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강 접근과 트로카를 이용한 하악 과두하부 골절의 정복과 고정

        허준영,김종윤,임재형,박광호,허종기,Hur, Jun-Young,Kim, Jong-Yun,Lim, Jae-Hyung,Park, Kwang-Ho,Huh, Jong-Ki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2 No.1

        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 occurs at 15-30% frequency of whole mandibular fracture. The treatment of choice is open reduction or closed reduction. In many cases, closed reduction is preferred for treatment of condylar fracture because it is hard to approach to condyle and there is risk of surgical complications, such as nerve damage in open reduction. Open reduction, however, has some advantages like possibility of anatomical reduction, occlusal stability and rapid functional recovery.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retain original ramal heights and to decrease deviation during mouth opening. There are many surgical approaches for open reduction of subcondyle fracture. At present, transoral approach using trochar device is tried for effective and minimally invasive method for open reduction of subcondyle fracture. And the authors report the cases of reduction of subcondyle fracture with transoral approach using trochar device.

      • KCI우수등재

        세종시 이전 기관 공무원이 경험하는 행정비효율성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의 적용

        허준영 ( Joon-young Hur ),권민영 ( Min-young Kwon ),조원혁 ( Wonhyuk Cho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3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에 따라 발생하는 행정비효율성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행정조직의 지리적 분산이라는 독특한 맥락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에 대한 이론화를 위해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공무원의 경험 및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종시로의 이전은 공직사회의 위계적문화와 대면중심의 관습 등 기존의 열악한 소통기반 하에 진행되어 소통비용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기술중심적 대응에 대한 공무원들의 불신으로 인해 타기관에 대한 원망과 업무방식에 대한 불만 등 부정적 결과가 초래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둘러싼 공무원들의 적응방식은 실무자, 중간관리자, 그리고 상위관리자 등 조직 내 역할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행정비효율성을 유발하는 조건과 그로 인한 결과를 개인, 집단, 조직, 그리고 국가 및 지역사회의 단위별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efficiency problem of Sejong-City based on the experience of public officials whose working environments have been drastically transformed by the New Administrative City policy of Korea. We attempted to theorize phenomena by applying grounded theory method. We found that the Sejong-City policy was implemented with an underdevelope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oth physically and culturally, which then generated huge costs i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central government bodies. Technology-centered responses from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regarding this problem have been ineffective due to the unprepared cultural, social, and physical systems of communication, which in turn caused resistance and dissatisfaction among officials. The adaptive behaviors and strategies of individuals are found to vary according to rank and position in the bureaucracy.

      • KCI등재

        측두하악관절에 발생한 융모결절성 활막염 :

        허준영(Jun-Young Hur),김종윤(Jong-Yoon Kim),임재형(Jae-Hyung Lim),전국진(Kug-Jin Jeon),김형곤(Hyung-Gon Kim),허종기(Jong-Ki Huh)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2009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 Vol.35 No.6

        Villonodular synovitis, also call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s the benign lesion with the characteristic of locally aggressive proliferation of mononuclear histiocyte and giant cell. Typically it involves single joint, especially about 80% of disease occurs in the knee joint.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is very rare disease. Differential diagnosis includes synovial chondromatosis and tumor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Optimal treatment consists of complete excision of the mass and removal of the synovium including adjacent affected bony structures. This is a case report of villonodular synovitis developed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KCI등재

        북한인권법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 다중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허준영 ( Joon-young Hur ),김지혜 ( Jihye Kim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1

        본 연구는 이념대립과 국제사회의 영향력이 전제된 대북정책의 결정과정 또한 정책학의 정책결정모형으로 설명이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여, 북한인권법 제정 사례를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s Framework)을 이용해 시기별로 정책결정 요인과 관련 행위자의 역할을 분석하고 모형의 적용가능성과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7대 국회(노무현 정부)에서는 국제적으로 북한 인권 문제가 부상하며 법안의 최초 발의까지 이루어졌으나 우호적 남북관계의 정치흐름과 결합되지 못한 채 임기만료로 법안이 폐기 되었고, 18대 국회(이명박 정부)에서는 국내외 법 제정 촉구압력이 강해지고 정권교체에 따른 남북관계 경색 및 한미공조 강화에 따라 국내외 정책중개인들의 영향을 통해 의제 설정에 이르렀으나 다수의 관련 법안들이 충돌하면서 정책 산출에는 실패했다. 한편 19대 국회(박근혜 정부)에서는 국내외 여론이 최고조에 이르고 대북여론 악화로 인한 야당의 입장변화로 합의안 형성의 계기가 마련됨과 동시에 정책중개인들의 적극적 입법노력을 통해 최종 정책 산출에 이르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념갈등과 국제관계가 얽힌 대북 정책의 입법과정도 다중흐름모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을 통해 대북정책에 대한 정책학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책의 특성상 각 흐름과 정책중개인 분석에 있어서 국제적인 수준의 영향이 추가로 포함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국내 차원의 분석을 전제하는 Kingdon 모형의 보완을 제안한다. Using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this study analyzed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NKHRA) in South Korea. The bill was first proposed at the 17<sup>th</sup> National Assembly urged by intense problem stream at international level. But the bill drifted and was discarded as problem stream was uncoupled with political stream. The 18<sup>th</sup> National Assembly succeeded in agenda setting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with domestic and foreign pressure to pass the bill and the change of government. However the bill was again discarded as numerous bills concerning human rights of North Korea and aid for North Korea collided. Finally, the 19<sup>th</sup> National Assembly passed NKHRA as three streams were coupled in which South-North relation was strained and the opposition party changed its position about NKHRA. From this analysis, we found that South Korea`s policy on North Korea which is largely affected by international relations and ideological conflict also can be analyzed with Kingdon`s Multiple Streams Framework. However we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about factors in each stream at international level.

