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전망과 과제

        현오석 동아대학교 동아시아연구원 2006 동아시아 : 비교와 전망 Vol.5 No.-

        Economic relations of countries with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been getting stronger in recent years. With China that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s a central force,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have increased the share of intra-regional trade in their trade. On the investment front, for some years, intra-regional investment was mostly concentrated on China. However, in recent years, East Asian countries have been actively looking for more investment opportunities following China. The East Asian region is also more actively working on bilateral Free Trade Agreements(FTAs) than any other continent on the globe. Countries in this region have shown a great interest in establishing an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EAFTA) bringing the whole East Asian region into a single economic zone based on current regional FTAs.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an EAFTA may be realized by 2008. If an EAFTA was concluded, its economic scale would surpass that of the North Atrerican Free Trade Agreement (NAFTA) and resulting effects would be much considerab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at an EAFTA would be created by simply integrating various regional or bilateral FTAs to form a single economic community. The degree and scope of liberalization in the ASEAN integration model that has been suggested so far has turned out to be not enough to lead to an EAFTA. Therefore, it is more realistic that an EAFTA can be eventually materialized through establishing a China-ASEAN FTA, Korea-ASEAN FTA and Japan-ASEAN FTA, to which a Korea-Japan FTA, Korea-China FTA and China-Japan FTA are added.Bilateral FTAs which are now underway should serve as a foundation in creating an EAFTA. Furthermore, if these bilateral FTAs were to serve as a springboard in establishing an Asian economic community,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to be tackled before achieving that goal. First of all, bilateral FTAs that are currently underway should be developed into more comprehensive ones. Simultaneously, mutual conformity of each individual FTA should be enhanced. In addition, the scope of FTA negotiations should include not only liberalization of commodities, but also a wide range of areas such as services, investment,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mpetition policies, and economic cooperation, etc. What'smore, there must be more efforts to reduce the length of exception list in the liberalizationof commodities and the service sector. As there is an enormous gap in the national income among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y have different industrial structures, it would not be easy for a simple horizontal integration to help achieve such a comprehensive FTA down the road. Therefore, it will be desirable to provide assistance programs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to find a way for a mutual existence in the area of agriculture, the biggest obstacl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 intra-regional FTA. For individual countriesin the region, they should take a more positive action to facilitate restructuring of less competitive industries than other area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nsensus on the scope of participation in the EAFTA and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outside the region like the US. Although the scope of an EAFTA will first include the ASEAN plus three, which groups ASEAN with Korea, China and Japan, the settlement should be made about its relationships with the US, Oceania, and India which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economy and security of the East Asian region. There are substantial political and economic obstacles standing in the way of realizing EAFTA. Politically, the perception of a common destiny and regional identity has not been fully developed in East Asia Mistrust between China and Japan, arising from historyand the emerging rivalry for Asian leadership, may be difficult to overcome in the immediate future. Economically, because of the wide differences in development levels and different ambitions for liberalization, the regional countries will want to open up at different paces and protect different sensitive sectors. These are difficult challenges. But judging from the experience of regionalism elsewhere, they should not be insurmountable. 최근 동아시아지역 내에서는 경제적 밀접도가 점점 높아가고 있다.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중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은 역내 거래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투자 또한 그 동안 중국에 집중 되었지만 최근에는 중국에서 탈피, 여타 ASEAN 국가로의 투자도 확대되는 추세이다. 동아시아 지역은 또한 현재 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양자간 자유무역협정 (FT A: Free Trade Agreement)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역내 양자간 FTA를 바탕 으로 동아시아 전체를 하나로 묶는 FTA. 즉 동아시아 자유무역협정 (EAFTA: East Asia Free Trade Agreement)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08년쯤이면 EAFTA가 실현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EAFTA가 실현된다면 그 경제 규모는 현재 NAFTA를 능가하는 수준이며, 그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지금의 동아시아 역내 국가 간의 FTA가 EAFTA로 확대 발전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쉽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제시되고 있는 ASEAN 통합 모델을보면 자유화 정도나 그 포괄범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어서 EAFTA로 이어지기에는 매우미흡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EAFTA는 결국 중-ASEAN, 일-ASEAN, 한-ASEAN이 체결되고 여기에 한 일, 한-중과 함께 중-일이 통합되는 것이 더 현실적일 것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양자간 FTA가 EAFTA의 기반이 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아시아공동체」구축의 출발점이 되려면 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우선 현재 진행되고있는 양자간 FTA는 한 층 더 높은 수준의 FTA되어야 하고, 동시에 각 FTA 상호간의 정합성을 제고시켜야 한다. FTA 대상에 상품자유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경쟁정책, 경제협력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합할 필요가 있으며, 상풍 및 서비스 분야의 자유화 수준 또한 예외를 최소한으로 하는 노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현재 동아시아 내에서는 국가별 소득 수준의 차이가 심하고 산업구조도 상이하여 단순한 수평적 결합으로는 높은 수준의 FTA체결이 어렵다. 저개발국가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이나 역내 FTA 체결에 가장 큰 걸림돌인 농산물 분야에서 상호 공존 방안도 찾아야 할것이다. 국가별로는 취약한 산업분야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고 EAFTA 참여 범위와 향후 미국 등 역외국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합의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EAFTA의 범위가 우선적으로는 ASEAN+3이 되겠지만 경제적으로나 안보적으로나 동아시아에 영향력이 큰 미국, 대양주, 인도 등에 대한 관계도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EAFTA를 실현하는 데에는 현실적인 정치적, 경제적인 장애물도 있다. 정치적으로는 동아시아내 국가들은 아직 공동 목표와 지역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이 충분하게 성숙되지 않은 상태이다. 역사 문제와 아시아 리더에 대한 라이벌 의식에서 야기되는 중국과 일본 간의 불신도 가까운 장래에 극복되기 어려울 것이다. 경제적으로는 동아시아 국가들 사이에 경제적 발전 수준이나 자유화 요구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고 있어 이들 각국이 원하는 개방 속도나 민감 분야가 국가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 이처럼 EAFTA 실현에는 많은 어려운 과제들이 많지만, 여타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역주의를 감안한다면 이런 과제들은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