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descriptions of Christian secret association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허은철 CHONGSHIN UNIVERSITY 2022 CHONGSHIN REVIEW Vol.27 No.-

        The March 1st Movemen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largest national movement in Korean history where all classes participated regardless of status, profession, or religion. The March 1st Movement is not an accidental event caused by the death of Gojong, but the frui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Currently, the role of the religious community in the March 1 Movement is mainly focused on the role of Chondoism, but the role of Christianity is not known much.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description of the Christian secret associations in the 8 type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s and pointed out the problems. The Christian secret associations introduced in the textbooks include the Shinminhoe and Songjukhoe, and the Joseongoogminhoe and the Kiseong(ball) dan. However, the volume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other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and the exact year was not specified, and most of them were described at the end of the subject, so its importance was not known. There were no explanations of Christian and there were cases where they described distorted content that was not accurate or did not mention any Christian-related content. 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scribe Korean history textbooks. In relation to Christianity, terms for editing textbooks should be established, a dictionary of textbook terms, a textbook guidance guide, and a forum or seminar should be held. Next, a fair description is needed. In the case of history textbooks, the author's perspective is inevitably reflected in the history description due to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history. Therefore, even if it is not possible to write in a way that is excessively friendly toward Christianity, efforts to maintain a minimum of equity are needed. Lastly, this is a method of using organic narratives.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history in three dimensions if the textbook's narrative style is “author revealed” or “story”

      • 현행 역사교과서 통일한국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허은철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현행 2015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에서 통일교육에 대한 방향은 통일한국을 위하여 노력했던 그 동안의 모습들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이를 통해 통일한국에 기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르도록 정하고 있으며 통일한국의 미래상을 그려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통일한국에 대한 학생들의 이미지 형성은 통일한국을 주도할 이들인 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역사교과서 에서 통일한국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보다 적절한 방향성을 세워 나가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연구를 통해 드러난 현행 역사교과서에서 통일 관련 서술의 문제점은 기술된 내용이 획일적이고, 북한에 대한 인식이 이중적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통일을 경제적 수단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교과서에 학생들의 사고 활동을 자극하는 탐구 활동과 평가 문항 개발이 부족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통일 한국의 의미와 필요성을 보여주는 서술을 확대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통일을 생각할 수 있게 교과서 서술을 바꿀 것을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체험 수업과 융합 수업이 가능하도록 교과서를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통일의 현실적 간극을 줄이도록 제안하였다. 본고는 통일한국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통일한국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심어주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기존의 형식적인 통일 교육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통일교육을 역사교과서에 제시함으로써 학교 안과 밖에서 다양한 통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통일한국과 그 이후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대상 통일 교육이 보다 긍정적이고 실제적인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역사 수업에 나타난 예비역사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분석

        허은철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4

        This study examined teaching expertise, which is the core teacher competency, through an analysi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the AI era, when teacher expertise is being emphasised again. As teacher development can be considered to start from the period of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was interested in the PCK of pre-service teachers at the beginning of their teaching careers, focusing on history and PCK due to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matter. To achieve this, the PCK of 10 pre-service history teachers' history teach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using a typological analysis procedure based on an analytical framework with four core compon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PCK was found to be somewhat deficient. In particular, they showed greater deficits in the knowledge areas of understanding learners and understanding context, which are heavily influenced by classroom practices. However, it was clear that their PCKs were still evolving through a process of trial and error and reflection as their teaching experiences broadened. We also observed that pre-service teachers often become entrenched in their perceptions of what they believe is correct, hindering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apply PCK. Theref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for further innovation and activation of practical curricula for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PCK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2015개정 한국사 교과서 근대 기독교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허은철 總神大學校 2020 總神大論叢 Vol.40 No.-