      • KCI등재

        "일과 삶 균형" 저해요인에 관한 탐색적 이론화 연구: 세종시 중앙부처 공무원에 대한 근거이론의 적용

        허준영 ( Joon-young Hur ),권향원 ( Hyang-won Kwon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2

        본 연구는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통해 "어떠한 요인들이 한국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일과 삶 균형``을 저해하는지"를 질적·탐색적으로 이론화하였다. 이는 글로벌 맥락에서 ``일과 삶균형``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충분히 숙성되어 왔으나, 한국의 공공부문이라는 특수한 맥락 속 사각지대에 아직 미처 포착되지 않은 요인들(개념들)이 있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근거이론의 방법론적 논리를 바탕으로 ``중앙부처 공무원``이라는 한국적인 맥락이 반영된 특수한 상황을 바탕으로 한 질적·귀납적 이론화를 추구하였다. 분석결과 ``계약위반``, ``공정자각``, ``학습부담``, ``관계단절``, ``눈치행태``, ``체면행태``, ``실적주의``, ``대면주의`` 등 새로운 개념들이 탐색되었다. 아울러 새롭게 드러난 개념들과 기존의 이론들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가 기존의 ``이론적 앎``에 어떠한 기여점을 지니는지 아울러 논의하였다. This study qualitatively theorizes the factors hindering work-life balance among central government civil servants in Korea based on grounded theory. This is an effort to find new factors in the public sphere context in Korea that have not been sufficiently captured in myriad work-life balance research projects in the global contex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and also conducts intensive interviews following the logic of grounded theory with 32 civil servants working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new factors including contract violation, justice perception, learning burden, relational disaffiliation, and merit-based competition hinder the work-life balance of civil servants. The research also discusses the contribution of the findings to existing theory through comparing new findings with previous theories.

      • KCI등재

        신도시 건설과정에서의 주민갈등 사례연구

        허준영(Hur, Joon-Young),문지은(Moon, Jieun) 서울행정학회 2017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7 No.4

        행정수도로 지정된 세종신도시는 정부계획에 따라 2012년 이래 과반이상의 부처 및 소속기관, 해당 공무원과 가족들의 이주가 진행되고, 자족도시로서의 기반을 다지며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하지만 단기간 집중적으로 도시 건설이 이뤄지면서 대규모 이주·정착 과정에서 이주민과 원주민 집단 간 갈등이 나타나고 있어 갈등의 해결이 도시발전과 사회통합 제고를 위해 긴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세종시 주민갈등 사례들(법정동 명칭 변경, 신청사 건립계획, 성남중학교 교명 변경)을 선정하여, 주민통합을 위한 갈등관리적 측면에서 갈등의 구조적·관계적·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정된 세 가지 사례는 원주민과 이주민이라는 양분된 두 집단의 갈등을 중심으로 구조화되었고, 갈등관리의 주체인 행정기관의 예방적 갈등기능, 적극적 조정노력이 미흡한 채 갈등은 봉합되어 있는 상태로 머물러 있었다. 또한 신도시 갈등의 주된 속성인 개발에 따른 재산권 변화에 대한 인식과 보상, 이해관계 등이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했으나, 이주민과 원주민사이의 문화적, 정서적 정체성을 둘러싼 갈등이 도드라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치·경제적 이해관계를 둘러싼 전형적인 갈등 관리와 대별하여 문화나 정서 등이 이질적인 집단들의 정체성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의 경우 관리와 접근법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 The new administrative city, Sejong New Town, which serves as the administrative capital, has been designated as such by the majority of ministries and agencies and their families since 2012. Accordingly, as the new self-sufficient town, it is rapidly expanding. However, as construction of the new town concentra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following the government plan, the conflict between large-scale migrants and residents has emerged as a crucial task to foster conflict resolution and social integration. We selected typical three cases of conflict between migrants and residents in Sejong new town (Change of ‘Beopjeongdong’ name, plan for new city hall construction, change of Sungnam middle school name), analyzed these cases from the perspective on conflict management with structural, relational, and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conflict. Using case studies, this paper identified the structure of conflict centers around the two groups: migrants and residents, and the administrative agencies, which are responsible for conflict management, lacks preventive role and active coordination efforts, so conflicts remain unsolved. Also, we found aside from conflict about change in property right, interests and compensation, there were greater conflicts on cultural, emotional identities. It is likely that there will be different approaches to conflict management, unlike the conflict involving political or economic interests, the cultural or identity conflicts between disparate groups.

