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근대일본문학에 나타난 자연재해와 그 폭력성의 연원에 대한 연구-관동대지진(關東大地震)과 조선인학살사건(朝鮮人虐殺事件)을 중심(中心)으로-

        허석 한국일본어문학회 2015 日本語文學 Vol.65 No.-

        本稿は1923年9月1日、關東地方を襲った關東大震災の時に發生した朝鮮人虐殺事件と關わって、そのような暴力的な行爲の根本原因を地震と關わった文學者達の言述を通して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分析によると、林芙美子や芥川龍之介、島崎藤村、寺田虎彦、秋田雨雀など數多くの文學者が朝鮮人の犧牲と關連して知性人としての批判的な姿を見せている。しかし、事件に對するこのような視座と異なって、朝鮮人に對する描寫は人物としての具體性が欠落されたまま集合的な群集名詞の形で現れていて、彼等の朝鮮または朝鮮人に對する認識の限界の一斷面をも見せている。その上、震災とかかわった朝鮮人虐殺は朝日新聞などの分析を通して窺えるように、明治維新以來展開されてきた一連の韓國侵略過程でメディアを通してイデオロギ化されてきた暴徒のイメ一ジと流言を旣定事實化させた行政や警察、軍隊などの國家權力の戰略とが結び付かれて起ったという点において日本が構築してきた近代化の虛構の一斷面を現しているものといえる。

      • KCI등재

        浮かび上がる身? -漱石作品における?泉空間とジェンダ-

        허석 한국일본어문학회 2009 日本語文學 Vol.43 No.-

        1905년부터 1916년 사이에 쓰인 소세끼 작품에는 철도망의 보급, 관광개발, 의학적 언설의 보급, 젠더의 편성 등, 근대 일본 온천상의 성립과정에 있어 다양한 문맥이 쓰여졌다. 소세끼 작품에서 공중목욕탕은 전(前)근대적인 소통의 공간으로서 나타나지만, 소세끼 작품의 남성주인공들이 공중목욕탕을 부정하는 것은 그들이 근대사회의 중심에서 동성사회적(Homosocial)인 남성공동체에 소속되어, 입신출세의 길을 걷는 엘리트의 남성이기 때문이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구샤미선생, 「피안이 지날때까지」의 게이타로) 소세끼가 그리는 남성주인공들은 입신출세의 길을 걷는 과정에서 다른 남성들과의 사이에 동성사회적인 관계를 맺어가는 한편, 여성을 배제한다. (「도련님」「우미인초」「산시로」「마음」) 하지만 그들은 근대적인 규범과 사회질서에 어울리지 못하고 탈출을 바라게 되면서, 일시적으로 사회로부터 도피하는 <주변>적인 공간을 온천에서 발견, 예전부터 배제한 성적인 존재로서의 <여성>을 추구한다. (「명암」) 하지만 이러한 온천공간의 모습은 철도망의 보급에 따른 온천의 관광지화에 따라 생긴 것이며, 온천은 근대적인 질서에 끼워 맞춰진 공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남자 주인공이 자기 자신과 조우하고자 한다면 자신이 직접 사는 도시에서 사회와 맞붙어, 타자로서의 「여자」와 마주 할 필요가 있다. 「그 후」의 다이스께는 남성끼리의 관계에 의존하지 않고 온천으로도 도주하지 않으며, 미치요와의 연애를 통해 성(=에로스)에 의한 자아를 회복해 자기와 신체의 조화를 되찾아간다. 소세끼 작품에 있어서 <온천>의 모습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에 이르러 근대 일본 사회에서 온천의 성립 과정을 언설화 함과 동시에 근대 사회에 놓인 동성사회적인 남성 사회(=사회질서)와 <여성>(=자유로운 「개인」)의 사이에서 동요하는 남성 주체의 모습을 부상시키고 있다.