        2020년 1학기부터 고등학교에서 2015 개정 한국사 교과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개정된 한국사 교과서는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으며 사실상 근대사부터 시작된다. 이에 근대사에 중요한 획을 그었던 개신교에 관한 서술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실제로 개신교는 한국의 근대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신교 선교사들은 병원과 학교를 세웠으며 학교를 통해 민족의식을 함양하였다. 또한, 성경과 찬송가를 보급하여 문맹률을 낮추고 근대 서양 음악 발달에 큰 기여를 했다. 개신교 교리는 신분 차별이나 성별로 인한 차별에 도전하였으며 그로 인해 민중의 근대의식이 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은 매우 소략하다. 개신교에 대한 표현은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개신교와 천주교를 묶어서 기독교로 설명하는 경우도 많았다. 또한, 개신교의 기여한 점은 단순히 ‘서양 종교’ 혹은 ‘서양의’ 등으로 서술하여 개신교의 흔적을 찾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최근 교과서의 분량이 줄어드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그 분량을 줄이더라도 개신교에 대한 오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친절한 설명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먼저 개신교와 관련된 용어를 통일해야 한다. 또한 개신교의 비중을 다른 종교와 형평성을 맞추어 서술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제5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 고려사 서술

        허은철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21 역사와 교육 Vol.33 No.-

        5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서 고려시대는 고려가 고대적인 골품 체제를 벗어나 유교 정치 이념의 새로운 구현을 시도했던 중세 사회라는 인식하에 서술되었다. 고려가 고대 사회에 비해 사회 구성의 차원에서나 사회경제 체 제에서 또한 문화 측면에서 한층 발전된 사회였음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해당 내용을 이전보다 서술 분량을 대폭 늘려서 곳곳에서 강조하였다. 무엇 보다 이전처럼 고려시대에 있었던 사건을 종합적으로 서술하여 시간성을 강 조하기보다는 분류사를 기준으로 고려 사회의 특징이 잘 드러나도록 서술하 였다. 정치사에서는 호족-문벌귀족-무신-권문세족으로 이어지는 지배세력의 변 화를 설명하기 위해 많은 설명을 추가하였다. 고려 후기 민중들의 역할을 강 조한 서술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사의 경우에는 고려사회가 이 전의 신라사회와 비교하여 개방적인 사회였음을 강조하기 위해 신분이동이 일부지만 가능하였다는 점을 서술하였다. 경제사에서는 이전에 없었던 전시 과와 같은 토지제도와 수취제도 내용을 새롭게 서술하였다. 특히 5차에서 문 화사 서술이 많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주제나 활동으로 인한 것이 아 니라 단순하게 이전에 다루었던 주제들을 자세하게 설명하는 방식으로 바뀌 었다. 이렇듯 5차 국사과 교육과정 고려시대 서술에서 많은 긍정적인 변화가 있 었다. 그러나 서술 분량이 늘어나면서 오히려 학생들의 학습 부담을 키웠으 며, 5차에서 강조하는 역사적 사고력 함양과는 거리가 있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또한 5차에서 강조한 향토사 교육이 교육과정에서만 강조되었을 뿐 교과서 서술에는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것도 아쉬운 부분이다. In the 5th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textbook, the Goryeo period was described under the recognition that Goryeo was a medieval society that attempted a new realization of confucian political ideology by breaking away from the ancient skeleton system. This is to show that Goryeo was a more developed society in terms of social composition, socioeconomic system, and culture compared to ancient society. The content was emphasized in various places by significantly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narrative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Above all, rather than emphasizing temporality by comprehensively describing events that occurred in the Goryeo period as before, it was written in such a wa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society were clearly reveal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history. In the political history, many explanations have been added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ruling power. Narratives emphasizing the role of the people of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found in various places. In the case of social history, it was described that status transfer was only partially possible in order to emphasize that Goryeo society was an open society compared to the previous Silla society. In the history of economics, the contents of the land system and the receiving system, such as those of the jeonsigwa, were newly described. In particular, in the 5th round, the description of cultural history increased a lot. However, it is not due to a new topic or activity, but has simply changed to a detailed explanation of previously covered topics. As such, there have been many positive changes in the description of the 5th National Curriculum during the Goryeo Dynasty. However, as the length of the narrative increased, the learning burden of students was increased, and the fact that it was far from cultivating historical thinking skills emphasized in the 5th session is pointed out as a limitation. It is also regrettable that the local history education emphasized in the 5th session was emphasized only in the curriculum and was not clearly revealed in the textbook description.