      • KCI등재

        인구구조변화와 거시경제 : 생애주기모형을 이용한 접근

        허준영 ( Joonyoung Hur ),박철범(논평),우진희(논평) 한국금융연구원 2021 韓國經濟의 分析 Vol.27 No.2

        본고는 인구구조 변화를 반영한 동태확률일반균형모형인 Gertler(1999)의 모형을 바탕으로 현실과 부합하는 재정정책 설정인 왜곡적 조세 및 재정변수들의 국가부채/총산출 비율에의 반응을 포함하도록 확장하였다. 기 구축된 모형을 바탕으로 인구구조변화가 2020년부터 2067년까지 우리나라 향후 거시경제 및 재정건전성에 미칠 순영향을 시산하였다. 이때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이 변동하는 경우, 정년연장이 시행되는 경우 및 재정당국이 국가채무/총산출 비율에 반응하는 정도를 변화시킬 경우 등의 경제 환경과 정책 변화를 고려하여 각각의 경우에 예상되는 영향을 모형에 근거하여 예측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생산성 증가율은 총산출의 반응과 양(+)의 관계를, 국가채무/총산출 비율과는 음(-)의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낮은 생산성 증가율은 재정건전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국가채무/총산출 비율은 은퇴연령이 상승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재정변수의 부채비율 반응도가 현재보다 약한 경우 향후 예상되는 총산출은 현재의 정책을 반영한 경우보다 증가하나 국가채무/총산출 비율 또한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재정건전성과 경제성장률 사이에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러한 트레이드-오프는 정부지출보다는 왜곡적 조세의 경우 더욱 강력하게 관측되어, 왜곡적 조세 증가를 통한 국가채무 관리는 정부지출 감소보다 재정건전성 달성에는 용이하나 경제성장률 미치는 음(-)의 효과 또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현실 정책 수립시 재정당국의 정책 선호가 재정건전성보다 총산출에 주어져 있을 경우에는 자산세율을 통한 재정건전성 달성이 더욱 합당할 것으로 보이나, 반대의 경우에는 정부지출을 조절하여 두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assesses the macroeconomic impacts of changes in demographic structure for Korea. To this end, I augment th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of Getler (1999) with distorting taxes and fiscal rules responding to the government debt-to-GDP ratio. By incorporating expected demographic changes from 2020 to 2067, this paper attempts to net out their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conomy and its fiscal soundness. In doing so, three alternative scenarios are considered which reflect potential changes in the macroeconomic environment or policy responses to the demographic shift: (1) alternative productivities; (2) delayed retirement ages; and (3) changes in the fiscal authority's policy preference between promoting macroeconomic performance and stabilizing government debt. The main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ductivity enhanc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macroeconomic performance, but a negative impact on the debt-to-GDP ratio. Second, a delayed retirement age tends to reduce the projected debt-to-GDP ratio. Finally, if the fiscal variables respond to the debt-to-GDP ratio more weakly than at present, both the projections for both GDP and the debt-to-GDP ratio are higher than the case without the policy change. This finding indicates a trade-off between economic performance and fiscal soundness. The empirical results also show that the trade-off of policy changes is more pronounced for distorting taxes than for government outlays. An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the appropriate tool to achieve fiscal soundness hinges critically upon the fiscal authority's preference between promoting economic performance and managing government debt. If the latter objective is preferred, distorting taxes are a better tool to manage the debt-to-GDP ratio. This conclusion, however, is reversed when the former is the main concern of fiscal policy-lowering government debt by retrenchments of government outlays is likely to mitigate the adverse economic effects of the policy.

      • KCI등재

        비자발적 이주와 주민갈등 - 문화충격(culture clash) 관점에서의 탐색적 사례연구 -

        허준영 ( Joon-young Hur ),문지은 ( Jieun Moon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2

