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성인에서 장기간 Furosemide 오용과 연관된 신수질 석회화

        최성철 ( Choe Seong Cheol ),김윤구 ( Kim Yun Gu ),김정아 ( Kim Jeong A ),도정호 ( Do Jeong Ho ),한혁준 ( Han Hyeog Jun ),이현희 ( Lee Hyeon Hui ),윤수진 ( Yun Su Jin ),이영기 ( Lee Yeong Gi ),허우성 ( Heo U Seong ),김대중 ( Kim Da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6

        목 적: Furosemide 장기간 사용은 신생아에서 신수질 석회화(medullary nephrocalcinosis)발생의 주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비록 furosemide가 성인에서도 여러 임상적 상황들에서 사용되지만 성인에서 신수질 석회화와 연관성은 확실하지 않다. 저자들은 성인에서 furosemide 장기간 사용과 신수질 석회화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오랜 기간(복용기간 범위 3-25년) 부종이나 체중 조절을 목적으로 습관적으로 furosemide를 복용한 18명(남 : 녀=1 : 17, 연령범위 21-5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수질 석회화는신초음파나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신생검을 통해 확인하였고 대상환자들을 신수질 석회화(+)군과 신수질 석회하(-)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특성들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신장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상 신수질 석회화는 양측 신장 수질부 추체(pyramid)들에서 18명 중 15명(83.3%)에서 관찰되었다. Furosemide 오용기간은 신수질 석회화(+)군과 신수질 석회화(-)군에서 차이가 없었지만(10.1±1.7년 대 15.3±0.9, p>0.05), furosemide 하루복용 용량은 신수질 석회화(+)군이 신수질 석회화(-)보다 더 많았다(538±174 대 67±13 mg/일, p<0.01). 두 군간 하루 요 칼슘배설양과 혈청 칼슘, 크레아티닌 청소율치의 차이는 없었다.대상 환자 중 3명에서 시행한 신생검 병리소견에서 국소적인 세뇨관 간질 위축과 섬유화가 관찰되었고 석회화는 외부 수질 세뇨관 간질에서 관찰되었다.결 론: 저자들은 성인에서 furosemide 장기 복용이 신수질 석회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신수질 석회화 발생의 위험성은 furosemide 복용 용량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자들은 성인에서 우연히 신장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 촬영상 신수질 석회화 소견이 관찰되면 furosemide 장기 오용 여부를 반드시 감별진단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Background : The use of furosemide is well recognized as a predisposing factor to nephrocalcinosis (NC) in infants. Although furosemide is widely used for various clinical settings in adults, the association of furosemide use and nephrocalcinosis in adults is not well established. Methods : We studied 18 consecutive adult patients( male : female=1 : 17, age range 21-59 years) who took furosemide habitually to control their weights or edema for a long-term period(range 3-25 years). NC was evaluated using renal ultrasonography(US), computed tomography(CT) and/or kidney biopsies.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NC(+) and NC(-) groups while the difference in clinical features were investigated. Results : Renal US and CT revealed nephrocalcinosis in the bilateral medullary pyramids in 15(83.3 %) out of 18 patients. The duration of furosemide abuse was not different between NC(+) and NC(-) groups(10.1±1.7 years vs. 15.3±0.9, p>0.05). The daily dose of furosemide was higher in NC(+) group than the NC(-) group(538±174 vs. 67±13 mg/day, p<0.01), however. All patients showed a variable degree of renal insufficienc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eatinine clearance between two groups(p>0.05). The kidney biopsies performed in three patients showed focal tubulointerstitial fibrosis and atrophy and calcifications were observed at outer medullary tubulointerstitium. Conclusion : Long-term furosemide abuse could cause medullary nephrocalcinosis in adults and the risk of developing of nephrocalcinosis is correlated with the daily dose of furosemide. We suggest that long-term furosemide abuse should be suspected in adult patients when medullary nephrocalcinosis is incidentally detected by US and/or CT.