      • KCI등재

        예비 역사교사의 현장학습 운영 경험에 대한 연구

        허은철,박지원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3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nalysis exploring the experience of nin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participating in a history field tri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made various efforts to provide their students with a rich educational experience despite many spatio-temporal constraints.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reported personal growth in their enhancement of learner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On the other hand, they displayed a vague understanding of what students should learn through ‘history’ field trips. Therefore, questions and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for pre-service teachers so that they can plan learning experiences that align with the nature of history for students during field trips. In addition, offering systematic design experiences based on theory is recommend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ield trips. 본 연구는 예비 역사교사의 현장학습 운영 경험을 분석한 질적 연구이다. 역사 현장학습 운영 경험은 프로그램 계획과 운영에 주도적으로 참여한 예비 역사교사 9명을 대상으로 동기와 사전 준비 과정, 실행 과정, 성찰과 요구사항 등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시공간적인 제약이 많은 상황에서도 학생들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현장학습에 참여한 학습자들에 대한 이해도 증진과 동료와의 소통 확대라는 측면에서 내적 성장을 경험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반면, ‘역사’ 현장학습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어떤 역사적인 배움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이 교실 수업과 마찬가지로 현장학습에서도 역사교육적 학습경험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지 고민하기 위한 질문과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현장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이론에 토대한 체계적인 설계 경험도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예비 역사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의 의미

        허은철,박지원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1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onception of good practice in teaching history. Ten pre-service history teachers were invited to share their ideas of good teaching practices in history and ways to improve their practices. They were also asked to recall good memories as students in secondary history classes and discuss their influence on their conception of good history-teaching practices. Results show that good practices described by pre-service history teachers reflected their experience as students.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and direction of past experience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aspects of teaching. In addition, there were limited awareness of potential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considered by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pre-service teachers need systematic guidance leading to reorganize their past experiences in various ways and in accordance to the stages of teaching. In addition, the curriculum for training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should include field experience specific to teaching history. 본연구는 ‘좋은 역사 수업’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예비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질적 연구이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의 의미는 그들이 학창시절에 경험했던 역사 수업에 대한 기억과 그 영향력, 예비 역사교사로서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천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이들이 학생으로서 경험했던 좋은 역사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잘 전달해주는수업’이었다. 후자는 교사의 일방적인 수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정적인 경험이므로 양면성을 보였다. 과거의 수업경험은 긍정적인 경우, 모델링을 통한 방향성 확립의 토대가 되었고, 부정적인 경험은 반면교사의 기회로 인식되었다. 한편, 예비 역사교사로서 생각하는 좋은 역사 수업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측면에서 각각 살펴보았다. 목표에서는올바른 역사관, 이해 중심 역량, 역사와 삶의 연계를 지향했고, 내용에서는 역사교육의 필요성을 기반으로 명확한지식, 생각할 거리, 삶의 적용을 다뤄야 한다고 보았다. 방법에서는 다양한 자료, 확산적 발문, 학생 주도 활동, 직접적체험의 활용을 지향했고, 평가는 결과가 아닌 과정 중심의 수행평가를 지향했다. 예비 역사교사들이 말하는 좋은 역사 수업은 과거 경험이 일정하게 반영되었다. 하지만 역사 수업 영역에 따라과거의 경험이 미치는 수준과 방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좋은 역사 수업의 요소로 고려한 학생의역사 이해에 대한 인식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과거 수업 경험을 성찰하는 기회와 수업 단계에따라 과거 경험을 다양하게 재조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역사 교원양성 프로그램에서 역사교육의이론을 바탕으로 역사 교과만의 현장성이 새롭게 모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현행 세계사 교과서의 종교개혁 서술 비교

