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초피 Oleoresin 제조시 용매에 따른 추출물특성과 추출조건에 따른 휘발성 성분 변화

        허상선(Sang-Sun Hur),배동호(Dong-Ho Bae),김상욱(Sang-Uk Kim),최용희(Yong-Hee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7 No.3

        새로운 향신료의 개발을 위한 초피 oleoresin 제조를 위해 용매에 따른 추출특성과 추출조건에 따른 휘발성 성분변화에 대해 실험을 하였다. Oleoresin 추출시, soluble solid 수율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었다. 즉, 지방성분을 많이 함유한 종실은 비극성용매에서, 수용성 색소를 많이 함유한 과피는 극성용매에서 soluble solid 수율이 높았고, 극성이 중간인 dichloromethane과 acetone은 과실과, 종실 모두에서 soluble solid 수율이 높은 편이었다. 향기성분 추출에서 비극성 용매는 limonene과 같은 monoterpene계 휘발성 성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추출하였고 극성용매는 oxygenated terpene계 휘발성 물질을 많이 추출하였다. 휘발성 성분 수율에서는 dichloromethane을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가 다른 6가지 용매를 사용하였을 때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dichloromethane을 사용 용매로 하여 온도, 시간 용매와의 혼합비, 입자크기와 같은 추출조건에 따른 휘발성 성분 수율에서 과피의 경우 25℃, 10분, 1 : 10(w/v), 355~250㎛에서 가장 높았으며, 종실의 경우는 30℃, 10분, 1 : 8(w/v), 355~250㎛에서 가장 수율이 높았다. Such extraction conditions as the kinds of solvent, extracting temperature, extracting time, ratio of material to solvent and particle size of material, were studied to maximize the extraction of oleoresin from chopi. Larger amount of soluble solids were extracted from seeds with nonpolar solvents (hexane, pentane, ether) for extraction, because the seeds contained large amount of crude fats and monoterpene(limonene) volatile compounds. Larger amount of soluble solids were extracted from peel with polar solvents(methanol, ethanol) for extraction because of large amount of water soluble colors, sugars and oxygenated terpene volatile compounds in the peel. The application of the solvents in intermediate polarity(dichloromethane, acetone) resulted in more effective extraction of soluble solid and volatile compounds. Especially, dichloromethane was an excellent solvent in extrac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concern of volatile compound recovery yield,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time, mixing ratio of material to dichloromethane and mean particle size, were 25℃, 10min, 1 : 10(w/v), 355~250㎛ for chopi peels and 30℃, 10min., 1 : 8(w/v), 355~250㎛ for chopi seeds, respectively.

      • KCI등재

        다양한 부형제 첨가에 따른 인삼분말 과립차의 물리적 특성

        허상선(Sang-Sun Hur),김일출(Il-Chool Kim)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3

        인삼과립차의 편의성 및 기호성 증진을 위해 부형제인 젖당, 포도당 및 아라비안 검의 첨가량에 따른 과립차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젖당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포도당의 첨가량이 감소할수록 흡습성은 낮아지고 용해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포닌 용출량은 첨가되는 부형제의 종류 및 양에 영향을 받기 보다는 인삼농축액의 첨가량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라비아 검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습성, 용해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색도는 큰 차이점이 없었다. 부형제 첨가에 따른 인삼 과립차의 최적 배합비는 인삼농축액 10%, 젖당 80%, 글루코즈 5% 그리고 아라비아 검의 함량이 5% 이었 다. The ginseng extract was dried and added forming agents using lactose, glucose and arabic gum to enhance convenience and consumer acceptability. As the addition of lactose increased, the absorption of ginseng granule decreased and the solubility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glucose added decreased. The amount of solubilized saponin from the ginseng granules was affected more by the addition amount of ginseng concentrate than by the kind and amount of the forming agents added. Absorption and solubility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mount of arabic gu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or change(p<0.05). The optimal mixing ratio of ginseng granules according to addition of forming agents was 10% of ginseng concentrate, 80% of lactose, 5% of glucose and 5% of arabic gum.

      • KCI등재후보

        보문 : 모과, 행인 및 백자인의 항산화성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허상선 ( Sang Sun Hur ),김일출 ( Il Chool Kim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1 대한미용학회지 Vol.7 No.4

        In an attempt to find natural sources of antioxidants and whitening agents, comparisons of the antioxidativ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various ethanol extracts of Chaenomelis fructus, Armeniacae semen and Thujae semen were carried out. Comparison of the four ethanol extracts revealed that, Armeniacae semen had the highest electrondonating ability (84.4%) and SOD-like ability (78.0%). The xanthine oxidase experiment exhibited a hindrance effect of 60.6% in Chaenomelis fructus, 15.7% in Armeniacae semen, 82.9% in Thujae semen. A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assa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whitening effects of the extract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50.3% in the Chaenomelis fructus, 46.6% in the Armeniacae semen, 78.3% in the Thujae seme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ethanol extracts of Chaenomelis fructus, Armeniacae semen and Thujae semen can be used as antioxidants and whitening ag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프로바이오틱 균주에 의한 인삼 잎 추출물 발효공정 확립 및 생성물의 품질 특성분석

