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드라마와 삶의 연관으로 본 치료적 공연 제작 사례연구 -옛이야기를 활용한 치료적 공연 중심으로 -

        현미자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6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학술대회지 Vol.9 No.-

        필 존스는 연극치료를 치유의 의도를 가지고 드라마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연극치료에서 드라마와 자기 삶과의 연관이 적극적으로 탐색된다. 참여자가 처음에 는 그 연관에 대한 인식이 없더라도 작업을 진행하면서 점차 드라마와 자신의 실제 삶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연관 지어 바라보게 된다. 자발성이 높은 참여자일수록 드 라마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표현하고 적극적으로 탐험하며 스스로 변형하고 답을 찾아가게 된다.

      • KCI등재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사례연구 - 참여자의 여섯조각이야기와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현미자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3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8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Paticipant A,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domestic violence and wa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focusing on changes in body perception following individual drama therapy. The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s a therapist, with a total of 45 sessions held once a week for 50 minutes over the course of a year. Of these, 42 were individual drama therapy sessions, and 3 were family drama therapy sessions (1 with the participant's husband and son, 1 with the participant’s son, and 1 with the participant’s husb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 by way of long-term observations, projective analysis such as drawings and mask makings, and one-on-one interviews. Participant A went through four stages of body perception: “a body that cannot sense,” “a body that senses,” “a body that imagines,” and “a body that chang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 A was unable to move beyond the stage of "the body that cannot sense" for almost six months after starting the therapy. This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raumatized people, who have a negative body image and find it threatening to experience physical sensations. It is necessary for A to undergo preliminary work to regain a sense of safety and comfort before being able to restore her sensory perception. Second, Participant A was able to transition from "the body that senses" to "the body that imagines" after achieving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her family of origin. Specifically, Participant A attaine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her family of origin and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stage of "the body that imagines” through assertive trainings as well as 『The Story of Kongjwi and Patjwi』, which involved the murder of Kongjwi by Patjwi. In addition, Participant A’s family members took on each other’s roles in family drama therapy sessions—shifting from actor role to audience role—and gained understanding of one another. Third, the transition from "the body that imagines" to "the body that changes” occurred as Participant A broke free from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husband and started expressing heir own opinions. This transformation was facilitated through activities such as the "Another Me" mask making activities and creating the journey of her life using figurines, as well as the "Everyman" exercises. Through these activities, Participant A learned to think positively about her life rather than just view her life in a negative way and was able to take a balanced approach to her life. Fourth, during a body drawing exercise conducted at the end of drama therapy sessions, Participant A expressed “It feels like I’ve become one,” which demonstrated her transformation into a state where her body and mind were in harmony. This is one of the advantages drama therapy can offer since those taking part can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fe by engaging in role playing or role chaging activities using their own bod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s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 by conducting individual drama therapy for a participant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s well as employing family drama therapy when deemed necessary. It also provides visual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changes by using techniques such as the Six Part Stroy Making and drawings of participant’s own body. In particular, the family drama therapy, which focuses on the participant’s primary enviroment, is a major turing point for the participant’s change.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for the therapist in individual drama therapy to always consider the participant's surroundings and environment and take a family therapy approach when necessary. In future research, it is desirable to analyze various family therapy theories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from a family therapy perspective. 본 연구는 가정폭력 트라우마 경험이 있고 주요 우울장애를 받은 참여자 A의 개인 연극치료 사례를 참여자의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작업은 연구자가 치료사로서 1년 동안 주 1회 50분씩 총 45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개인 연극치료 42회, 가족 연극치료 3회(1회는 남편과 아들이 함께 참여한 가족 연극치료, 1회는 모자 연극치료, 1회는 부부 연극치료)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장기적 관찰과 그림과 가면 등의 투사 분석 그리고 참여자 면접을 통해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감각하지 못하는 몸’, ‘감각하는 몸’, ‘상상하는 몸’, ‘변화하는 몸’의 4단계를 경험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는 작업 시작 후 거의 6개월 동안 ‘감각하지 못하는 몸’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트라우마화된 몸의 특성으로 몸에 대한 부정적 감각을 갖고 있어 신체 감각을 느끼는 것이 위협적으로 느낄 수 있다. A가 다시 안전하고 편안하게 감각을 회복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A가 ‘감각하는 몸’ 상태에서 ‘상상하는 몸’으로의 변화는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 독립 후 가능해졌다. <콩쥐 팥쥐>이야기를 통한 팥쥐의 콩쥐 살해, 자기주장 훈련으로 A는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였고 그로 인해 점차 ‘상상하는 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가족 연극치료를 통해 배우과 관객이 서로 되어주고 역할 바꾸기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상상하는 몸’에서 ‘변화하는 몸’으로 변화는 남편의 심리적 통제에서 벗어나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이루어졌다. ‘또 다른 나’ 가면 작업과 인생길을 피규어로 만들기, 에브리맨 작업을 통해 A는 자신의 인생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긍정적인 면도 바라보면서 통합적으로 삶을 바라보게 되었다. 넷째, 종결 후 그린 몸 그림에서 A는 ‘하나가 된 것 같아요’라고 말함으로써 몸과 마음이 일치하는 상태로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연극치료의 장점으로 몸을 통한 역할 입기와 변형을 통해 실제 삶에서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단일 사례이나 필요에 따라 가족 연극치료를 병행하고 참여자의 변화를 여섯조각이야기와 참여자가 그린 몸 그림을 통해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게 의의가 있다. 가족 연극치료가 A의 가장 주요 환경인 가족을 고려함으로써 변화에 변곡점이 되었다. 이는 개인 연극치료에서도 치료사는 언제나 참여자와 참여자 주변을 둘러싼 환경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가족치료적 접근도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가족치료 이론과 연극치료 실제 작업을 가족치료 이론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교류가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현미자 ( Mi-ja Hyun ),깁영희 ( Yeong-hee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워진 이론적 모형을 통하여 어머니의 정서교류가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성에 따라 살펴보아 유아의 사회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 보고, 어머니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아동상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C시에 소재하고 있는 9개의 초등학교병설 유치원을 선정하여 그곳에 다니는 만 3, 4, 5세 유아 301명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로 하였다. 자료는 질문지 조사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어머니가 유아와의 정서교류와 유아의 사회성에 대한 질문에 응답하였고, 담임교사는 유아의 놀이성을 평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2.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어머니의 정서교류가 높을수록 남아와 여아의 놀이성과 긍정적 사회성이 높아지며, 어머니의 정서교류는 유아의 놀이성을 통하여 긍정적 사회성을 간접적으로 높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교류가 남아와 여아 모두의 놀이성과 부정적 사회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정서교류가 높을수록 유아의 놀이성은 높아지고 부정적 사회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간접효과는 보 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s affectionate communication on playfulness and sociability of young childr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1 children (166 boys and 135 girls) aged between three and five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located in Chungju City and Chungbuk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a,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2.0 program, and path analysis was done by AMOS 7.0.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affectionat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layfulness of young children regardless of children's gender. Higher affectionate communication of mothers led to higher playfulness of children. In particular, mother's affectionate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positive and negative sociability of young children regardless of children's gender. Higher affectionate communication of mothers led to a higher level of positive sociability and a lower level of negative sociability of children. Affectionate communication of mothers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positive sociability mediated by children's playfulness.