        본 연구는 세종신도시 건설로 인해 비자발적 동기로 이주하게 된 공무원과 부양가족 등 이주민과 토박이 원주민간의 주민갈등의 쟁점을 살펴보고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양 집단의 상이한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말미암아 마치 문화충돌처럼 발생하는 갈등의 기저를 파악해 내기 위해 심층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FGI)가 활용되었다. 갈등의 쟁점은 정치(대표구성), 경제(예산배분), 사회(지역사업), 문화(상호인식) 등 4가지 영역으로, 각 영역의 쟁점은 Moore의 갈등주기분석모델과 Mayer의 정체성 기반수요 논의를 결합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갈등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의제확산경로의 차이로 인한 사실관계의 왜곡(사실관계 갈등), 예산 등 한정된 자원의 불균형 배분 및 집행(이해관계 갈등), 정부계획의 번복, 힘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불합리한 제도적·구조적 시스템 생성(구조적 갈등), 관계형성의 어려움으로 인한 불신, 오해, 편견의 발생(관계상의 갈등), 문화 등 가치관 차이로 인한 지역공동체 응집력의 차이(가치관 갈등), 사회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지역정체성 형성의 차이(정체성 갈등)가 주민 간 갈등의 기저에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종시 주민 간 갈등은 가치관과 정체성 갈등이 도드라지면서 사실관계나 구조 갈등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문화나 정서 등이 이질적인 집단들의 가치관과 정체성 문제로 인한 갈등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과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causes and key issues of conflict between immigration officials and long-lived residents in Sejong New town. Migration begun with involuntary motivations under government policy, it also caused a cultural clash between newcomers and long-term residents with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key issues arising from each area were diagnosed by using the conflict analytic framework, which was combined with Moore`s the circle of conflict model, with Mayer`s identity-based dema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GI) between migrants and indigenous people, and then derived from the issues of conflict which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politics (representative composition), economy (budget allocation), society (local business), and culture (mutual awareness). Based on the key conflicting issues of each of these categories, we attempted to draw up the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Moore`s model and Mayer`s identity-based demand. The results have shown as follows. There was a deep-rooted discrepancy in the agenda diffusion path, resulting in the distortion of the fact relationship (conflict in fact), unbalanced distribution and enforcement of limited resources such as a budget (conflict in interest). Also, there was a reversal of government plans, building an irrationa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 system, due to imbalance of power (conflict in structure), differences in local community cohesion due to differences in cultural values, or identity etc., (conflict in identity) at the base of the conflicts.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deal with the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s of Sejong New town, and emphasize the management of conflicts, concerning values and identity issues in heterogeneous groups. These conflicts eventually may effect another factual or structural conflict.

