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디지털정보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대상으로서의 디자인에 대한 고찰

        허진(Huh Jin),최성운(Choi Sung Wo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2

        21세기는 정보디자인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는 시대이다. 지금까지의 정보가 디자인의 목적이 아닌 전달 프로세스로만 인식되어 왔다면 지금 세계는 디지털 정보에 대한 정보의 가치성 효율성 그리고 기능성에 대한 디자인 역할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정보환경 속에서의 디자인 역할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타 분야에서의 디지털 정보환경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 구조분석에서부터 시작되는 반면 디자인 분야에서의 연구 경향은 대부분 정보디자인의 컨텐츠적인 제작 측면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강하다. 본 연구는 컨텐츠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이 아닌 의미론적 측면에서 접근해 보려한다. 이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디지털 정보환경에서의 정보의 개념과 디자인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물론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적 대상이다. 하지만 오늘날 디지털 정보환경에서는 디자이너와 디자인 대상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수용자 차원에서의 외적 커뮤니케이션이 더 이상 커다란 의미를 획득하지 못하고 있다. 변화된 디자인 환경에서의 물적 정신적 구성 요소간의 관계인 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디자인을 두가지의 커뮤니케이션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완전한 정보의 대상으로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정보환경이 실제적으로 디자인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 개념정리를 통해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The 21st century is the period of Informational Design. So far the information was regarded as a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than the own purpose of Design itself but now people starts to research the value & efficiency of the digital information and the design's role on the function. In Korea many people started to recognize the need of research for the role of Design in the Informational environment. The research about the digital informational environment has been processed based on the contents & making process in the Design area while it is processed by further fundamental principle in other area. This paper was studied based on a semantic approach not on the content. Firstly we will consider the definition of information & the direction of Design. The Design is a communicational object. However the exter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designers the object of design and the customers was not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oday's informational environment as the importance of the internal communication & the relation between material & mental formation is being raised. The contemporary Design needs the combination of external & internal communication to be more efficient informational object. Therefore we will study how the digital informational environment affects the design environment and will research the new direction of Design by defining the concept of the Design

      • KCI등재

        실험설계의 재현성 확보를 위한 EEG를 이용한 환경에 대한 반응 실험연구 분석

        허진 ( Huh Jin ),조지영(공동저자) ( Cho Ji Young(공동저자) ),조지영(교신저자) ( Cho Ji Young(교신저자)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2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20 No.6

        뇌 활동을 측정하는 툴인 EEG는 최근 들어 건축 혹은 실내디자인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환경 분야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의 재현성 확보를 위해 EEG를 사용한 환경 분야 연구의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방법을 종합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4편의 국내 선행연구를 연구 동향에 관한 1차 분석, 연구 설계 특성에 대한 2차 분석, EEG 실험 방법에 대한 3차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많은 연구가 색채와 조명에 집중되어 있고 특정한 가설 없이 자극에 대한 뇌파 자체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자극 제시 방식은 모니터로 이미지를 보는 경우가 많았고, 8채널로 측정하여 알파파와 베타파를 보고하는 경우가 대표적이었다. 그러나 어떠한 이론적 근거와 이유로 특정 부위의 특정 뇌파를 측정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은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재현성 확보를 위한 EEG 실험 계획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앞으로 환경 분야 EEG 연구의 발전을 위해 체계적인 틀 정립과 재현성 확보에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Electroencephalography(EEG), a tool to measure brain wave activities and frequency, has been recently used in environmental behavior research to understand the human response to diverse characteristics of built environment, such as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basis for EEG studies on the human responses to diverse qualities of physical environments to achieve reproducibility in research methodology. A total of 24 journal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o locate the following aspects: research trends, research design characteristics, and experimental settings.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color and lighting, many of them conducted with open inquiry without a particular hypothesis. Images rendered on computer screens were the most popular type of experiment stimuli. The reporting of alpha and beta bands obtained in eight channels was most popular; however, reporting the rationale for measuring certain parts of the brain and specific brain wave frequencies and providing theoretical basis for it were insufficient. A framework of EEG research consideration comprising of four stages was proposed. Making continuous efforts in building a systematic foundation of EEG experiment design and achieving reproducibility seem necessary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EG studies in built environments.