      • KCI등재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사례 연구

        현미자 ( Mi Ja Hyeon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2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2

        이 논문은 캠프에서 이루어진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자살 위험군 청소년 연극치료 작업 결과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PIL 사전사후 검사에 비추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캠프의 공연과 조별작업은 삶의 의미 찾기라는 부제 하에 진행되었고 그것을 위해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죽음이라는 주제가 전면에 부각되었다. 죽음은 삶을 돌아보게 해주고 자신의 인생을 보다 책임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 사전 사후 검사도 인생의 의미와 삶의 만족을 묻는 삶의 의미척도 검사(PIL)를 진행하였다. 본론에서는 PIL 검사 항목과 연극치료 작업에서 보여준 참여자의 변화를 상세히 서술하고 캠프에서 이루어진 PIL 사전 사후검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93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105점으로 12점이 올랐다. 참여자 A는 자신의 삶으로부터 도피하는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은 연극치료 작업에서도 진지하게 자신을 보는 것을 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나중에는 ‘의지’라는 단어를 처음 알게 되었다고 말하며 자신의 인생을 책임있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A는 자유를 다룬 세 가지 항목(13,14, 18)에서 사전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동일하게 1점씩 높은 점수가 나왔으며 자살을 다룬 항목에서는 2점의 변화가 보였다. 자유와 책임과 자살에 관한 생각에서 일관되게 생각이 바뀌었는데, 이는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던 데서 자기 것으로 받아들이는 모습으로 나아간 점과 일치한다. 참여자 B는 사전검사에서 20가지 항목의 7점 척도에서 74점의 점수가 나왔고 사후검사에서는 89점으로 15점이 올랐다. 각 항목별 사전 사후검사결과와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 보여준 모습과 일치하였다. 소외를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자아 경계를 약하게 만들면서 타인(어머니)의 일부가 되어 어머니를 위해 사는 B는 연극치료 작업 안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연습을 하였다.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는 책임회피에서 책임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타인의 소망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것을찾기 위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연습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 사후 PIL 검사를 항목별로 분석하여 그 결과가 연극치료작업에서의 참여자의 변화와 동일함을 보여주었다는 점, 연극치료 작업과검사 방법에 있어서 삶의 의미를 찾는 일관된 관점을 적용한 점, 2박 3일의 캠프에서의 세세한 변화를 기록한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itive effects of drama therapies aimed at helping subjects find a meaning in life on potential teenage suicide cases by comparing them before and after the Purpose In Life (PIL) test. The program was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Finding a Meaning in Life,” for which the topic of the whole drama therapies focused mainly on “death.” Thinking of death makes people look back on their lives and helps them consider life in a more responsible way. The test used in the program was the PIL test, which measures subjects’ meaning and satisfaction in life. The body of the study give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visions used in the PIL test and the test participants’ changes during the drama therapy. The participants’ behavior was compared and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PIL test. Participant A scored 93 points on a 20-question pre-test, which rates each answer on a 7-point scale and the figure rose by 12 to 105 points on the post-test. Participant A has the tendency to stay away from or avoid his/her life, which in turn made him/her refuse to face himself seriously in the drama therapy. He/She, however, said that he/she knew the word “willingness” for the first time in the therapy, and was observed to have acknowledged his/her responsibility in life. In the post-test, participant A scored one more point on the category measuring “freedom” (13, 14, 18, respectively), and scored 2 more points on the category of “suicide” than in the pre-test. The test results found that participant A changed his/her attitude toward “freedom,” “responsibility,” and “suicide.” This matches up with the observation that he/she shifted from avoiding responsibility to accepting it during the course of the drama therapy. Participant B scored 74 points on a 20-question pre-test, which rates each answer on a 7-point scale and the figure grew by 15 to 89 points on the post-test.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on each answer confirmed what participant B was observed in the drama therapy. Participant B has a poor ego boundary, making himself/herself pat of others, such as his/her mother, and living his/her mother’s life. Participant B, in the drama therapy, was given a training of making his/her own voice heard in order to help him/her overcome alienation. Those participants attending the program designed to help them find a meaning in life shifted themselves from escaping responsibility to accepting it and began making their voices heard in order to find what they want instead of what others want them to do. Those participants attending the program designed to help them find a meaning in life shifted themselves from escaping responsibility to accepting it and began making their voices heard in order to find what they want instead of what others want them to do.

