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스마트폰 비밀번호 해제와 진술거부권

        허순철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1

        Recently, there was a news report that the police had a hard time in investigating a well-known politician who did not produce the password of his smartphone during the investigation into his suspicion. Therefore, it needs to be discussed whether the investigative agency or courts can require a suspect or defendant to decrypt his/her smartphone. As Article 12(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the right to remain silent as a constitutional right, however, it seems unconstitutional for the investigative agency or courts to compel a suspect or defendant not only to produce the password of his/her smartphone but also to decrypt it. Meanwhile, the Supreme Court of the U.S. in Fisher v. United States has established the so-called “the act of production doctrine” that a suspect’s act of producing a document is testimonial protected by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of the Fifth Amendment if the act of production has a “communicative aspect of its own.” At the same time, as an exception to this doctrine, the Court also established the so-called “foregone conclusion doctrine” that the privilege does not apply to a fact which is already known to the investigative agency. However, the lower court precedents are not consistent with each other regarding whether a password of a smartphone is a testimony to which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pplies. Recently, however, when an investigative agency proved the existence and location of specific information in a suspect’s encrypted smartphone, a lower court decided that he could not refuse to follow the court’s order because “little or nothing” was added “to the sum total” of the agency’s information, holding the suspect in contempt for his refusal. As seen in the U.S., in the near future, there would be some Korean cases where suspects or defendants reject to follow an investigative agency’s order to enter the passwords into their smartphones by invoking the right to remain silent, and there also would be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agency can order them to unencrypt their smartphones. In this sense, the introduction of the U.S. legal precedents and the academic debate on the issue would be useful for Korean scholars and lawyers. 최근 어느 유명한 정치인이 경찰에 압수된 자신의 스마트폰 비밀번호를 묵비하는 바람에 수사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수사기관이나 법원은 피의자나 피고인에게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를 해제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생겼다. 그런데 우리 헌법은 제12조제2항 후문에서 진술거부권을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으므로, 피의자나 피고인에게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를 말하라고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연방대법원은 Fisher v. United States 판결에서 문서를 제출하는 행위 그 자체가 진술을 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경우에는 연방수정헌법 제5조의 자기부죄거부특권이 적용되는 증언에 해당한다는 이른바 “제출행위의 원칙”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이 원칙의 예외로서 이미 수사기관이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에 대해서는 자기부죄거부특권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예견된 결론의 원칙”도 확립하였다. 그런데 스마트폰의 비밀번호가 자기부죄거부특권이 적용되는 증언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미국 내 하급심의 판단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또한 수사기관이나 법원이 피의자나 피고인에게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를 해제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도 상반된 하급심 판례들이 있다. 그러나 최근 하급심 법원들은 “예견된 결론의 원칙”에 따라 수사기관이 비밀번호가 설정된 피의자의 스마트폰에 특정한 정보가 들어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입증한 경우 피의자는 자기부죄거부특권을 원용하여 비밀번호를 해제하라는 명령을 거부할 수는 없다고 하면서, 이러한 명령을 위반한 피의자의 행위에 대해 민사상 또는 형사상 법정모독의 책임을 묻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에서처럼 피의자나 피고인이 진술거부권을 주장하면서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를 묵비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고, 수사기관이나 법원이 이들에게 스마트폰의 비밀번호를 해제해서 제출하라고 요구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생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미국의 판례들과 이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할 것이다.

      • 英國 産業革命期에 있어서 工業經營家에 관한 硏究 : 特히 資本調達問題를 中心으로 Especially Focused on Mobilizing of Their Industrial Fund

        許淳澈 釜山大學校 1984 人文論叢 Vol.26 No.1

        Industrial managers had to mobilize their industrial capital only through his savings or the reinvestment of his profit, because many of the industrial units are small concerns or partnerships of two or three friends throughout in the early days of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al capital has been its own chief progenitor From time to time, however, a business might require more funds than the most rigid economy could wring from internal sources. It was sometimes possible to obtain additional capital by taking in a new partner, active or sleeping. But the Bubble Act of 1720 restricted an ordinary partnership to six members, each of whom was liable to his last shilling and acre for the debts of the concern, and it was not easy to induce men of substance to assume such risks. Hence it was more usual to raise resources by· mortgaging the factory buildings to same neighbouring landowner, solicitor and clergyman. The chief contribution of the banks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consisted in the mibilizing of short-term funds and their transfer from areas where there was little demand for them to others that were hungry for capital. In 1760 there was nothing that could justly be called a capital market. Lending was still largely a local and personal matter. By 1830 the the volume of investable funds had grown l beyond measure. Banks and other institutions, served as pools from which capital, brought fly innumerable streams, flowed to industries at home and abroad. In the 1920's the savers of England were learning new habits and by the middle of the century railway shares had been established in the study and tile drawing room, and in the second half of the century newspapers began to publish as a matter of daily routine the price of industrial stock for the benefit of their middle class readers. Ultimately the industrial fund chiefly mobilized through the savings of the nonparticipant investor what is called, public issues of stock.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과 미국의 공적 관심사안의 비교

