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허철구 국립국어연구원 2000 국어문화학교 Vol.- No.5
바른 문장이 있다면 바르지 못한 문장이 있다. 두 문장을 가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뛰어난 문필가가 쓴 멋들어진 문장이 있는가 하면 초등학생이 쓴 서툰 문장도 있다. 그렇다고 이 둘이 다른 문장과 그렇지 못한 문장으로 나뉘는 것은 아니다. (1)가. 그의 얘기를 듣고 인간의 위대함에 부풀었던 이상주의자는 뉘우침과 그리움으로 가득 찬 안간의 또 다른 모습을 보며 더 이상 봄날이 아름답지만은 않게 느낀다. 나. 대통력이라는 꿈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지는 않지만 어쩐지 한번쯤 내가 이 나라를 대표하는 대통령이 되고 싶은 생각도 있다. 위 두 문장은 실제로 저명한 문필가가 쓴 것과 초등학생이 쓴 것이다. 문필가가 쓴 (1가)는 사뭇 문장의 오묘한 멋까지 느껴지고 (1나)는 단조로운 솜씨가 느껴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오히려 우리는 (1가)가 아니라 (1나)를 바른 문장이라고 한다. 왜냐하면 (1나)는 우리말의 규칙과 질서를 잘 지키고 있는 반면에 (1가)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1가)를 보라. 이 문장을 요약하면 ‘이상주의자는 봄날이 아름답지만은 않게 느낀다.’가 된다. 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이라면 이 문장이 국어의 질서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나아가 ‘더 이상 봄날이 아름답지만은 않게 느껴진다.’처럼 동사를 피동형으로 고치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도 안다. 이러한 잘못 외에도 ‘인간의 위대함에 부풀었던’정도가 들어가야 자연스러운 문장이 될 것이다.
허철구 우리말학회 2011 우리말연구 Vol.28 No.-
본고는 ‘누구인가가 왔다’ 등에 보이는 ‘명사구 + 인가’ 구성을 대 상으로 그 형태통사적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조사 ‘인가’를 설정 하고자 하였다. 국어사전을 비롯하여 국어학계의 일반적인 견해는 ‘인가’ 를 조사로 인정하지 않고 ‘계사 + 어미’의 절 구성의 일부로 보는 것이다. 구문에 따라서 이와 같이 절인 경우도 있지만, 어떤 구문에서는 단순히 명사구에 조사 ‘인가’가 결합된 구성이 존재한다. 이런 구성은 절 명제가 아니라 명사성의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격조사가 결합하여 문장의 주요 논항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논의를 수용한다면 국어에는 조사의 목록에 ‘인가’가 새로이 추가될 수 있다.
허철구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6 No.-
The words involving endings are explained that they are formed at the syntactic component because they are syntactic units. It is certain that some words of the type are formed diachronically by frequent use, but all words cannot be explained by the mechanism. And the synchronic mechanism of head-movement or reanalysis is also problematic because of its excessive productivity. Add to this the motivation of the head movement(V-to-C) cannot be explained easily. If it is occurred for the purpose of making word, it may be not different to the word formation of the lexicon. So,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words involving the endings ‘ -eun/-n, -neun, -eul/-l ’, ‘ -a/eo, -ko ’ are formed at the lexicon. There are some phenomena which show the possibility of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First, some words are combined with suffixes, the lexical units, such as ‘jeolm -eun-i, eori-n-dungi, me -l-kkun ’ etc. In the examples, ‘ -eun, -n, -l ’ are endings, and ‘ -ne, -dungi, -kkun ’ are suffixes. Second, the acceptable syntactic forms of ‘gyeondi-l-him, jwi-l-buchae, etc’ are ‘gyeondineun -him, jwineun -buchae, etc’,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ords. So the words cannot be formed from the syntactic construction. Third, if the words involving endings are formed at the syntactic component, the endings should be keeping the meanings of inflection, i.e., tense or aspect. But the words ‘naneun -daramjwi, na-l-daramjwi’ do not keep the meaning of inflection, because they are synonyms although they involve the different endings ‘ -neun ’ and ‘ -i ’ of different meanings of inflection. These phenomena show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word formation rules of lexicon. So we can say that the words having the correspondent syntactic construction are not formed at the syntactic component at all times. Then, we must reply to the question ‘How can the endings introduced to the lexicon?’. The WFR of ‘XendingY→X+enging+Y’ can be understood as the grid of word, [X{ending}Y], and the endings are introduced at the lexicon by the gird. 국어 어미는 통사부의 단위이기 때문에 그것이 내부에 개재되어 단어는 통사적 구성으로부터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어 왔다. 단어가 통 사부에서 형성되는 기제로는 통사적 구성이 잦은 사용을 통하여 통시적으로 단어화되는 과정은 경험적으로 인정될 수 있지만 모든 단어가 그와 같은 기 제로 설명될 수는 없다. 또 통사적 구성이 공시적으로 핵이동이나 재분석에의하여 단어화되는 과정은 그 생산성이 지나치게 강한 점이 문제될 수 있다. ‘-은, -는, -을’, ‘-아/어, -고’ 등의 어미가 개재한 단어의 경우 어휘부에서의 공시적 단어 형성이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어휘부의 단위인 파생접사 가 결합한 예, 통사적 구성과 달리 시상적 의미가 관찰되지 않는 예 등을 통하여 여전히 어휘부 규칙의 존재를 보여 준다. 따라서 응하는 통사적 구성이 존재하는 단어라고 하여 항상 통사적 구성으로부터 도출할 수는 없 으며 어휘부의 규칙으로 형성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