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의 선전영화 상영과 문화냉전의 귀결

        허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s prolonged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which lasted from 1964 to 1973, has received continuous scholarly attention due to its profound impact on the modernization path pursued during the same period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divided state system of South Korea in 1972. This article departs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of focusing on the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aspects of South Korea's involvement in the Vietnam War and situates it with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Cold War. This shift in perspective sheds light on the R.O.K military as both an active actor in the East Asian Cold War, particularly the cultural Cold War, on the battlefields of South Vietnam, and as an actor in the Cultural Cold War's dissolution. On the battlefield in South Vietnam, the R.O.K military used the medium of film to wage a parallel psychological and cultural cold war. the R.O.K Army units had to focus on mass psychological warfare; the main medium for this was movie screenings. R.O.K Army units in South Vietnam actively screened films introducing South Korea to the population in controlled areas with support from ‘the National Film Production Center(국립영화제작소)’. Interestingly, the film medium did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R.O.K military’s war in civilian psychology until the late 1960s, but in 1970 and 1971, the number of screenings and attendance increased dramatically. The reasons behind the surge in the R.O.K’s propaganda films were the changing cours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due to the U.S. government's Vietnamization policy, which led to a re-contextualization of ‘Development and Security’ of the main agenda of the R.O.K’s propaganda films. 이 글은 베트남전쟁에 개입한 한국군을 남베트남 전장에서 벌어진 문화냉전의 주체로 조명한다. 냉전시대 진영의 형성 과정은 적과 동지를 만들기 위한 선전과 심리전을 동반했고, 진영의 경계를 긋기 위한 열전이 치열하게 벌어졌던 남베트남 전장도 예외는 아니었다. 베트남전쟁에서 한국군은 대민심리전에 관심을 쏟아야 했고, 영화 매체를 활용한 한국군의 대민심리전은 문화냉전의 성격을 강하게 띠었다. 한국군은 한국을 모범적인 발전을 성취하는 자유진영 국가로 선전하는 영화를 상영했다. 한국군의 선전영화 상영이 미국의 탈베트남전 정책이 본격화되고 박정희 정부가 새로운 개발특수를 적극적으로 모색한 때에 급증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한국군은 남베트남 전장에서 능동적으로 문화냉전을 벌였던 주체이자, ‘진영 강화’보다 ‘국익 극대화’를 중시하며 문화냉전의 성격을 변화시킨 주체였다. 박정희 정부의 탈베트남전 정책은 동아시아 냉전의 내재화였고, 이는 ‘1972년 분단국가체제’의 수립으로 귀결되었다. 남베트남에서 한국군이 벌인 문화냉전도 마찬가지로 ‘1972년 분단국가체제’의 정당화를 위해 진영논리를 탈색하며 내재화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반도 탈냉전과 평화・통일의 경로-‘냉전・분단의 공동체’ 극복과 새로운 ‘삶의 공동체’ 형성 모색

        허은 고려사학회 2022 한국사학보 Vol.- No.8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main process through which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ended was the change in goals that facilitated the dissolution of the form of community that led to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grassroots-led formation of a new living community that is still the basis of the goal of peaceful unifi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suspension and then reinstatement of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ster city affiliation movement’, which is the method of cultural and other exchange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changes in the way the public assimilated a variety of issues related to unification in the period from the April 19 Revolution/May 16 Military Coup, in which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grassroots-led peaceful unification first appeared and then vanished, to the period of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which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were carried out. The South Korea local government's plan to ‘Sister city affiliation’ with North Korea clearly shows that the Cold War ended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that had been the basis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that a new living community has been established to promote peaceful unification. The South Korea local government's plan to ‘Sister city affiliation’ with North Korea clearly shows that the Cold War ended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 dissolution of the community that had been the basis of the national division and that a new living community has been established to promote peaceful unification. Due to the systema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Koreas, ‘Sister city affili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the two countries based on principle could not be established. However,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made various attempts to create a new living community by building mutual trust with North Korea through a variety of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Although most of them were only piloted in limited areas before being shut down, these attempts were significant in that they will facilitate the grassroots-led formation of a community focused on peace by helping define a clear starting point and shortening the time needed in the future when the formation of such a community is promoted in earnest.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탈냉전의 주요한 경로가 냉전・분단체제의 기반이 된 공동체가 해체되고, 민중이 참여 주체가 되어 평화・통일의 기반이 되는 새로운 ‘삶의 공동체’ 형성으로 방향 전환을 한 것이었음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민중 참여의 평화통일 추진의 가능성이 열렸다가 닫히는 5・16군사쿠데타 시기부터 남북의 교류협력이 활발하게 지속되었던 노무현 정부시기까지를 대상 시기로 삼아, 지방자치제의 중단과 부활, 지방자치단체의 교류 방안인 ‘자매결연계획’의 성격 변화, 그리고 민중의 통일문제 결합방식의 변화를 살펴본다. 한반도 탈냉전의 역사가 냉전・분단체제의 기반이 된 ‘삶의 공동체’가 해체되고 한반도 평화통일의 기반이 ‘삶의 공동체’를 만들어 가는 방향으로 진전되어 갔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자매결연계획이다. 5・16군사정부는 자매결연계획을 분단국가의 통합 수단으로 적극 활용 했으며, 베트남전에 개입한 한국군은 농촌 평정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승공통일 정책을 추진했던 1970년대에는 지역사회 대공방위체제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처럼 분단국가의 통합과 냉전 진영의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던 자매결연계획은 1990년대 이후 남북교류협력 사업의 추진에 관심을 쏟던 지방자치단체들이 독일 통일과정에서 자매결연의 확대를 주목하면서 평화・통일의 수단으로 극적인 전환을 이루었다. 남과 북의 체제가 상이하여 원론적 의미의 지방자치단체 간의 자매결연은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하지만 남한의 지방자치단체들은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을 통해 북측과 상호 신뢰를 쌓아가며 새로운 ‘삶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러 실험을 했다. 비록 사업 대부분이 특정 지역에 한정된 실험에서 중단되었지만, 이는 남북이 민중이 참여 주체가 되어 평화 공동체 형성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자 할 때 출발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크다고 본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창원 지역 노동계급 여성의 성별 노동 불평등적응 기제에 관한 연구