      • 신종위험의 예측 및 대응을 위한 국가 위기관리 전략 연구: 코로나19 사례를 중심으로

        허준영 ( Hur Joon-young ),김세진 ( Kim Sejin ),이주호 한국행정연구원 2021 기본연구과제 Vol.2021 No.-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 전 세계적인 신종위험 발생 가능성 증대 및 국가적 위협 증가 ○ 전 세계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종전염병 코로나19로 인한 막대한 피해상황으로 인해 근래 증가하는 다종다양한 신종위험에 대한 경각심이 제고되고 있음 - 세계경제포럼(WEF, 2020)은 「The Global Risks Report 2020」에서 이상 기변, 기후변화 대응 실패, 자연재해, 생물다양성 손실, 인간 유발 환경 재난 등을 미래위험 요인으로 보았음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1) 또한 「Future Global Shocks: Improving Risk Governance」에서 재정위기, 사이버 위험, 감염병 대유행, 지자기 폭풍, 사회불안 등의 위험을 제시함 ○ 전 세계적으로 신종위험을 선제적으로 예측, 모니터링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 국가 차원과 글로벌 공조 차원에서 신종 위험이슈를 선제적으로 예측, 상시 모니터링, 적절히 대응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국가 존립 및 지속가능 발전의 핵심 요인으로 꼽히고 있음 - 한국 또한 신종인플루엔자(2009), 메르스(2015), 코로나19(2020) 등 신종 감염병 발생과 포항지진(2017), KT 아현지사 화재 및 통신대란(2019) 등의 신종 위험으로 큰 피해를 입은바 있어 선제적 대응과 관리를 위한 제도 및 관련역량의 확보가 요구됨 □ 신종위험 관련 제도 및 운영상 한계 ○ 현행 정부의 재난안전관리 체계는 재난 유형별, 소관부처별로 나뉘어 복합적 위험요인 발생에 대한 상호 연계 대응이나 신종위험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 어려움 - 범정부적 차원에서 위험요인의 연계성과 복잡성을 고려한 전략 수립 및 대비가 필요함 ○ 코로나19 등의 신종위험에 대한 예측을 통해 전개과정의 마스크 수급, 집단 감염, 병상확보 등의 문제에 대비할 수 있었다면 보다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통해 피해를 더 줄일 수 있었을 것임 - 예측 및 대응 시스템의 평시적 확보가 신종위험관리를 위해 요구됨 □ 미래지향적 신종위험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 ○ 위험예측과 관련해 고도화된 신기술과 혁신적인 방법으로 위험 예측 기반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위험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범정부적 전략과 거버넌스 마련 방안 모색이 시급함 - 위험예측기술, 미래재난연구방법론 등을 활용한 미래위험 예측·모니터링의 국가 전략, 시스템 및 관리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신종위험에서 비롯된 국가재난 대응과정의 예상 문제점을 모니터링하고 정책대안 산출 및 의사결정 지원을 할 시스템이 필요함 □ 본 연구는 급증하는 신종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미래 위험예측 및 대응 기반의 위기 관리 전략과 시스템,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하고자 함 ○ 신종위험으로 인한 환경 변화와 중장기적 미래 위험의 발생 가능성 및 전통적 거버넌스의 한계를 분석하고자 함 ○ 신종감염병 코로나19의 예측 및 대응 과정에서 국가별 위기관리 전략 및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고자 함 ○ 신종위험에 대한 미래 위험 예측 및 대응을 위한 범정부 국가위기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하고자 함 2. 이론적 배경 □ 위험 환경의 변화와 함의 ○ ‘위험’은 실질적 피해의 발생이 아니라 잠재적 피해의 존재를 의미함 - 위험요인의 선제적 제거와 공동체의 취약성 보완을 통하여 ‘위험’을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것이 가능함 ○ 미래의 위험 환경은 사회적·기술적·경제적·생태적·지정학적 측면에서 급격하게 변화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다양한 신종위험의 등장을 촉발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제기됨 □ 신종위험과 미래위험 관리 ○ ‘신종위험’은 기존의 전통적인 위험이 새롭게 ‘발견된’ 경우와 전혀 새롭게 ‘생성된’ 경우를 포함함 ○ ‘신종위험’은 ① 발생 예측 및 피해 규모의 추산이 어려운 ‘불확실성’, ② 피해규모 면에서 대재앙을 초래할 수 있는 ‘파국성’, ③ 유사한 위험에 대한 경험이 부재한 ‘무경험성’, ④ 해당 체제의 일부가 아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체제성’ 등을 특징으로 함 ○ 재난 발생 이전 예방과 대비 등의 ‘사전적’ 조치를 강조하는 ‘위험관리’와 재난 발생 이후 대응과 복구 등의 ‘사후적’ 조치에 초점을 맞춘 ‘재난관리’는 상호독립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관계이기 때문에, ‘위험관리’와 ‘재난관리’를 통합하여 ‘신종위험’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함. - ‘위험관리’와 ‘재난관리’는 절대적인 차이에 의한 구분이라기보다는 상대적인 강조점의 차이에 의한 구분임 - UN의 경우, Prevention & Mitigation과 Preparedness에 초점을 맞춘 ‘위험 관리’와 Response와 Rehabilitation & Recovery에 초점을 맞춘 ‘재난관리’를 통합한 센다이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음 ○ 신종위험 관리 방안은 ① 위험 제거 방안, ② 위험 완화 방안, ③ 위험 이전 방안, ④ 위험 감수 방안으로 구분될 수 있음 3. 정책 및 사례분석 □ 신종위험 환경 변화에 따른 미래 위험의 예측·대응을 위해 신종위험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범정부 전략과 거버넌스 체계, 시스템 및 역량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 신종위험 환경분석 ○ 신종위험 환경분석은 1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신종위험 정의 및 관련 사회이슈에 대한 위험평가를 실시함 - 신종위험은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피해를 가져오거나 현재의 관리체계 범위를 넘어서는 위험으로 불확실성이 높아 재난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위험요소로 정의 - 신종위험 관련 사회이슈로 감염병, 기후변화, 초연결사회, 인공지능, 수자원 부족, 노후화, 유전자기술, 고도(도시)화, 고령화, 방사능, 부동산붕괴, 환경오염, 사회갈등, 미세먼지, 인포데믹의 순으로 중요성 판단 - 신종위험 위험관리 시급성 측면에서는 감염병과 기후변화가 가장 높고, 인공지능 이슈, 노후화·고도화 이슈 부각 ○ 신종위험의 예측 및 대응 관리 상의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 - 경험 중심의 통상적 위험관리 방식으로는 대응태세가 낮고, 위험관리 역량 대비 위험 예측 역량이 낮음 - 신종위험의 중요성에 초점을 둔 포괄적·통합적 위험관리가 부재하며, 기존 위험관리 방식으로 시급성에 치우친 대응에 국한되어 있음 - 정부 차원의 불확실성 관리 모델이 부재한 가운데, 관련 모델이 있더라도 의사결정에 지원이 되지 못하며, R&D기술 개발 접근성 또한 낮음 - 모든 위험의 예측 대비는 한계가 있으며, 회복탄력성 관점에서 정책 반영 부재가 가장 큰 문제로 제시 □ 신종위험 분석 및 중장기 과제 도출 ○ 신종위험 분석 및 중장기 과제 도출을 위해 전략·거버넌스·시스템·역량 측면의 정책영역별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2차 전문가 델파이 조사 실시 ○ 관리 패러다임 전환, 법제도 정비 전략, 조직관리 개선 전략, 협업·소통 강화 전략, 역량 강화 전략 차원에서 정책과제 제시 - 신종위험에 대한 국가위기관리 전략은 국가 단위에서 새로운 접근 전략 요구 - 현행 조직 중심의 변화보다는 신종위험 예측 및 대응을 위한 예측시스템과 협업구조 구축 필요 - 전문가 그룹의 관리와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시스템과 함께 우수한 이력의 양성과 역량 기반의 교육운영 체계 확립 필요 □ 한국의 코로나19 사례 분석 ○ 예측 관련 법제도·거버넌스 - 신종위험의 예측 관련 법적 근거로 국가위기관리기본지침(대통령훈령 제388호),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법률 제15764호) 제38조(위기경보의 발령 등), 제38조의2(재난 예보·경보체계 구축·운영 등)이 존재함 - 신종위험 예측 거버넌스는 청와대(국가위기관리센터), 행안부, 위험유형에 따른 각 부처로 구성 - 행안부 사회재난정책과는 매주 재난안전 위기징후 관련 정보를 취합 보고하며, 