      • KCI등재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의 감성마케팅을 위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대한 고찰

        허진(Jin Huh)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9

        미디어의 확장은 인식의 확장과 맞닿아 있다. 문자의 발명은 시공간을 넘게 하였다. 기계는 육체의 기능확장으로 이어졌으며, 전기는 공간과 시간으로 확장되었다. 컴퓨터는 두뇌의 확장이며, 인터넷은 관계의 확장으로 이어졌다. 지금 이 순간에도 미디어는 바이러스의 변종증식처럼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으며, 컨버전스나 하이브리드와 같은 융?복합 현상으로 이어진다. 이제 미디어는 인간 의식을 대신하고 있다. 트랜스미디어는, ‘횡단’, ‘초월’, ‘관통’, 변화‘ 등을 뜻하는 ‘Trans’와 ‘Media’의 합성어로 현대사회 모든 미디어를 수용하는 ‘미디어를 초월한 미디어’를 뜻한다. 그러나 다른 융?복합 미디어와 달리 기술과 기술의 결합이 아닌 기술과 감성을 융합한다는 차별성을 가진다. 따라서 트랜스미디어는 스마트사회에서 중요시되는 디지털기술에 의한 인간의 ‘의식적 자각’과 인간 감성에 호소하는 ‘정서적 자각’을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사용자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 미디어로 인식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트랜스미디어의 개념을 알아보고 의식적 사고를 유발하는 사용자경험디자인의 역할과 감성마케팅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이 앞으로 개발자와 디자이너, 그리고 사용자와의 원활한 소통관계를 이루기 위한 개발단계에 있어 고려해야할 개념으로 이해되기를 기대한다. The expansion of media is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expansion of awareness. The invention of characters enabled mankind to cross over time and space. Machines led to the development of body functions and electricity led to the expansion of space and time. Computers are the extension of the human brain and the advent of the internet led to the expansion of relationships. Even at this moment, media is unremittingly progressing like a spread of a mutant virus, and has resulted in fusion and complex phenomena such as convergence and hybrid media. Transmedia is a compound word formed by the word “Trans” which means traverse, transcend, penetrate or change, and the word “Media” and has the meaning “media which transcends media” which embraces all of modern day media. However, unlike other fusion or complex media, it is different in that it is not a combination of technologies but a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emotion. Thus, transmedia should be recognized as a form of media that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from the user experience aspect as it must simultaneously satisfy both “emotional awareness”, which appeals to the human emotion, and “conscious awareness” of mankind, which arises out of the digital technology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smart-era societ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oncept of transmedia, and then examines the role of user experience design which triggers conscious thinking and strategies for emotional marketing. This study aims to be recognized as a matter for consideration with respect to the development stag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teady communication relationship between developers and designers, as well as communication with users.

      • KCI등재

        존 듀이의 트랜스액션을 통한 감성디자인 이해

        허진(Jin Huh)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과거 미디어를 통한 인식의 확장은 ‘정보’였다. 그러나 앞으로의 미디어의 주된 목적은 정보의 전달이 아닌, 정보를 통해 인식되어지는 개인의 ‘감성’과 ‘경험’의 가치공유에 목적을 두게 될 것이다. 현대에서 개인의 감성이 이슈화되기 시작한 것은 모더니즘 이념의 한계성과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시작된 인간사고의 자율적 인식의 팽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물질만능주의에 한계를 느낀 지금시대에 다시금 마케팅을 위한 기능위주의 감성적 접근이라면 우리는 인간 본연의 가치이며, 새로운 소통의 가치로 재인식되고 있는 ‘감성’이 한순간 유행처럼 끝날 수도 있다는 점에 유념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잠재된 인식작용인 감성의 개념을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 존 듀이의 ‘트랜스액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듀이의 트랜스액션이란, 인간과 환경간의 상호교호 관계적 활동과 거기에 수반되는 일체의 인식과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인간 감성과 사용자의 경험 그리고 환경을 유기체적 순환관계로 해석한다. 이러한 이해는 과거 주체와 대상간의 이분법적 소통의 한계를 벗어나 광범위한 환경에서의 인식의 관계를 확장함으로서, 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의식의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각도에서 감성을 공유하고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게 한다. In the past, the enlargement of perception through media was information. From now on, however, the primary objective of media is to consist not in conveying information but in sharing the values of emotion and experience that are perceived through information. Individual emotional becomes an issu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ideology of modernism and the pervasiveness of the autonomous perception in the human thinking that started in postmodernism. If we once again talk about a function-focused, sensible approach for the sake of marketing in the current era that has impinged on the limits of mammonism, we must keep in mind that emotion, presently retaken as the originary, human value and the value of new communication, may come to an end any time. Therefore, th current thesis is designed to examine John Deweys transaction as a method for figuring out the concept of emotion, the perceptional function latent in humans. Deweys transaction, which is a term that refers to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environment and the accompanying totality of perceptive process, interprets human emotion, user experience and environment as the organic, circular relationships. For such understanding, one must break out of the boundary of the past, dichotomous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o expand into the perceptional relations in a wider environment, in order to seek design methods that would help dismantle the borderline that has so far separated the developer from the user, share sensibilities, and express experiences.