      • KCI등재

        1950년대의「슈센(終戰)」 망탈리테와 일본 사회의 보수 우경화에 대한 연구-쓰보이 사카에(壺井栄)의 소설 『24개의 눈동자(二十四の瞳)』의 미디어믹스를 중심으로-

        허석 한국일본어문학회 2022 日本語文學 Vol.95 N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d of the war mentalite formed in the 1950s and the conservative right-wing trend in Modern Japanese society, focusing on Sakae Tsuboi’s novel of the Twenty-Four Eyes and its various media mixes. According to the reserch results, the Twenty-Four Eyes is closely related to the end of the war mentalite against the background of Japanese people’s anxious psychology about Japan’s rearmament. In addition, the Shoka often sung in the movie was linked with the memories of school days, returning the audience’s consciousness to infancy, and as a result, it became the cause behind the creation of the end of the war mentalite, which emphasized only the facts of harm and omitted the facts of harm. And the textbook content of the novel and the the continuous TV dramatization since the 1960s influenced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conservative right-wing movement by turning the end of the war mentalite into a collective memory of Japanese society and turning it into an ideology. 이 연구는 쓰보이 사카에가 1952년에 발표한 소설 『24개의 눈동자』의 다양한 미디어믹스를 대상으로 1950년대에 형성된 집단심성의 특징과 보수우경화 현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4개의 눈동자』의 소설과 영화는 패전과 관련하여 비탄과 분노, 회한으로 점철되어 있던 1950년대 일본인의 정서를 창가를 매개로 한 유년기 회귀를 통해, 가해의 사실이 소거되고 피해자적 모습만 전면에 내세운「슈센(終戰)」망탈리테를 창출하는 데에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그리고 동 작품의 교과서 수록과 60년대 이후의 지속적인 TV 드라마화는 「슈센(終戰)」망탈리테를 전쟁과 관련된 기억으로 보편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역사 교과서 왜곡기술 사건 이후, 일본 사회에 본격적으로 대두되는 보수 우경화 현상의 배경에는 이렇게 학교 교육과 TV 드라마나 영화 등을 통해 집합적 기억화된 「슈센(終戰)」망탈리테가 일본인들의 내셔널 아이덴티티의 본질로서 기능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2010년대 NHK 「아침TV연속소설」에 나타난 「근대」 망탈리테 연구

        허석 한국일본어문학회 2020 日本語文學 Vol.85 No.-

        この研究は、日本の公営放送のNHKで2010年代に放映された近代を時代的な背景とした「おひさま」など五つの朝どらの戦争と関連された叙事を中心として、現代日本人が持っている近代に対する知的かつ情緒的認識の総合としてのマンタリテの実体を窮め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研究結果によると、「おひさま」「カーネーション」「ごちそうさん」「マッサン」「あさが来た」などの五つの朝ドラは日清戦争から太平洋戦争へ至る日本が近代に行った戦争に対して開戦事実だけをナレーションを利用して短く伝えるとともに、戦場になった外地の状況を描かないまま戦争の雰囲気を出征者の覚悟と後に残された家族の悲しみで対置する叙事の共通点を現している。これは戦後生まれのものが大部分を占めている現代の視聴者たちに戦争そのものを抽象化させて帝国主義的な侵略という戦争の性格を忘却させると共に戦争に対する被害者的な認識と愛国主義を持たせる重要な動因になってきたといえる。そして、アジア地域の他者に対する認識が欠如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戦争観は最近日本が当面している危機的な状況と絡み合って日本社会の保守右傾化現象を促す一つの要因になりつつあると思われる。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onsider the Mentalités of modern Japanese Modernity through five morning dramas set in modern times including the Asagakita and the Ohisama, the Carnation, the Gochisosama, the Massann aired by the NHK of Japanese public broadcasting in the 2010s. As a result, Five morning drama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that replaced only the facts of the opening with nar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war and did not depict the situation of the foreign field that was the battlefield, but replaced it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spouse and the sadness of the family.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narratives can be said to have distorted the nature of the war of imperial aggression and spread it to the public, while the latter shared patriotism and grief’s disgrace to viewers. It can be said that these mentalités of the Modern through the morning drama was a factor in conservative rightizing the Japanese society by addressing the crisis situation in Japan that occurred in the 201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