재난 주관기관으로서 자체 위기평가회의를 운영하여 결과에 따라 위기경보를 발령함 ○ 대응 관련 법제도·거버넌스 - 신종위험의 대응 관련 법적 근거로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34조의5(재난분야 위기관리 매뉴얼 작성·운용)이 있으며(보건복지부, 2019: 9), 감염병 등 위기 유형별 각각 관련 근거가 존재함 - 신종위험 대응 거버넌스는 위기경보 수준에 따라 대응이 달라지며, 재난총괄부처인 행안부처와 재난유형별 주관 부처를 중심으로 대응이 이뤄짐 ○ 예측과 대응의 연계 접근 - 2015년 메르스 사태의 경우 법제도와 거버넌스에서 예측과 대응이 이분법적으로 나눠여 연결고리가 명확하지 않았음 - 메르스나 코로나19 등의 신종재난은 과정 중에 새로운 이슈가 도출되고 재난양상이 달라지며, 지속적인 예측과 대응의 연계가 필요한 상황임 - 발생시기의 불확실성이 큰 신종위험의 경우 위험징후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하여 확산 등 전개 관련 예측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함 - 예측과 대응의 연계 접근은 감염병의 경우 ① 발생 전 선제적 위험 예측과 대응, ② 감염병 유입시기 위험 예측과 대응, ③ 감염병 확산시기 위험 예측과 대응으로 나뉠 수 있음 - 코로나19의 경우 중국 최초 발견 이후 한국에서의 첫 번째 확진자 발생 전까지, 최초 확진자 발생 이후부터 1차 대유행 전까지, 그리고 신천지 등 대구경북 확진자 폭증시기 이후를 각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음 ○ 시사점 - (전략) 한국의 코로나19 신종위험 관리는 봉쇄 조치를 취하지 않고도 효과적인 억제전략의 활용으로 집단감염 발발 등 위험의 발생 가능성과 위험 취약성을 수용 가능한 수준에서 관리하여 극복하는 위험완화(risk control) 전략으로 분류될 수 있음 - (거버넌스) 정부는 코로나19 재난상황이 장기화되면서 단계별로 거버넌스를 조정 및 격상하여, 첫 확진자 발생 후 위기단계 ‘경계’ 상향 및 보건복지부 중수본·질병관리본부 방대본 확대 운영, 신천지 집단감염 발발 이후 위기단계 ‘심각’ 상향 및 범정부 차원 대응 기관으로 중대본을 설치 운영하였으며, 관계 장관회의에서 주요 의사결정을 진행함. 거버넌스의 유기적 운영 제고를 위해 중대본-중수본-방대본 체계의 유기적 조정 및 소통 강화가 필요함 - (시스템) 개별 기관이 예측·정보 취합·의사결정 지원·의사결정을 포괄할 수 있는 미시적 수준의 결정을 넘어서, 다양한 기관들이 기능별·기능 세분화를 통해 참여하는 거시적 수준의 결정에 있어서 역할 분배와 협업 등 유기성 강화가 필요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할 연구·분석 기관이 배치되어야 함 - (역량) 신종위험 관리를 위한 예측과 결정 연게에 있어서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 사태 이후 위기징후 예측센터를 신설하는 등 조직차원의 기능을 강화하여 운영해왔으나, 지자체별 역학조사 신뢰도 제고를 위한 별도의 역학조사기관 설치, 분석·정책결정 지원 씽크탱크 마련, 인력 확보가 보완점으로 제기됨 □ 주요국의 코로나19 사례 비교 분석 ○ 비교분석 대상 및 주안점 - 대상 ㆍ재난관리의 선진성과 한국(’20년 1월 20일)과 유사한 유입 시점을 기준으로 독일, 일본, 미국을 비교 대상국가로 선정함 - 주안점 ㆍ신종위험 예측과 대응 관련 법·제도 및 거버넌스, 시기별/이슈별 예측과 대응 시스템 실태, 관련 조직/개인 역량 ○ 비교 분석을 통한 시사점 - 시기별 주요 이슈 ㆍ(위험 발생 전) 원인불명의 바이러스를 조기 인지·판별하는 이슈가 공통적이었으며 더 나아가 진단키트 개발 등 선제적 대응 노력을 보인 국가들(한국, 독일)도 존재함 ㆍ(위험 유입기) 첫 확진자 발생과 결부되며 해외 감염원 차단을 위한 격리시설 운영, 공적 마스크 배분이 주요하게 다루어짐 ㆍ(위험 확산기) 대규모 감염으로 인해 적극적인 방역조치와 재난지원금 등의 지원책이 모색됨 - 국가별 대응 상의 특징 ㆍ(전략) 한국은 위험완화로 코로나19 위험의 감소를, 독일은 위험완화를 원칙으로 하되 관리 범위를 넘어갈 경우 간헐적인 락다운을 통한 위험제거를, 일본은 초기 위험완화에서 이후 위험감수를, 미국은 위험감수를 적극 활용하는 등 상반된 전략을 활용함 ㆍ(거버넌스) 한국은 기존 시스템인 관계장관회의에 중대 위험발생으로 중대 본간 유기적 연계를, 독일은 기존 내각과 코로나 대/소내각의 연계를, 일본은 전문가회의를 통한과 의제 설정에 따른 신형감염병대책본부 대안 결정을 연계하였으며, 미국은 연방과 주정부의 협력 문제로 전체적 조정 기능이 작동하지 못함 ㆍ(시스템) 국가별 위기징후 감시·모니터링으로 위험요인을 탐색·대응하였으나 공통적으로 비방역 분야인 사회경제적 요인에 대한 정보 취합·분석 등이 미흡하였음 ㆍ(역량) 기관 차원에서 종합적 예측·분석 및 조정 역량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개인 차원에서는 전문성 있는 인력 증원·교육 훈련 등 질적 제고와 함께 전략기획·분석·소통 역량의 요구를 확인함 4. 정책대안 □ 신종위험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목록 도출과 우선순위 결정 ○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차와 2차 델파이 조사와 국가별 코로나19 대응 사례연구에서 도출된 신종위험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전략, 거버넌스, 시스템, 역량 영역별로 명확화·구체화하고, 영역별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포괄적 목록을 도출함. ○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영역별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음 ○ 4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3차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전략, 거버넌스, 시스템, 역량 영역별로 작성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목록 중에서 우선순위(1순위, 2순위)를 도출함 ○ 전문가들이 각 영역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의 1순위와 2순위를 종합하면 다음과 표와 같음 □ 범국가 차원의 신종위험 전략 방안 ○ 신종위험에 대한 국가차원의 총력대응 - 포괄적 안보위협 대상으로 격상 ㆍ신종위험은 대규모적인 피해와 불확실성이 높고 복합적인 성격 때문에 국가적 차원의 총력대응이 필요한 상황 - 신종위험 선포권자 위상 제고 ㆍ국가적 심각 상황이므로 의사결정 주체는 행안부장관이 아닌 대통령이 될 필요(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36조 개정안 제안) - 관리가능성을 고려한 전략 채택 ㆍ사후적인 위험완화 전략을 핵심 전략으로 설계, 위험 예측을 통한 위험의 사전 차단을 위한 위험제거 전략의 보완적 통합 ○ 전(全) 국가적 전략계획의 내실화 - 법적 근거 마련 ㆍ신종위험의 예방 관리를 위험 감지(detection) 및 분석으로 구체화시킬 필요(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3조 3의2 ‘예방’ 개념 신설 제안) - 국가안전관리계획 수립시 적용 ㆍ국가안전관리 계획 수립시 상시적 위험평가 및 위험 보고서 작성 등 신종위험의 예측과 대응 추가(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22조 개정안 제안) - 기능중심의 통합적 재난관리의 구체화 ㆍ신종위험의 불확실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소관 부처별로 담당 재난 유형 대응 계획 외에도 관련 협업 기능관련 계획을 구체화 필요 □ 신종위험 거버넌스 구축 방안 ○ 범(汎) 사회적 거버넌스의 협력 체계 구성 - 신종위험 관리를 위한 민간협력위원회 구성 및 운영 ㆍ중대본의 정책결정을 전문적으로 자문하고 지원하는 기구로 민간, 국내외 전문가, 국제기구 둥 포함(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14조 개정안 제안) - 체계적인 위기징후 관리 체계 구성 및 운영 ㆍ재난관리주관기관별 위기징후 탐색·분석 조직 구성으로 전문적인 예측담당 및 행안부(사회재난대응정책과)의 위험 우선순위 취합·공유 체계 활성화 ○ 중앙과 지자체의 협업형 재난관리 체계 구축 - 법적 근거 마련 ㆍ중대본 회의 참여자로 지자체를 명시함으로써 지방의 책임성 강화 및 협업 촉진기제 마련(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16조 개정안 제안) - 중앙과 지자체 담당 인력의 상호 학습기회 제공 ㆍ매 2년 실시되는 재난관리자 및 실무자 보수교육시 중앙과 지자체 공무원을 혼합편성하여 신종위험 관련 협업사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훈련 실시 □ 체계적인 신종위험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 ○ 범(汎) 정부적 의사결정 플랫폼 구축 - 범 정부적 의사결정·공유 시스템 고도화 ㆍ국가위기 영상회의 시스템을 통한 효율적 의사결정 플랫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기구와 해외 전문가 접속을 위한 보안문제 해결 등 고도화 필요 - 상시적 전문가 활용 DB 구축 및 활용 대비 ㆍ상시적 위험관리 전문가 탐색 및 관련 DB 연계, 업데이트를 통한 다종다양한 신종위험 관련 