        허은철,고유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세계사 교과서가 종교개혁에 대하여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과 2015년에 출판된 금성, 천재, 비상 3종 교과서를 대상으로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종교개혁의 배경, 루터의 종교개혁, 칼뱅의 종교개혁, 영국의 종교개혁, 그리고 종교개혁의 결과와 영향에 대해 각각의 교과서가 어떻게 서술하였는지를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적 사실이 단순 나열에 그치고 있어서 학생들에게 이해보다는 암기가 요구되었다. 둘째, 루터의 종교개혁이 다른 종교개혁에 비해 분량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칼뱅의 경우 그 영향과 의의에 비하여 매우 적은 분량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종교개혁의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도 불균형한 시각으로 서술되었다. 셋째, 종교개혁은 종교적 의의를 넘어 서양 근대사회를 여는 중요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종교적 사건이라는 이유로 분량이 매우 축소되었다. 반면에 종교개혁의 의의에 대해서는 종교적인 내용을 삭제하고 정치적인 내용만 부각시킴으로써 이후 서양 근대사회의 전개에 필수적인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가치관에 끼친 영향을 설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대안으로 첫째, 종교개혁과 관련한 세계사 교과서 서술에서 역사적 사실을 유의미하게 연결하여 응집성이 있게 서술해야 한다. 둘째, 각각의 세부 주제들 사이에 균형적 서술이 필요하다. 셋째, 종교개혁의 핵심 사상들이 종교에만 국한되지 않고 근대 사상에 영향을 끼쳤음을 서술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how world history textbooks describe religious reformations. For this, 3 textbooks published by Kumsung, Chunjae, and Bisang either in 2009 or 2015,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erms of five domains, namely a) the backgrounds of religious reformations, b) Luther’s Reformation, c) Calvin’s Reformation, d) the religious reformation of England, and e) the results and effects of religious reforma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istorical facts were simply enumerated, demanding memorization rather than understanding from students. Second, the description of Luther’s Reformation was longer than that of any other religious reformation while there was very little information about Calvin’s Reformation despite its significant impacts. In addition, the causes and effects of religious reformations were depicted from imbalanced perspectives. Third, even though religious reformations were not restricted to religious areas and were the important events that opened up the modern Western society, the quantity of related contents was severely reduced simply because they are religious events. On the other hand,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the reformations has been deleted, but only the political significant of the events has been highlighted; therefore,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the effects of religious reformations on the values of democracy and capitalism or freedom and equality, which were essential to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modern Western society. Therefore, an alternative would be to make meaningful and coherent connections between the religious reformations and historical facts in world history textbooks. Second, balanced descriptions of each detailed topic are needed. Third, it should be described that the core ideas of religious reformations were not limited to religion but affected modern ideas.

