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 드라마 속 장애인 이미지 분석 -장애이론 모델과 미디어 프레임 방식을 중심으로-

        허숙민,박진화,김문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9

        본 연구는 TV 드라마 속에 설정된 장애인들을 통해 우리 사회가 장애인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드러내고 있는지 방송 3사의 드라마 중 장애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면서 평균 시청률이 10%이상으로 높은 드라마를 각각 1편씩 선정하여 내용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나타난 회차별 건수는 총 52건으로 이중 36건(69%)이 의료-한계 유형이었고, 가장 바람직한 장애관인 사회-다양성 유형은 9건(17%)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도 우리사회가 장애를 ‘다름’으로 정의하고 장애인을 ‘주체적 삶의 주인공’으로 보기보다는 장애를 병리적 현상과 비극으로 봄으로써 장애인을 치료나 동정의 대상 또는 불완전하고 열등한 존재로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 번 각인된 장애인의 부정적 인식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볼 때, 장애인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편견 없이 보여주는 ‘사회적 모델’과 ‘인간적 다양성 프레임’의 개념이 활용되어진 ‘사회-다양성 유형’의 드라마들이 더 많이 제작되어져야 될 것이며, 이를 위해 드라마 제작자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가 선행 되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mages of social members about people with disabilities by selecting each one drama among three main broadcasting companies respectively which has the disabled who acting in TV dram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total 52 case of understand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36 cases(69%) was a type of medical-limits, 9 cases(17%) were a type social-variety, which cogni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most desirable. It is meaning that our society has been considering the disabled as treatment of target or sympathy or as imperfect or inferior person and by thinking and considering the disabled as pathological phenomenon and tragedy than disability is defined as 'difference' and conside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reated as hero of subjective life. From a view of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negative Imag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once was stamped, many dramas of 'social-variety' type with concept of 'human variety frame' used, that including 'social model' which shows disable's natural life without a biased view must be produced. For this, a change of Images of drama producers for the disabled must be preceded.

      • KCI등재
      • KCI등재

        동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에 관한 사례 연구

        허숙민,박태영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71

        This study is a case study on the planning process of A-dong, Buk-gu, Gwangju, which was the first community plan. The discussions on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community planning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analysis frameworks of subjectivity, locality, cooperation, and practicalit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 residents' identity should be emphasized in establishing the community Welfar pla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per cooperation system among residents, public and external expert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improve the practicality of the community Welfare plan. Forth, The framework of analysis of the principles and processes are can be used as a direction for future planning. 이 연구는 동 단위의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수립한 광주광역시 북구 A동의 계획수립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이다. A동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광역, 시군구 등 자치단체 수준에서 수립되던 것에서 더 나아가 주민의 생활권인 읍면동 단위의 계획을 수립한 A동의 사례를 통해 향후 각 동에서 보다 좋은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의 원칙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여 주체성, 지역성, 협력성, 실천성이라는 4가지 원칙을 분석틀로 삼고 계획수립을 위한 준비단계, 수립단계, 공유단계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에서 주민 주체성을 중시해야 한다. 둘째, 주민․공공․외부전문가 간의 적절한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동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실천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동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의 원칙과 과정에 대한 분석틀을 도출하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향후 동 계획 수립의 방향으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중도장애인의 장애정체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허숙민,조한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disability identity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individuals with acquired disabilities who have experienced the trauma of disability in their adulthood. For the purpose, the study surveyed 203 persons who have acquired a disability after the age of 18 years, and then performed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using data gath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higher disability identity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Second, when disability identity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related, increasing the level of resilience increased the effect of disability identity on posttraumatic growth. Thu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tasks ahead to form a positive disability identity and increase the level of resilience. 본 연구는 성인기에 장애라는 외상을 경험한 중도장애인들의 장애정체성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과정에서 레질리언스가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만 18세 이후에 장애를 갖게 된 중도장애인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이어 각각 표준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정체성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정체성이 높아질수록 외상 후 성장이 높아지는데, 이 때 레질리언스 수준이 높아지면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에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장애정체성을 형성하고 레질리언스를 강화하기 위한 앞으로의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 경로에 관한 연구 - 경북 경산시를 중심으로 -