        허순철 한국공법학회 2017 공법연구 Vol.46 No.1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noted that “there should be distinction between matters of public concern and of private concern with regard to a judicial scrutiny.” The Supreme Court of Korea also decided in a defamation case that “the statement should be examined whether it objectively contributed to forming a public opinion or public debate as a subject of general interest and of social value to the citizens.” The reason why the highest Courts in Korea distinguish matters of public concern from of private concern and make distinctions between them is due to the fact that free debate on a matter of public concern is one of the indispensible conditions for democracy because it contributes to forming a public opinion. In America, a legal principle has been firmly rooted that a claimant in a defamation suit must prove that a defendant’s statement was made with actual malice, that is, with knowledge that it was false or with reckless disregard of whether it was false or not. Recently, in particular, the U.S. Supreme Court in Snyder v. Phelps held that “[s]peech deals with matters of public concern when it can ‘be fairly considered as relating to any matter of political, social, or other concern to the community’ or when it ‘is a subject of legitimate news interest; that is, a subject of general interest and of value and concern to the public.” Matters of public concern decided by the Supreme Court of Korea generally include government policy, criticism on an official conduct of government operation by a public employee, a misconduct of public employee, etc. On the contrary, the Korean Supreme Court decided that privacy is not a matter of public concern yet when it is unilaterally argued by a party without proving its truthfulness despite it was about a public figure. Then, in the NSP X-File case, the Supreme Court of Korea held that the conspiracies between public figures to give a huge amount of illegal political contributions to the presidential candidates and Dduc-Kap (illegal sweetener) to high-ranking prosecutors were not an unusual matter of public concern. In contrast, the U.S. Supreme Court in Bartnicki v. Vopper decided that the conversation between teachers regarding the negotiations over the proper level of compensation was a matter of public concern, and the conversation such as “blow[ing] off … front porches” was definitely a matter of unusual public concern. As such, a judgment of what is a matter of public concern is not always predictable as the U.S. Supreme Court and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spectively reached the different conclusions. Therefore, Korean courts need to make more concretely and actively clear what are matters of public concern. 우리 헌법재판소는 “공적인 관심사안과 사적인 영역에 속하는 사안 간에는 심사기준에 차이를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우리 대법원 역시 명예훼손 소송에서 “그 표현이 객관적으로 국민이 알아야 할 공공성, 사회성을 갖춘 사안에 관한 것으로 여론형성이나 공개토론에 기여하는 것인지 아닌지 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판결하였다. 이처럼 우리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공적 관심사안과 사적 사안을 구별하여 헌법적 보호에 차이를 두는 이유는 공적 관심에 관한 자유로운 토론이 여론을 형성하는데 기여함으로써 민주주의의 불가결한 요건이 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연방대법원이 New York Times v. Sullivan 판결에서 “공적인 문제에 대한 표현의 자유”가 헌법상 보장된다고 판시한 이래로 공적 관심사안에 관한 피고의 진술에 대해 명예훼손 등 법적인 책임을 묻기 위해서는 현실적 악의, 즉 고의 또는 미필적으로 허위임을 알면서도 진술을 했다는 것을 원고가 입증해야 한다는 법리가 확립되어 있다. 특히 최근 연방대법원은 Snyder v. Phelps 사건에서 어떠한 “언사가 정치적, 사회적 또는 그 사회의 다른 관심사안에 관련된 것으로 정당하게(fairly) 간주될 수 있을 때 또는 정당한 뉴스 이익(news interest)의 대상, 즉 일반적 이익의 대상이자 일반인에게 가치가 있고 관심이 될 수 있는 주제인 경우”를 공적 관심사안이라고 하였다. 우리 대법원은 정부의 정책이나 공무원의 공적인 업무수행에 대한 비판, 공무원의 비위 등에 대한 비판은 공적인 관심사안이라고 인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비록 공인에 관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아직 확인되지 아니한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한 사생활인 경우에는 공적 관심사안이 아니라고 하였다. 그런데 안기부 X파일 사건에서 우리 대법원은 대통령선거의 후보자들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하고, 고위 검사들에게 떡값을 주기로 모의하는 내용이 비상한 공적 관심사안이 아니라고 하였다. 반면에 미국연방대법원은 Bartnicki v. Vopper 사건에서 교사들의 단체협상에 관한 대화 내용은 공적 관심사안이며, “현관을 … 날려버린다”와 같은 대화 내용은 당연히 비상한 공적 관심사안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한국과 미국의 대법원들이 공적 관심사안에 관하여 상반된 결론에 도달하였듯이 무엇이 공적인 관심사안인가에 대한 판단은 항상 예측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 법원은 보다 더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무엇이 공적 관심사안인지 명확히 하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