      • 실험설계의 재현성 확보를 위한 EEG를 이용한 환경에 대한 반응 실험연구 분석 - 국내 선행연구 중심으로 -

        허진(Huh, Jin),조지영(Cho, Ji Young)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2 No.2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more interest in human health and wellbeing toward built environment, especially home where people spent the majority of their time. Electroencephalography (EEG), a tool to measure brain wave activities and frequency, has been recently used in environmental behavior research to understand human response to diverse characteristics of built environment, such as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rior EEG studies on human response to diverse qualities of physical environment to obtain a reproducibility of research methodology. A total of 24 journal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to locate the following aspects: experiment stimuli, research purpose, experiment setting, use of other data collection methods besides EEG, number of participants, part of brain where EEG was measured, and brain wave frequencies and indicators reported.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have focused on color and lighting. Diverse experiment settings included rendered images on computer screens, images of real environments, and VR head-mounted display. Reporting the rationale of measuring certain parts of the brain and specific brain wave frequencies and providing theoretical basis on it are necessary to achieve both reproducibility in futu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EG studies in built environment.

      • KCI등재

        볼프강 바인가르트의 구문론적 특성에 의한 타이포그래피 고찰

        허진(Jin Huh)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7

        현대 타이포그래피 발전의 토대는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형태적 기능성과 합리성에 가치를 두었던 모더니즘과 스위스국제타이포그래피 시대에 걸쳐 이루어 졌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넘어가면서 타이포그래피의 합리적인 기능성 보다 미학적 혹은 관념적인 부분까지 확대 해석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유행하였다. 실제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그래픽디자이너로 꼽히는 댄 프리드먼이나 에이프릴 그레이먼의 작품들은 모더니즘 시대의 작품들과 달리 그래픽디자인도 때로는 자율적인 예술표현의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 변화의 처음에 볼프강 바인가르트가 있었다. 그가 보여준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확장을 위한 다채로운 시도는 훗날 ‘뉴웨이브’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으며 그의 실험주의 정신은 오늘날 타이포그래피의 기능성과 조형성 표현에 획기적인 가치변화를 주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그의 선구자적 역할에 대한 가치평가가 아닌 그의 작품에 표현된 타이포그래피의 이론적 배경과 그에 따른 실험적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바인가르트의 작품배경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작가주의적 견해에서 비롯된것이 아닌 구문론적 이론에 근거한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확장을 위한 것임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in modern typography is based on the era of International Typographical Style and Modern Typography that valued morphological functionality and rationality to achieve an accurate conveyance of meaning. However, with the advance of postmodernism, the view that the aesthetic and conceptual aspect must be included in its interpretation rather than its rational functionality was prominent. Indeed, the works of Dan Friedman and April Greiman, two graphic designers that are known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post-modernistic era, displayed that graphic design works can also serve as a method for a more free artistic expression, unlike works of Modern Typography. This move towards aesthetic graphics was first started by Wolfgang Weingart. His various attempts at expanding the concept of typograp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New Wave and his experimentalist attitude brought about a ground-breaking change to the functional design and formative expression of modern typography. However, this thesis will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ographical designs displayed in Wiengarts works and the experimental methods thereof, and will not attempt to evaluate Weingarts pioneering role and achievements. Furthermore, this thesis will shed new light on the argument that the Weingarts works are not based on the authorship view of post-modernistic typography and are rather utilized to expand the concept of typography based on a syntactical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