      • SCOPUSKCI등재

        B형 간염바이러스 양성인 공여자와 수여자 간의 사체 신이식

        한혁준 ( Han Hyeog Jun ),허우성 ( Heo U Seong ),이현희 ( Lee Hyeon Hui ),윤수진 ( Yun Su Jin ),김윤구 ( Kim Yun Gu ),김대중 ( Kim Dae Jung ),오하영 ( O Ha Yeong ),김성주 ( Kim Seong Ju ),조재원 ( Jo Jae Won )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6

        B형 간염 환자의 신이식은 이식 후 투여된 면역억제제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간염의 악화또는 간부전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연구가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간염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이식신 거부반응, 감염증,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에 차이가 없으며, 다만 수술 후 간질환이 발생할 가능성만이 더 높다는 주장이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간염 바이러스 증식억제제인 라미부딘이 신장이식에 도입됨으로써 B형 간염환자에 대한 이식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에서도 수여자는 B형 간염 양성이나, 신장을 제공하는 공여자는 모두 간염 바이러스 음성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문헌고찰 결과 현재까지 B형 간염 양성 공여자와 수여자간의 신이식 보고를 찾기가 어려웠다. 저자들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이루어진 B형 간염바이러스 양성인 뇌사자와 B형 간염바이러스 양성인 만성신부전 환자 사이의 사체 신이식 9례를 분석하였다. 공여자는 모두 뇌사자로 총 6명(남5, 여 1, 연령 : 15-52세) 이었고, 수여자는 총 9명(남 4, 여 5, 연령 :23-52세)이었다. 수여자의 이식 전 투석기간은 중앙치 23개월(범위 : 7-76개월)이었고, 이식 후42에서 12개월의 경과를 관찰하였다(중앙치 24개월). 3예에서 급성거부반응을 경험하였으나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고 만성거부반응은 없었다. 마지막추적관찰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이 1.5 mg/dL인 1예 외 나머지 8예는 정상 혈청 크레아티닌을보이고 있다. 전격성 간부전이나 간경화의 사례는 없었고, 4예에서 간기능 장애가 있었다. 그 중1예는 CyclosporineA hepatotoxicity로 진단되었고, 1예는 6개월 이상의 간기능장애를 보였으나 이후 간기능수치가 안정되었다. 1예는 급성간염의 소견을 보였고 나머지 1예는 재발성간염이 있었다. 나머지 5예는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alanine aminotransferase(ALT) 수치를 보이고 있다. 현재 ALT 60 IU/L인 1례를 제외한 8례에서 정상적 간기능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전예에서 라미부딘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신이식 수여 대상자가 제공자에 비해 월등히 많은 실정에서 신제공자의 범위를 B형 간염바이러스 양성자에게까지 넓히는 시도는, 특별히 우리나라와 같이 간염보균자와 만성간염 환자가 많은 상황에서는 임상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며 장기적인 경과 관찰을 통한 비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re has been studies constantly reporting on high rate mortality of renal transplantation of hepatitis B virus(HBV)-positive subject becaus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immunosuppressive agent which was administrated after a transplantation worsens hepatitis or causes hepatic failure. But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graft rejection, infection and survival rate of the graft or the host between hepatitis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And, after lamivudine which suppresses HBV replication is introduced into renal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of HBV-positive subjects has taken on a new aspect. But it has been hard to find the reports about renal transplantation between donor and recipient both are hepatitis B virus positive in documents, because, in most cases of those reports, the recipient was hepatitis B virus positive but the donor who offers kidney was hepatitis virus negative. This study selected all 9 cases of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between HBV-positive cadaveric donor and HBV-positive chronic renal failure(CRF) patient who were operated at Samsung medical center from March of 1997 to August of 2000, then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five donors and nine recipients retrospectively. Six cadaveric donors(5 male, 1 female, age 15-52) and nine recipients(4 male, 5 female, age 23-52, median dialysis period 23 months) were included. During following up periods of 42 to 12 months (median 24 months) after renal transplantation with HBV DNA, serum ALT and serum creatinine change of hepatic function and renal function were observed and a development of infection and other complication were also investigated. Any case didn`t come out fulminant hepatitis or liver cirrhosis. Four cases came out hepatic dysfunction. Among these, one case was diagnosed to CsA hepatotoxicity. One case came out a transient increase of ALT more than six months, since then was normilized. One case came out acute hepatitis and one case recurrent hepatitis. The rest constantly came out normal hepaitc function. In all the cases lamivudine treatment was practiced and the major indication were positive HBV DNA and a increase of ALT. In the recent test the eight cases came out a normal ALT and the only one case came out a little increase of ALT, 60 IU/L. Renal function was relatively well maintained. Three cases came out acute rejection, but it was successfully recovered. Chronic rejection didn`t occur. In the recent test the eight cases came out a normal serum creatinine except one case(28 month after transplantation) which 1.5 mg/dL of serum creatinine appeared. When we consider our situation possessing much more recipients than donors of renal transplantation, this trial to expand the scope of donor to HBV- positive patients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is a clinically meaningful effort especially in Korea and Asian countries which have a plenty of hepatitis carriers and chronic hepatitis patients. And we consider this new trial needs to continue comparative analyzation through long term observation.