정책자문pool 확보 및 관리 필요 ○ 오픈 정책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구축 및 운영 ㆍ중대본-중수본-지대본 등 각 수준을 포괄하여 신종위험의 의사결정 지원을 뒷받침할 싱크탱크 역할의 연구협의체 구성을 통한 오픈 정책결정 지원 시스템 운영 및 정기적 국가 위험 보고서 발행 필요 - 신종위험 데이터 연계 시스템 구축 및 운영 ㆍ재난안전데이터 연계시스템 마련을 통해 실시간으로 신종위험 데이터 소통 및 협업 촉진 필요(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74조의 4 개정안 제안) □ 신종위험 대응을 위한 전문역량 확보 ○ 조직의 역량 강화를 통한 전문성 제고 - 신종위험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기관 지정 ㆍ신종위험으로 유발되는 광범위한 사회경제적 파급 영향 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전문기관의 지정 및 운영 필요 - 재난관리주관기관의 자체 위기감지 역량 강화 ㆍ신종위험 판별을 위해 재난 유형별 주관기관이 소관에 따른 징후관리와 모니터링 감시, 평가역량 강화로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위험 감지와 예측 제고 ○ 전문 인력의 인재풀 구축 및 역량 강화 - 신종위험 대응 캐비넷 조직을 통한 인력 관리 ㆍ재난별 대응 경험과 역량을 축적한 인력에 대해 명부 및 이력을 기록·관리하여, 유사 재난의 발생시 적합한 인력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실무 배치 - 전문성 확보 및 활용을 위한 인센티브 마련 ㆍ신종위험 대응 역량 축적을 위해 보직의 유지 및 역량 축적에 대한 승진시 우대, 근평시 일정부분 이상 보장 등 제도적 차원의 인센티브 조치 필요 - 신종위험 전문가 양성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ㆍ위험 평가(risk assessment)와 관련된 표준화된 지침과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신종위험 전문가의 육성 과정 설치 Emerging risks are new and unforeseen dangers with potential adverse effects that are catastrophic in scale. Although emerging risks have become more frequent recently, few countries are prepared to detect, monitor, and manage them effectively. For example, the Covid-19 outbreak clearly demonstrated that most countries are unprepared to respond effectively to emerging risks. Although the Covid-19 pandemic has created unprecedented social and economic losses, most countries are still struggling to mount an effective response.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need to formulate a comprehensive national strategy to better prepare and respond to other emerging risk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academic research on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ational crisis management strategy to accurately predict, carefully monitor, and effectively respond to emerging risks.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investigating how the Covid-19 pandemic, a recent example of an emerging risk, was handled around the world and what policy lessons can be drawn from this crisis. To accomplish this purpose, we employ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after defining the meaning of emerging risks and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horizontal scanning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changing risk environments and identify major emerging risks that may become critical threats in the future. Second,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case study by examining how four developed countries (the United States, Germany, Japan, and South Korea) designed and implemented a wide range of policies to combat the Covid-19 pandemic and identifying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ountries. We also assessed which policies were most effective in tackling the Covid-19 pandemic. Third, we conducted a series of Delphi surveys to identify major problems associated with predicting, monitoring, and responding to emerging risks, to develop policy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and to establish policy priorities. Fourth, we held several expert meetings to discuss how to develop solid risk-forecasting and risk-coping policy prescription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our horizontal scanning, Delphi surveys, country case studies, and expert meetings, we proposed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national strategy for predicting, monitoring, and responding to emerging risks. Firs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a whole-of-government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plan for forecast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emerging risks. For example, it should lay the legal foundation for all government departments and agencies to be able to take concerted action to prevent and mitigate emerging risks. Second, it should establish an effective governance system that can promote intersectoral and intergovernmental collaboration in tackling emerging risks. It is thus important to establish a permanent committee to encourage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Third, it should build a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to facilitate rational decision-making in response to emerging risks. In particular, common government platforms, information sharing, and open decision-making are necessary to respond effectively to emerging risks. Fourth, it should improve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the public agencies that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emerging risks. For example, developing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and providing incentives for those who manage emerging risks could be very helpful for improving their expertise.