      • KCI등재

        치료적 공연의 배역선정 사례연구 -옛 이야기 활용을 중심으로

        현미자 ( Heun Mi Zza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6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6

        본 연구는 극단 이후의 치유연극 만들기 프로젝트 `다시-살다`공연에서의 참여자/배우의 배역선정과정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치료적 공연에서 배역선정은 그 자체가 참여자/배우 연극치료 작업과정이다. 따라서 치료 작업과정에서 이야기의 활용은 집단에 맞게 선정되고 활용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치료적 공연은 참여자/배우의 삶에 유익한 역할이 선정되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참여자/배우의 역할체계를 파악하고 참여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역할확장과 역할취득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다시-살다`에서 참여자들은 2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의 9명의 여성 집단에 맞는 이야기로 콩쥐팥쥐와 심청전 이야기가 활용되었다. 콩쥐 팥쥐 이야기는 결핍된 요소가 보완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자기실현 과정이기도 하다. 연극치료의 역할이론 관점에서 보면 콩쥐와 반대역할로서 팥쥐와 팥쥐 엄마를 경험함으로써 역할을 통합해나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심청의 이야기는 죄책감이 많고 사회에 유익한 활동을 하고자 하는 소망이 내재된 참여자들이 많아 선택되었다. 역할취득은 연극치료 작업과정에서의 동일시, 투사, 전이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구체적 사례를 통해 치료적 공연에서의 배역선정은 치료 작업 과정일 수밖에 없으며 치료 작업 과정에서 역할취득내적과정인 동일시, 투사, 전이가 작업과정에서 어떻게 일어나는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다른 치료적 공연에서의 배역선정의 방향을 미약하게나마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참여자/배우의 동의를 얻어 치료사의 분석만이 아니라 참여자의 진술과 함께 파악하는 사례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closely into the participants/the actor`s process of selecting role from a play `Live-again` which is a therapeutic play project from drama company `Ehoo`. In a therapeutic play, participant`s/actor`s process of choosing a role is a crucial part of therapeutic performance itself. Therefore, in the process of therapeutic play, the use of the story must be selected and utilized according to the target group. This is because therapeutic performance must consider each individual`s role as having the positive effect on their lives. To achieve this goal, we must have deep understanding of the system of the role for each participant/actor and must create expansion of each role as well as process of role acquisition to solve their problems. The participants of `Live-again` are 9 women ranging from late 20`s to early 50`s and selected folk tale `Sim-Chung-Jun` and `Kongji and Patzzi`, which are considered as suitable stories for them. `Kongji and Patzzi` also refers to women`s process of recovering feminity through complementing the deficient factors in inner-self. According to the role theory in dramatherapy, Kongji realize the opposite side and integrate her characters with playing the role of Patzzi and her mother Also, the story `Sim-Chung` was selected because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tions hold a lot of guilty feeling inside and hopes to contribute beneficial activities to the society. In a process of therapeutic play, acquiring a role is achieved through the consecutive precess of identification, projection and metastasis. This study shows through concrete case that the selection of role in a therapeutic play can only be a process of treatment. This study holds its meaning in which it shows process of treatment closely though specific case study that how the treatment process of identification, projection and metastasis happens to faintly provides other therapeutic play the direction in selecting roles. this case study is important because the therapist analyze a case in point with the statement and consent of the particip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