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꼼치(Liparis tanakai)의 식성

        허성회 한국어류학회 1997 韓國魚類學會誌 Vol.9 No.1

        꼼치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가덕도와 다대포 사이의 낙동강 하구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꼼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꼼치는 특정 먹이생물에 대해 선택성이 대단히 큰 육식동물로 나타났다. 꼼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였는데, 전체 위 내용물의 건조중량중 74.3%를 차지하였다. 그중 자주새우(Cragon affinis)가 모든 크기군에서 가장 선호된 종이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였으며, 위 내용물의 19.8%를 차지 하였다. 그밖에 게류, 단각류, 곤쟁이류, 갯가재류, 등각류 등이 위 내용물중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꼼치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 종류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위 내용물중 새우류와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성장함에 따라 점차 변하였다. 즉, 4∼10㎝ SL 크기군에서는 새우류가 위 내용물의 거의 90%를 차지하였고 어류의 비율은 5% 이하에 불과하였는데, 성장함에 따라 새우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지고 어류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였다. 31∼45㎝ SL 크기군에서는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30% 이상에 달하였으며,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60% 이하로 감소하였다. Stomach contents of snailfish, Liparis tanakai, caught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examined quantitatively. Liparis tanakai was a bottom feeding carnivores, and showed an almost strict specialization on shrimps and fishes. Shrimps and fishes accounted for 74.3% and 19.8% of the overall stomach contents, respectively. The most selected prey species was Cragon affinis for all fish size classes. The snailfish' s diets included minor quantities of crabs, amphipods, mysids and isopods. Small individuals(4∼10 ㎝ SL) consumed mainly shrimps whic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0% of the stomach contents. However, the portion of the diet attributable to shrimps de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by increased cosumption of fishes. For 31∼45 ㎝ individuals, fishes constituted over 30% of the stomach contents, while shrimps made up approximately 60% of the diet.

      • KCI등재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허성회,곽석남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1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매월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며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줄망둑 (Acentrogobius pflaumii),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수염문절(Chaeturichthys sciistius), 청멸(Thryssa kammalensis), 실양태 (Repomucenus valenciennei) 가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전체 개체수의 66.5%, 그리고 생체량의 34.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붕장어 (Conger myriaster), 병어(Pampus echinogaster),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grypotus),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체장 10㎝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의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10∼1월사이에 많았으며, 2∼3월에 적었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낮은 2∼3월에는 채집 어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A total of 64 fish species wa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nd from May 1989 to April 1990. The dominant species were Acentrogobius pflaumii, Chaeturichthys hexanema, Chaeturichthys sciistius, Thryssa kammalensis, and Repomucenus valenciennei whic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6.5% of the total numbers and 34.5% of biomass of fish collected. Fish collected in the study area were primarily small fish species or early juverniles of large fish species. Only about 15% exceeded 10㎝ in standard length. Seasonal variations in both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were major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area. The peak abundance occurred in April and September, while the number of species was relatively high from October to January. However, both the number of species and abundance of fishes showed the lowest values in winter.

      • KCI등재

        하동 지역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미생물총 분포에 관한 정량 및 정성적 분석

        허성회,정현도,민도,하재이,박준효,김명석 한국어병학회 1998 한국어병학회지 Vol.11 No.2

        바지락 조직과 주변 환경에 있는 세균의 특성과 분포를 여러 배지와 온도 그리고 생화학적 동정 kit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내, 갯벌, 아가미 그리고 외부체액에 있는 미생물의 집락수는 사용한 BHIA, STA 그리고 SNA 배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5℃ 배양조건에서의 증식속도는 25℃와 35℃의 조건에 비해 느린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 세균 집락수는 15℃에서의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배지에서 자란 세균집락을 무작위적으로 선택배지에 옮기면 조직 시료를 직접 도말 한 경우에 비해 높은 비율로 집락형성을 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API 20E와 API 20NE를 사용하여 각 장기 또는 외부에 있는 세균의 종류를 동정한 결과 바지락 조직간에는 서로 유사한 종의 분포를 보이나 주위 환경이 되는 갯벌이나 외부체액에 있는 미생물군의 종류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바지락 주위의 갯벌이나 외부체액의 미생물군은 Pseudomonas 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 조직내의 미생물군에 비해서 훨씬 높은 다양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지락 조직이 주위 환경중의 세균에 대한 선택적 친화력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the natural commensal flora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ssues of clam in Hadong area were studied under varying conditions of growth media and incubation temperatures. Total numbers of bacteria present in intestinal tract, gill, body fluid and surrounding mud were found to be not influenced by the used BHIA, STA and SNA media. Although the growth rate of bacteria at the condition of 15℃ incubation temperature was slower than that of 25℃ and 35℃, i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total bacteria compared with other two different conditions of incubation temperature. Interestingly, the proportion of bacteria able to form colony on several selective media was higher in replica analysis from nutrient media to selective media than that in direct smearing from samples. The generic diversity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tissues and analyzed by API 20E and API 20NE kit showed similar pattern with each other and distinct from that of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of bacteria in the surrounding mud or mantle fluid of clam indicated a high diversity comparable to that found for the gill or intestinal tract microflora, with Pseudomonas being the prevalent group. It implies that the tissues of clam may probide a selective habitat for a commensal microflora.