      • KCI우수등재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허준영 ( Joon Young Hur ) 한국행정학회 2012 韓國行政學報 Vol.46 No.1

        본 연구는 통일 전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정책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남한의 북한이탈주민 통합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찾으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주민 통합개념과 서독의 동독이탈주민 통합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해 보고, 정치·경제·사회적 변화와 이탈주민의 영향에 조응한 서독의 통합정책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검토한다. 연구결과 분단 기간 동안 상당한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통합정책의 기본골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점진적으로 개선되었으며, 시민사회 특히 사회복지단들이 통합정책의 주요 행위자로서 상당한 역할을 수행했다. 아울러 서독의 통합정책은 직업을 매개로 노동시장 통합을 통한 장기적 관점에서의 사회통합을 지향하였고, 정부의 책임과 역할은 사회정책원리에 근거해 있었다. 이러한 서독 통합정책의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서독의 경험이 한국에 어떠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West German policy on the integration of East German refugees from the end of World War II to German reunification and attempts to obtain usefu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policy for North Korean refuge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of integration as well as West German integration policy as i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chronically analyzes the West German integration policy for East German refugees. German integration policy is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hanges during the study period and as a reaction to the influence of East German refugees on West German societ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our points are meaningful as characteristics of the West German integration policy. They are 1) the stability of the policy in spite of unstable environments, 2) the engagement of civil society, especially the top welfare institutions with their organizations, as important policy actors, 3) the stress of occupational integration as the key concept of West German integration policy for further social integration, and 4) the principles of social policy as the standard of the responsibility and role of the West German governm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implication of the German experience for integration policy to South Korea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