Hye Min Yeon ),최경 ( Kyoung Choi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 그림책을 일반 종이그림책처럼 읽는 방법과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읽는 방식에 따라 유아의 반응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34명을 17명씩 각각 두 집단에 무선 배정하고 한 집단은 일반 그림책처럼 읽게 하고 다른 집단은 증강 기술을 이용해서 읽도록 했다. 종속 변인으로는 책을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 만족도, 이해도, 단어 회상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증강 그림책을 일반 그림책처럼 읽을 때 한 페이지 당 소요되는 시간, 한 권 전체를 읽는데 소요되는 시간 모두 증강그림책으로서 읽을 때 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렸다. 둘째, 증강현실 그림책의 읽기방법에 따른 유아의 만족도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증강현실 그림책보다 일반그림책처럼 읽을 때 내용 이해도가 더 높았으나 등장인물 이해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유아의 단어회상능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증강현실 그림책을 유아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서 증강현실 그림책의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새로운 미디어를 이용한 읽기, 쓰기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s in children`s responses to an AR picture book between two groups who read the AR picture book in two different ways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34 5-year old children who attended two classes of M kindergarten in G City,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young children who read the picture book not activating AR technology spent more time reading the text and the images of the book than their counterparts. Children who read the book activating AR technology were likely to turn the pages of the book as soon as the augmented reality images appeared on the computer screen. Second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books between two groups. Thirdly, young children who read the augmented reality picture book like a normal printed picture book, were able to comprehend the story of the book better than those who read it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i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word recall between two groups. The most important finding was that children were likely to focus on augmented images rather than the text, not paying much attention to the story of the book.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considerations in utilizing AR picture books in mor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s for young children as well as a new way of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growing up in a new media environment.

      • KCI등재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

        현은자 ( Hyun Eun-j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그림책 서평에 내포된 윤리적 속성을 밝히는 데 있다. 그림책 서평을 내용 분석한 선행 연구들은 바람직한 서평의 조건으로 그림책 매체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평론자의 전문적 판단과 가치 평가에서의 객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무엇에 대한 객관적 태도 혹은 가치 평가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윤리적 차원의 숙고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 논제, 즉 텍스트에 대한 평론자의 태도, 평론에서의 가치 평가의 문제 그리고 그림책 서평의 내용을 구성하는 묘사, 해석, 판단에서의 윤리적 요소를 다루었다. 논제를 다루기 위한 논거들은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연구와 더불어 문예 비평(문학, 미술, 문화)과 해석학에서 가져왔다. 텍스트를 존중하는 독서 태도는 성실하고 충실한 묘사를 위한 선행조건이 되며 묘사는 합리적이고 일관성 있는 해석을 이끌고 이는 그림책의 가치 판단에 대한 근거와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결과는 그림책 서평이 어린이의 복지를 위한 실천 윤리적 규범을 따를 것을 제안하는 동시에 Michael Sandel이 주장한 것과 같이 모든 공적 영역에서의 도덕적 기초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데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ethical attributes of children`s book reviews. Preceding studies analyzing the contents of picture book reviews have emphasized the objectivity of professional judgment and the value of critics as well a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book media as a criterion of desirable book review. However, in modern post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thical dimension to assert an objective attitude or to valuate something. Therefore, this thesis deals with three issues, namely, the attitude of the commentator on the text, the problem of valuation in the critique, and the ethical elements in the description, interpretation, and judgment which constitute the content of the book review. The arguments for dealing with the thesis came mainly from literary criticism (literature, art, and culture) and hermeneutics. A reading attitude that respects text is a prerequisite for a sincere and faithful depiction, and the description leads to a rational and consistent interpretation, which can provide a basis for judging the value of a picture book.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book review should follow practical ethical norms for the welfare of children, and at the same time, Michael Sandel`s assertion is of significance in confirming the necessity of moral foundation in all public spheres.