      • KCI등재

        영구 혈액투석 경로의 경피적 중재술$^1$

        김재형,도영수,신성욱,허우성,오하영,변홍식,Kim, Jae-Hyeong,Do, Yeong-Su,Sin, Seong-Uk,Heo, U-Seong,O, Ha-Yeong,Byeon, Hong-Sik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8 No.1

        목적: 영구 혈액투석 경로 기능부전의 중재적 치료로 경피적 혈관성형술과 유로키나제를 이용한 맥동살포법에 의한 혈전용해술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중재적 치료 전후 개통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5년에서 2001년까지 혈액투석 경로의 기능부전으로 의뢰된 105예를 중재적 치료를 하였다. 38예는 인공 동정맥루이고 67예의 동정맥 이식편이었다.53예는 경피적 혈관성형술 만을 시도했으며 47예는 유로키나제를 이용한 맥동살포 혈전용해술과 혈관성형술을 시도하였다. 중재적 시술의 성공률과 장기 개통률을 평가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당뇨병의 유무, 혈액투석 경로의 위치, 동정맥 이식편의 종류, 동정맥 이식편의 배출 정맥, 중심정맥의 협착 유무, 잔존협착의 정도, 중재적 시술 방법에 따라 개통률의 차이를 평가하여 중재적 시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혈액투석 경로의 기능부전에 대한 중재적 치료의 성공률은 83.8%(88/105)였다. 전체적인 일차 개통률은 6개월에 58.7 $\pm$5.2%이며, 1년에 43.0 $\pm$6.0%,2년에 18.1 $\pm$6.0%였다. 인공동정맥루 / 동정맥 이식편 각각의 개통률은 6개월에 55.9 $\pm$9.2%/57.8 $\pm$6.5%, 1년에 45.8$\pm$10.0%/42.7%$\pm$8.4%,2년에 21.8%$\pm$9.8%/18.9 $\pm$8.4%였다. 전체적인 이차 개통률은 2년에 40.0 $\pm$8.1%였으며 95%유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없었으나 30%이상의 잔존협착이 있는 경우 (p=0.054)개통률이 감소하였다. 결론: 혈액투석 경로의 기능부전에 대한 중재적 치료는 높은 성공률과 개통률을 보이며 효과적인 일차적 치료방법이다. 잔존 협착이 30%이상인 경우 개통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외 중재적 치료와 연관된 중요한 요인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and pulse-spray pharmacomechanical thrombolysis (PSPMT) using urokinase for the management of insufficient hemodyalitic access, and to identify contributory patency-related factors following interventional proced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1995 and July 2001, 105 cases of insufficient hemodyalitic access involving 38 artificial arteriovenous fistulae (AVF) and 67 graft arteriovenous fistulae (AVG) were treated interventionally. The patients underwent PTA alone in 53 cases and PSPMT combined with PTA in 47, and procedural success and long-term patency were evaluated in terms of a patient's age and sex, the presence of diabetes, the location of access, the type of AVG, the draining vein of AVG, the presence of central vein stenosis, the degree of residual stenosis, and the method of interventional procedure, and contributory factors were thus identified. Results: The overall technical success rate of interventional management was 83.8% (88/105), while the overall primary patency rate was 58.7$\pm$5.2% at 6 months, 43.0$\pm$6.0% at 1 year, and 18.1$\pm$6.0% at 2 years. In AVF/AVG groups, primary patency rates were 55.9$\pm$9.2%/57.8$\pm$6.5% at 6 months, 45.8$\pm$10.0%/42.7$\pm$8.4% at 1 year, and 21.8%$\pm$9.8%/18.9$\pm$6.5% at 2 years. The overall secondary patency rate was 40.0$\pm$8.1% at 2 years. No contributory factors were found (95% confidence level), though patency of access decreased when residual stenosis was more than 30% (p=0.054). Conclusion: Interventional management of insufficient hemodyalitic access has high success and patency rates, and is an effective primary method. There appear to be no contributory factors, though residual stenosis of more than 30% tends to decrease the patency of hemodialytic access.