        허상선(Sang Sun Hur) 한국유화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4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 본 연구는 인삼 잎의 이용증대를 위해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인삼 잎의 잔류농약 추출효과와 발효 인삼 잎의 ginsenoside 유용 유도체의 전환 검토 및 품질 특성을 분석 하였다. 인삼 잎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을 microwave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는 hexane이 가장 효율적 이었다. tolclofos-methyl와 azoxystrobin이 잔류되어 있는 인삼 잎에서의 microwave를 이용한 추출 최적 조건은 power 50~95 watts, 추출용매는 hexane, 추출시간은 3분으로 나타났다. 인삼 잎 추출물의 발효에서 발효 전과 비교하여 Rg 1 과 Rb 1 은 감소한 반면 Rh 1, Rg 3, Rk 1 및 Rh 2 는 발효 후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삼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Rg 3 의 경우 발효전 2.77 ㎍/g에서 발효 후 균주의 종류에 따라 70.62~77.61 ㎍/g으로 증가하였다. 7일간 발효 후 인삼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전자공여능은 일부 균주에서는 발효전과 비교하여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저장조건에 따른 추부 깻잎의 물리적 특성 분석

        허상선(Sang Sun Hur)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4 No.2

        저장조건에 따른 금산 추부깻잎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깻잎의 a/b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온도 25℃와 4℃에서 제 1주성분 값의 기여율은 각각 93.07%, 97.81%로 나타나 전자코를 이용한 저장온도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의 구별이 가능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제 1주성분 값의 변화는 저장온도 25℃에 비해 4℃에서 변화의 폭이 적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rilla leaves cultivated in Geumsan province were analyzed according storage conditions. The a/b values of perilla lea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Electronic nose composed of 12 different metal oxide sensors was used to differentiate flavors of perilla leaves. Sensitivities(delta Rgas/Rair) of sensors from electronic nose were obtained by principal compound analysis(PCA). Proportion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93.07% at 25℃ and 97.81% at 4℃, respectively. In our result, flavor patterns of perilla leave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storage temperature.

      • KCI등재

        정향 추출물로부터 항진균성 물질의 분리 및 동정

        이진만,허상선,Lee, Jin-Man,Hur, Sang-Sun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식품부패미생물에 대한 정향추출물의 항진균력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한 후 그 구조를 확인하였다. 정향 추출물은 대표적인 항진균제인 메타중아황산칼륨 및 myconazole과 비슷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용매분획을 실시한 결과 hexane fraction이 가장 항진균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hexane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분리하여 항진균활성이 가장 큰 분획물인 JH-1, JH-2-1 및 JH-2-2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EI-MS 와 $^1H$-NMR, $^{13}C$-NMR 결과로부터 활성물질의 구조를 동정하였으며 그 결과 JH-1은 eugenol, JH-2-1은 eugenol acetate 그리고 JH-2-2은 chavicol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Antifungal properties of clove(Eugenia caryophyllata) against food spoilage microorganism, Penicillium rugullosum IFO 4683 was investigated. Antifung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was as equivalent as potassium metabisulfite and myconazole. The clove extracts was fractionated to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Hexan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effect on the Penicillium rugullosum IFO 4683. Hexane fraction was further fractionated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The antifungal compound was isolated from their fractions and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eugenol, eugenol acetate and chavicol by EI-MS, $^1H$-NMR and $^{13}C$-NMR.

      • KCI등재

        Leuconostoc mesenteroides sp. strain JFY 균주에 의한 만니톨 발효 조건의 최적화

        유선균,허상선,송석환,김경민,황경숙,Yoo Sun Kyun,Hur Sang Sun,Song Suckhwan,Kim Kyung Min,Whang Kyung Sook 한국생명과학회 2005 생명과학회지 Vol.15 No.3

        기능성 식품 첨가물 중에서 당 알코올은 최근 그들의 탁월한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당 알코올 중에서, 만니톨$(C_6H_{14}O_6)$은 식품, 화장품, 제약 산업 등에 매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인체에 독성이 없어 미국 FDA에 의하여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승인이 되어 이에 대한 수요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발효 김치에서 분리 된 L. mesenteroides sp. strain JFY 균주를 이용하여 과당으로부터 만니톨 생산을 위한 최적 생물 전환 조건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만니톨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들은 pH 6.5, 배양온도 $28^{\circ}C$, 효모 추출물의 농도 $0.5\%$, 과당의 농도는 $10\%$이었고, 이 조건에서 최대 만니톨생산은 31.5g/l이었다.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foods providing health benefit is one of the fast growing fields in the food industry. Mannitol as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is a functional food. Mannitol is about $70\%$ as sweet as sucrose and slowly and incompletely absorbed from the intestine, suppling only about one-half energy value of glucose. Commercially, the mannitol is synthesized by catalytic or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glucose. However, as strong demand for natural products increased, biologica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mannitol produc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s of mannitol fermenta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sp. strain JFY isolated from fermented vegetables. The processes parameters such as pH, temperature, yeast extract concentration, and fructose concentration were optimized. The chosen ranges were 4.5 to 7.5 for pH, 22 to $34^{\circ}C$ for temperature, 0.05 to $2.0\%$ for yeast extract. and 5 to 350 g/L for fructose. The mineral medium used consisted of 3.0g $KH_2PO_4,\;0.01g\;FeSO_4{\cdot}H_2O,\;0.01g\;MnSO_4{\cdot}4H_2O,\;0.2g\; MgSO_4{\cdot}7H_2O,\;0.01g\;NaCl,\;and\;0.05g\;CaCl_2$ per 1 liter of deionized water. The optimum values of pH, temperature, yeast extract, and fructose concentration were obtained at about pH 6.5, temperature $28^{\circ}C$, yeast extract $0.5\%$ and fructose 30g/L. At optimum condition, the production of mannitol amounted to 31.6g/l. We hope that these findings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industrial application of mannitol pro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