      • KCI등재

        디지털 역사 교과서에서 역사콘텐츠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제언

        허은철 역사와 교육학회 (구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23 역사와 교육 Vol.36 No.-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역사교육도 과거 교과서 중심의 역사교육 에서 체험형 역사교육으로 바뀌어야 한다. 이제는 단순히 학생들이 직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역사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른 학생 들과 소통하고, 역사적 상상력을 실현할 양질의 역사콘텐츠 개발이 필요 한 시점이다. 이 글에서는 초등 사회교과서의 역사 영역을 중심으로 역사 콘텐츠가 디지털 역사 교과서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보전달 기능에 치우쳐 있고, 국정에서 검정교과서로 바뀌었는 데도 천편일률적인 내용이 많았다. 무엇보다도 현재주의 관점에서 디지 털 역사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제도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역사교과서에서 디지털 역사콘텐츠 활용 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기술적 지원을 확대하고, 디지 털 역사콘텐츠 검증을 위한 실질적인 기준 마련하며, 교사의 2차 저작권 을 인정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는 교사에게 친화 적인 디지털 역사콘텐츠 개발 환경을 조성할 것과 교사와 학생 모두 디지 털 리터러시의 함양할 것을 주장하였다. 무엇보다 평가에서 디지털 역사 콘텐츠 활용 능력을 포함하여 학생들을 평가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디 지털교과서의 디지털 역사콘텐츠 확대는 지식, 암기 위주의 역사교육 (knowing history)에서 체험과 협동 중심의 역사교육(doing history)으로 전환 하여 역사교육의 효과성을 증대하고 초‧중‧고 역사교육의 연계성을 강화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istory education should also be changed from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past textbooks to experiential history education. It is time for students to develop high-quality historical content to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and realize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away from simply acquiring historical knowledge using digital technology.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how historical content is used in digital history textbooks, focusing on the history area of elementary social textbooks. As a result, there was a lot of uniform content even though it was biased toward the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changed from state affairs to certified textbooks. Above all, the problem of developing digital historical content from the perspective of presentism has emerged. In order to improve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use of digital history contents in history textbooks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aspects. On the institutional side, it was proposed to expand technical support, prepare practical standards for verifying digital historical content, and recognize secondary copyrights of teachers. In addition, in terms of education, it was argued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developing digital history contents that are friendly to teachers and to foster digital literacy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bove all, it was suggested that students should be evaluated, including the ability to use digital history content in the evaluation. The expansion of digital history contents in digital textbooks will be an opportunit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history education and strengthen the link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education by shifting from knowledge and memorization-oriented history education to experience and cooperation-oriented.

      • KCI등재

        바울의 동기유발방법을 활용한 기독교 교육에서의 교수‧학습방안

        허은철,고유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8 기독교교육논총 Vol.56 No.-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name of the subject “Life and Religion” was changed to “Science of Religion,” and the direction of the class also changed from teacher-centered learning to student-centered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changes in Christian private schools’ method of teaching Jesus Christ to stud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we analyzed Paul’s method of Evangelism that appears in the Book of Acts for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pecifically, we offer three motivational methods used by Paul. Paul effectively preached the gospel by motivating people. The first method is to use cognitive dissonance. Paul gave a sermon using a logic familiar to the flow of people’s cognition and preached Jesus Christ at the end of the sermon naturally. The second method is to motivate people through analogy. Paul presented the target case of Jesus Christ based on a source case in which the audience was already familiar. The third method is customized individualization. Paul determined the disposition of his audience and preached from the needs that each community had; he also used examples that were familiar to the community while preaching the gospel, aiding his individualization method. Such motivational methods of Paul aroused the audience’s curiosity and interest, and people even asked Paul to teach more about the gospel. Through this process, many people came to believe in Jesus Christ. In this paper, we have presented three exam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using the motivation induction method,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classes of Christian private schools. These teaching methods motivate learners to become interested in Jesus Christ and to engage with Christianity.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존 ‘생활과 종교’가 ‘종교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고, 종교학 수업의 방향도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개정된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학습자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전할 것인가에 대한 기독교 사립학교의 수업방법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의 기독교교육 교수·학습방법으로 사도행전에 나타난 바울의 전도방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바울이 활용했던 세 가지 동기유발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바울은 사람들의 동기를 유발하여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였다. 첫 번째는 인지부조화를 활용한 방법이다. 바울은 사람들의 인지의 흐름에 익숙한 논리로 설교하였으며, 설교의 막바지에 자연스럽게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였다. 두 번째는 유추를 활용한 동기유발 방법이다. 청중이 가지고 있는 기반사례에 기대어 예수 그리스도라는 표적사례를 제시한 것이다. 세 번째 방법은 맞춤형 개별화 방법이다. 바울은 청중의 성향을 파악하여 각각의 청중 공동체가 가지는 필요에서 출발하여 복음을 제시하기도 하였고, 해당 공동체가 가진 익숙한 예시에 착안하여 복음을 전하기도 했다. 이러한 바울의 동기유발방법은 청중의 호기심과 관심을 가져왔고, 사람들은 바울에게 복음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달라고 요청할 정도였다.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믿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기유발방법을 활용하여 세 가지 교수·학습방법의 사례를 각각 제시함으로써 기독교 사립학교의 종교학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업 방법은 학습자에게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하고, 기독교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는 동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