        허숙민,최원석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4 여성학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causality on quality of life in married working women. For this, the survey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the married career women aged over 30 who dwell in Gyeongsan cit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It widely distributed totally 200 copies and then used 148 effective analytical materials as the final analytical data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after analyzing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t- and F-test, and correl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easurement variable as an analytical metho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married working women’s gender role attitude was formed the path of perfect mediating effect on quality of life after passing through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The credibility of the administration in the local government could be known to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 even on quality of life after passing through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Suggesting a plan for promoting married working women’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married career women’s quality of life originates greatly from which our society regards household labor as woman’s role yet. Thus, there is a need of supporting the working women so that work and family life can coexist. In such context, the policy-based measure is demanded that can lead to men’s participation in household chores and childrearing. Second, a women policy plan is demanded for vitalizing family- friendly system available for changing the traditional gender-role value that is left in our society, given considering that the more the married working women stick to the traditional gender-role value, the lower result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was shown. Third, the women policy of considering region-based characteristic needs to be mapped out, through promoting credibility in the local government, when considering the path of perfect mediating effect that the credibility in the local government passes through the women policy satisfaction on the married career women’s quality of life. For this, a study of research institution for women family policy by local government will need to be activat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은 경상북도 경산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 기혼 직장 여성을 임의표집 하였으며, 총 200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유효 분석 자료 14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측정변수를 검토하기 위한 평균 및 표준편차, t 및 F 검증, 상관관계 분석을 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기혼 직장여성의 성역할태도는 여성정책만족도를 거쳐서 삶의 질에 완전매개효과 경로가 형성되었으며, 지방정부 행정의 신뢰도가 여성정책만족도를 거쳐 삶의 질에도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보면 우선,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은 아직까지 우리 사회가 가사노동의 영역을 여성의 역할로 간주하는 데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므로 여성발전기본법에 명시된 구체적인 정책들을 실행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기혼 직장여성은 전통주의 성역할 태도를 견지할수록 여성정책만족도가 낮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고려해 볼 때 우리 사회는 잔존하고 있는 전통주의적 성역할 가치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성정책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기혼 직장여성의 삶의 질은 지방정부 행정의 신뢰성이 여성정책만족도를 거치는 완전매개효과 경로를 감안할 때, 지방자치단체는 신뢰성 증진을 통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여성정책을 입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광역단체별 여성가족정책연구기관의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허숙민(Heo, Suk-Min),박태영(Park, Tae-Yo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8

        이 연구는 장애인의 사회참여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사회적 자본을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 달서구, 경북 영천, 경북 의성의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욕구조사에 사용된 데이터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test,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참여자는 노령장애인이 많고 소득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사회적 자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기부 및 후원, 사회단체에 참여하는 장애인의 사회적 자본이 비참여 장애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 연령, 가구원수, 교육수준, 혼인상태, 장애등급, 경제활동 참여상태, 거주하는 집 유형, 자원봉사활동 참여, 사회단체 참여가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인의 사회단체활동 참여를 요청하고,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uggest measures for replenishing social capital after analyzing an effect that disabled person’s community participation had on social capital.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analyzed data of Dalseo-gu in Daegu city, and Yeongcheon city and Uiseong county in Gyeongbuk province, which were used in community welfare plan need assessment. The research methods are used descriptive statistic, t-test, one-way anova test and hier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included many disabled older persons, and their income level was not high, an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ocial capital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social capital of disabled person’s who participated in volunteer work, donation, support and social group was more than that of disabled persons who didn"t participate. Third, it was shown that gender, age, number of family members,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degree of disability,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status, type of housing, volunteer work participation and social group participation had an effect on social capital.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f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irst, various support measures enabling the invigoration of disabled persons" volunteer work activity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re is necessity of request for the disabled persons"s participation in social group activity and social support that can promote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