        허은 비판사회학회 2018 경제와 사회 Vol.- No.120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adaptation mechanism of working-class women in Changwon to gender inequality at work, based on Charles Tilly’s ‘durable inequality’ theo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onditions of the local labor markets where there is a large gap in the quality of jobs according to gender, the division of working-class households is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gender is the main axis, giving the roles of family support and mothering to husband and wife,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division of labor within the household, a local knowledge of the gender categories constitutes a mothering-centered lifetime perspective and a sense of partnership for child rearing. These are inscribed on female workers’ adaptation process to gender inequality at work. On the one hand, the mothering-centered lifetime perspective of unmarried women workers alleviates the current livelihood anxiety due to poor working condition, and prevents their complaints about retirement practices before giving birth by stating that the termination of employment after marriage is a voluntary option for the mother’s role in infancy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sense of partnership of mutual cooperation for child rearing serves as a framework for interpreting the gender hierarchy in the labor markets for married women workers, and offsets the negative identity arising from the lower status of female worker with a positive identity derived from the mother’s status. In addition, the sense of partnership allows the privilege of male workers to be justified as inevitable for the father’s child support role. Finally, through this adaptation mechanism, gender inequalities in the local labor market are durably maintained. 본 연구의 목적은 틸리(C. Tilly)의 장기지속 불평등 이론을 기반으로 성별 노동 불평등에 대한 창원 지역 노동계급 여성의 적응 기제를 규명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 일자리 질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지역노동시장의 조건 아래 노동계급 가구의 분업은 젠더를 주축으로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부양 역할과 ‘어머니’ 역할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조직된다. 이 과정에서 모성 중심 노동생애전망과 동반자 의식이 젠더에 대한 국지적 지식으로 구성되며, 이는 성별 노동 불평등에 대한 여성 노동자들의 적응 과정에 기입된다. 모성 중심 노동생애전망은 미혼여성 노동자들에게 결혼을통한 생계 안정 전망을 제공함으로써 열악한 노동조건에 따른 현재의 생계 불안을 완화하고, 결혼 이후 취업 중단을 유아기 자녀 돌봄을 위한 자발적 선택으로 규정함으로써출산 전 퇴직 관행에 대한 불만을 차단한다. 젠더관계를 자녀 양육을 위해 상호 협력하는 관계로 규정하는 동반자 의식은 기혼여성 노동자들에게 노동시장에서의 젠더 위계를 해석하는 틀로 작용함으로써 하층 노동자 지위에서 비롯되는 부정적 정체감을 ‘어머니’ 지위에서 비롯되는 긍정적 정체감으로 상쇄하고, 남성 노동자의 특권을 ‘아버지’ 역할 수행을 위한 것이란 명분으로 정당화한다. 이러한 적응 기제를 통해 창원 지역노동시장의 성별 불평등 구조는 재생산된다.

      • KCI등재

        한국군의 남베트남 ‘농촌 平定’ 개입과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

        허은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9

        To investigate the reason why Park Jung-hee government had carried out two strategies, that looked incompatible, of reorganizing farming areas (accurately, development strategy based on national security) side by side,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chains of East-Asia Cold War due to Vietnam War. Korean army’s participating into Vietnam war is considered as not only an opportunity to link experience of suppression of the communists from the Manchuria to Jeju Island and Jiri Mountain and purging the farming areas with East-Asia Cold War, but also a great influence, by inflow of the governing system farming areas in Vietnam made by Korean Army, to a policy to reorganizing farming areas based on national security under a condition of Korean division and Cold War.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이 자조・자립을 목표로 삼은 ‘새마을 운동’과 감시・통제체제 수립을 목표로 삼은 ‘대공새마을 건설’이란 일견 상충적으로 보이는 두 가지 방식의 농촌 재편 전략을 병행 추진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베트남전을 계기로 한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를 고려해야 한다. 남베트남은 동아시아 각지에서 전개된 대반란전의 주체들이 모여 기존의 경험을 교류하며 새로운 체험을 하는 공간이었고, 한국(군)은 교류와 확산의 주요한 구성원이었다. 주월한국군은 ‘미・월’의 농촌 평정정책의 기조 안에서 전술책임 지역내 평정계획을 실시하며 농촌 안보와 개발에 대한 이해를 다듬었다. 주월한국군은 안보의 확보가 전제될 때 개발의 달성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확고히 했다. 즉, 농촌 마을에 적대적 세력을 폭력적으로 제거하고 재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식별・차단・감시・배제’를 작동시키는 체제의 구축을 동반하지 않는 개발이란 고려될 수 없었다. 주월한국군과 한국정부는 1970년대 초 남베트남 정부가 추진한 ‘지역사회방어 및 지역개발계획’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이 계획은 지역사회 안보 확보를 개발계획 추진의 전제임을 분명히 했다. 1968년 1・21사태 이래 안보위기를 역설했던 박정희 정권 역시 거의 동시에 안보와 개발을 양축으로 삼는 농촌 재편 전략을 추진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