      • SCOPUSKCI등재

        Sjogren 증후군에서 신장 가성림프종에 의한 급성 간질성신염

        여호명 ( Yeo Ho Myeong ),허우성 ( Heo U Seong ),백현정 ( Baeg Hyeon Jeong ),임영환 ( Im Yeong Hwan ),김정아 ( Kim Jeong A ),이방훈 ( Lee Bang Hun ),강우헌 ( Kang U Heon ),김범 ( Kim Beom ),이현희 ( Lee Hyeon Hui ),김윤구 ( Kim Yu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6

        A 65 year-old woman with SjOgren`s syndrome was found to have renal mass and acute renal failure. Immunopathologic analysis of renal biopsy specimens showed polyclonal lymphocytic interstitial infiltration. Gene rearrangement study of T cell receptor showed a polyclonal pattern. The degree of azotemia and the size of pseudolymphoma diminished dramatically with steroid therapy. This is a case of proven pseudolymphoma that was found as renal mass in SjOgren`s syndrome. (Korean J Nephrol 2003;22(6):744-748)

      • SCOPUSKCI등재

        공여자가 동일한 사체신이식에서 Mycophenolate Mofetil(MMF)과 Azathioprine(AZA)의 비교 연구

        도정호 ( Do Jeong Ho ),허우성 ( Heo U Seong ),김정아 ( Kim Jeong A ),이효락 ( Lee Hyo Lag ),최성철 ( Choe Seong Cheol ),한혁준 ( Han Hyeog Jun ),김대중 ( Kim Dae Jung ),김윤구 ( Kim Yun Gu ),오하영 ( O Ha Yeong ),이광웅 ( Lee Gwan 대한신장학회 2001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0 No.6

        목 적: 뇌사 공여자로부터 적출된 두개의 신장을 하나는 MMF(연구군)에 다른 하나는 AZA(대조군)에게 이식하여 공여자 차이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 하여 두 약제가 신이식 후 초기 급성거부반응과 이식신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4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시행된 신장이식 중 공여자의 양측 신장(34쌍)이 제공된 68예의 사체 신이식을 대상으로 각 쌍을 MMF군(34예)과AZA군(34예)으로 무작위 배정을 하였고 면역억제제는 3제요법을 시행하여, MMF군은 Cyclosporine,MMF, Prednisolone을 AZA군은 Cyclosporine, AZA, Prednisolone을 투여 하였다. 두 군간의 6개월 이내의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률과 CMV 감염 발생률 그리고 1년 이식신의 생존율 등을 전향적인 방법에 의해 비교하였다. 결 과: MMF군과 AZA군 간에 성별, HLA 부적합, 냉무혈시간, 몸무게 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급성 거부반응 발생 또는 치료실패는 각각 12예(35.3%)와 11예(32.4%)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05), 1년 이식신의 생존율은 각각 91.2%, 97.1%였고 CMV 감염은 각각 1예와 3예로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 결 론: MMF와 AZA, 두 신이식 군에서 약제로 인한 급성 거부반응 발생률의 차이와 이식신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다. 이는 기존의 보고들과는 다른 결과로 사체신이식일 경우 공여자의요인이 신장이식의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사체신이식을 통한 비교 임상 시험을 시행할 때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한 공여자 인자 외 다른 공여자 인자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하겠다. Objective : In order to evaluate how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MMF and AZA would influence on the outcome of the graft kidney, we analyzed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episodes and one year graft survival rate after minimizing influences of donor factors by grafting the same cadaveric donor kidney. Methods : From April, 1998 to January, 2000, sixty eight patients grafted by 34 cadaver donors were enrolled in our study. From the same donor, one was randomly assigned to the MMF group(n=34) who were treated with cyclosporine, MMF, prednisolone while the other kidney was assigned to the AZA group(n=34) with cyclosporine, AZA, prednisolone. We analyzed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episodes and CMV infection within the first 6 months of renal transplantation and one year graft survival rate was studied prospectively.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HLA mismatch, cold ischemic time, and patients` weight between two group. Acute rejection or treatment failure occurred in 35.3% in the MMF group by 6 months after transplant, compared with 32.4% in the AZA group without statistic significance(12/34 vs. 11/34, p>0.05). One year graft survival rate was 91.2% and 97.1%, respectively, and CMV infection was documented in 4 patients(1/34 vs. 3/34, p>0.05). Conclusion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episodes and one year graft survival rate between two groups. In contrast,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MMF could have lowered the incidence of acute rejection episodes and improved graft survival rate. This discrepancy in results might be explained that donor factors were important to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Thus, we suggest that the influences of donor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further clinical study of cadaveric renal trans-plan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