      • KCI등재후보

        고리 연안에서 채집된 용가자미 (Hippoglossoides pinetorum)의 식성

        허성회,백근욱 한국어류학회 2003 韓國魚類學會誌 Vol.15 No.3

        용가자미의 식성을 연구하기 위해 고리 주변해역에서 소형 기선저인망을 이용하여 1996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채집된 용가자미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용가자미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새우류 (Caridea)였다. 다음으로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가 비교적 많았다. 그 외에 단각류(Amphipoda), 곤쟁이류(Mysidacea), 두족류(Cephalopoda), 갯지렁이류(Polychaeta), 요각류(Copepoda), 게류(Brachyura), 이매패류(Bivalvia)등의 먹이생물이 위내용물에서 발견되었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용가자미는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전환이 명확히 나타났는데, 체장 3∼5 ㎝의 작은 크기에서는 난바다곤쟁이류와 곤쟁이류를 주로 먹었다. 하지만 5㎝이상 크기의 개체들은 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20㎝ 이상의 크기에서는 두족류와 갯지렁이류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We examined the stomach contents of Hippoglossoides pinetorum collected monthly by a small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s of Kori,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H. pinetorum was a bottom feeding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shirmps. Its diets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euphausiids, amphipods, mysids, squids, copepods, polychaetes, crabs and bivalves. It showed distinct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3-5 ㎝ SL) preyed mainly on euphausiids and mysids. However, individuals over 5 ㎝ SL preyed mainly on shrimps. Individuals of 20-28 ㎝ SL fed relatively large quantities of squids and polychaetes together with shrimps.

      • KCI등재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암컷의 난소발달 및 생식주기

        허성회,김성연,이정식,마경화 한국수산학회 200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3 No.6

        참서대 암컷의 생식소중량지수는 6월에 가장 높았다. 난모세포의 발달양식은 난군동시발달형이며, 초기 성장기 난모세포에서 난병과 난황핵이 관찰되었다. 생식주기는 성장기 (2∼5월), 성숙기 (5∼6월), 완숙 및 산란기 (6∼8월) 그리고 회복 및 휴지기 (8∼2월)로 구분된다. 전장 28.1∼30.8㎝의 개체당 절대포란수는 2,197개였으며, 체중 g당 상대포란수는 18.0개였다. Reproductive biology of the female red tongue sole, Cynoglossus joyneri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histological methods. Gonadosomatic index (GSI) was the highest in June. Developmental pattern of oocytes was group-synchronous. Egg stalk and yolk nucleus were observed in the early growing oocytes. Reproductive cycle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glowing (February∼May), maturation (May∼June), ripe and spent (June∼August), and recovery and resting (August∼February). the absolute fecundity per individual (TL 28.1∼30.8㎝) was 2,197 and relative fecundity per g body weight was 18.0.

      • KCI등재

        광양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유어의 식성

        허성회,곽석남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2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collected from the eelgrass bed in Kwangyang Bay were studied. A. schlegeli (1∼7㎝ SL)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amphipods (gammarid and caprellid amphipods), crabs and shrimps. Its diets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gastropods, polychaetes, hydroids, tanaids, copepods and isopods. A. schlegeli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preyed mainly on gammarid amphipods, gastropods and polychaetes. However, crabs and shrimps were heavily selected with increasing fish size.

      • KCI등재

        앨퉁이(Maurolicus muelleri)의 산란상태 및 식성

        허성회,차병열,김주일,김진영 한국어류학회 1998 韓國魚類學會誌 Vol.10 No.2

        우리나라 주변 해역 중 ·심층에서 많이 출현하며,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앨퉁이 (Maurolicus muelleri)의 산란생태 및 식성을 조사하였다. 앨통이는 동해 남부 연안역을 중심으로 연중 산란하며, 주 산란기는 8월 전후로 나타났다. 앨퉁이의 난소에서 관찰된 포란수는 5,072∼32,117개 범위였다. 난경은 3개의 크기군으로 구분되었으며, 0.8㎜ 이상 크기의 난모세포가 산란된다고 볼 때, 1회 산란수는 약 250개로 추정되었다. 앨퉁이는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어류로 부유성 요각류(Copepoda)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 그 외에 단각류 (Amphipoda),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새우류(Caridea) 및 곤쟁이류(Mysidacea) 등의 갑각류를 잡아먹었다. Spawning ecology and feeding habits of Maurolicus muelleri in the Korean waters were studied. M. muelleri spawn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showing a peak in August. Major spawning ground of this species was the southeastern sea of Korea. The fecundity observed from the ovaries of M. muelleri showed a range of 5,072 to 32,117, and the average number of eggs per one spawning time was approximately 250. M. muelleri was a zooplanktivore which fed mainly on copepods. Its diets also included various crustaceans such as amphipods, euphausiids, shrimps and mysi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