      • KCI등재

        그림책 해석의 영성적 접근: 은혜 개념을 중심으로

        현은자 ( Hyun Eun-ja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3

        그림책 예술과 영성의 관계는 그림책 평론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주제이다. 그러나 최근 다른 예술 영역, 특히 영화 예술 분야는 영화가 관객의 영성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해석을 영성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은혜의 사전적, 신학적 개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으며 세계관 비평을 통해 은혜의 이야기가 가진 메시지의 독특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평론 대상이 된 그림책들은 은혜를 베푸는 자가 누구냐에 따라 인물, 사물, 그리고 자연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작품들의 고유한 문학적, 시각적, 페리텍스트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이야기 안에 함축된 은혜의 개념을 드러내었다. 본 연구가 그림책의 본질과 해석에 주는 함의는 두 가지로 논의 되었다. 우선 그림책의 본질은 어린이에 대한 성인의 책무보다는 생명이라는 절대선과 관련되어 있으며, Kreitzer(2002)의 신학과 영화의 `해석학적 흐름` 접근은 신학에서 그림책으로, 그리고 그림책에서 신학으로 순환함으로써 그림책 해석의 지평을 넓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picture book art and spirituality is a topic that is rarely discussed in picture book reviews. Recently, however, other fields of art, especially the field of cinema art, have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movies on the spirituality of the aud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roach the interpretation of picture book from the perspective of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I examined what the dictionary and then the theological concept of grace are, and tried to emphasize the uniqueness of the message of the grace story through worldview criticism. The picture books reviewed were classified into person(humans, personified animals, and supernational beings), things or objects, and nature according to who is giving grace. By analyzing the unique literary, visual, and peritextual features of each work, the concept of grace implied in the story is reveal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nature and interpretation of picture books were discussed in two ways. First, the nature of a picture book is related to the absolute goodness of life rather than the responsibility of the adult to the child, and Kreitzer`s(2002) `hermeneutic flow` approach to theology and cinema could also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horizon of picture book interpretation.

      • KCI등재후보

        미국의 그림책 발전

        현은자 ( Eun Ja Hyun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8 No.1

        미국의 그림책 역사는 다른 영역과 마찬가지로 문화 안에서 작용하는 경제적, 정치적, 예술적, 기술적 요인의 탐구를 요구한다. 본 논문은 미국 그림책의 발전 역사를 1800년대 이전과 1800년대 이후, 그리고 1900년대 이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림책의 발전을 이끈 중요한 사건들로는 1900년대의 도서관운동, 전후 베이비 붐과 교육개혁을 위한 교육법의 제정, 유럽으로부터의 예술가들의 유입, 시민운동, 사설 어린이서점의 증가, 제 2 베이비 붐, 다문화 교육 정책들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미국의 그림책 창작과 출판, 그리고 구매를 이끌었다. 최근에는 히스패닉을 중심으로 한 이민자들의 대거 유입과 그들의 출산율 증가로 인한 인구 증가와 그림책을 읽는 성인의 증가도 그림책 시장의 전망을 밝게 한다. 그림책의 독특한 예술성과 독자층의 다변화는 ‘그림책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계속 상기시키면서 그림책이 우리 문화에서 고유한 예술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history of picture books in the USA, like any history of a human enterprise, is a complex one that demands investigation of economic, political, artistic, and technological forces operating within cultur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icture book history in the USA from 18th century to the present as followings: before 18th century, 18th century, early 19th century, 1920-30, 1940-50, 1960-70, 1980-90, and 21th century. The social factors influencing picture book publishing are those: library movement, civil right movement, the increase of private children`s books store, babyboom after World War II, second baby boom in 1980th, artists immigrated from Europe, and recently, Hispanic immigrants and their high birth rate. Interestingly, more adults than ever before who are not responsible for raising young generation tend to buy picture books for themselves. Therefore, the future of picture book publishing seems to be optimistic with increasing birth rate and population in the States. Also, aesthetic feature and increasing adult readers of picture books would prove that the picture book genre has developed as an unique art form in the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