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 巫 물질문화의 유사성에 대한 소고 - 신장대와 오누사 및 금줄과 시메나와를 중심으로 -

        조정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8

        The origin of Korean and Japanese culture may be found in shamanism (巫). Shamanism has been inherited as superficial Moo-sog (巫俗) in Korea under spreading of high religions like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so on. However, in Japan, shamanism has been inherited as national religion Shindo (神道, しんとう, しんどう). Just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passed on to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it may be assumed that Korean shamanism was also passed on to Japan during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cademic world, it was suggested that there has been the existence of ‘Hata Clan (秦氏) coming over to Japan,’ and that a maternal ancestor of the Japanese emperor worshiped as gods in Shindo was Baekje people. Also there is a study that looked at Matsuri (祭り, まつり) and Korean shamanistic ritual (Kut), which are rituals in the same context. However research on its propagation or mutual influence is insufficient,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comparing Korean shamanism and Shindo. The main reas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n particular both Korean shamanistic rituals and Matsuris emphasize the originality of each region. In this regard, Japanese records for Japanese shamanism and Shindo are older than domestic records for Korean shamanism. Although it is argued that Japan has been handed down a lot of culture through the geographically adjacent Korean Peninsula, arguments on the spread of Korean shamanistic culture to Japan are lacking.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basic search, noticed that Hata Clan (秦氏) founded the origin jinja (Shinto shrine) of the Inari deity (稲荷神), which is believed in about 32,000 jinjaes (神社) out of about 100,000 jinjaes, and has served as chief priest since AD ​​711. When ‘Shilla-related people Hata Clan (秦氏)’ was to disseminate rice cultivation and weaving techniques by relocating to Japan to escape ‘the constant war between Silla and Goguryeo and between Silla and Baekje’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Silla ruling classes’, it was possible that the Korean shamanistic folkway was also introduced directly or indirectly to Japan. From this point of view, in this paper, the similarity between geumjul (禁-line) and shimenawa (注連繩) that differentiate holy ground is discussed, and also the one between shinzangdae (神將-stick) and ōnusa (大幣)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n and Japanese shamanistic events. According to this paper, shinzangdae & ōnusa and geumjul(禁-line) & shimenawa (注連繩) that have widely been used in Korean shamanism and Shindo, had been spread in the period of rice farming and jute (麻) delivery from Korea to Japan by the doraein (渡來人) who crossed over to Japan from Korea. Follow-up studies for this are needed in various ways. 한국과 일본 문화의 시원은 무(巫)에서 찾을 수 있다. 무(巫)는 불교, 유교, 기독교와 같은 고등종교의 전파 속에서도 면면히 이어져 한국에서는 무속으로, 일본에서는 신도(神道)로 남아 있다. 불교와 유교가 한반도에서 일본에 전해진 것처럼, 무(巫) 문화도 도래인(渡來人)에 의해 한반도에서 일본에 전해졌으리라 짐작할 수 있으나 이를 밝힌 연구는 없다시피 하다. 다만, 신라계 도래인 하타씨의 존재가 학계에서 인정되고 있으며, 신도에서 신으로 신앙되는 천황의 조상 모계가 백제 인이라는 주장이 있었고, 신령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쓰리(마츠리, 祭り, まつり)와 한국 굿을 같은 맥락에서 조망한 연구가 있으나, 그 전파나 상호간 영향을 탐색한 연구는 미진하다. 한국의 무(巫)와 일본의 신도(神道)를 각각 고유한 것으로 조망할 뿐 그 관계를 비교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 주된 원인은 한국의 무(巫) 의식이나 일본 신도(神道)의 마쓰리가 지역별 시원을 강조해온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무(巫)에 대한 일본 기록은 한국 무(巫)에 대한 국내 기록보다 역사가 오래되었고, 한국 무(巫) 문화의 일본 전파에 대한 논증은 없다시피 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하타(秦)씨가 10만 여개의 일본 신사 중 3만 2천여 개의 신사에서 신앙되는 이나리 신(稲荷神)의 본산을 창건하여 서기 711년 이래 신직을 맡아 제사를 관장해오는 점에 주목하여, 신라와 고구려 및 신라와 백제의 끊임없는 전란과 신라 지배층간의 갈등을 피해 일본으로 이주한 신라계 하타씨가 일본에 정착하여 벼농사, 양잠, 직조 기술 등을 전파할 때 무(巫) 습속도 직간접적으로 일본에 전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무(巫) 의식과 행사에서 두루 사용되는 신장대(神將대)와 오누사(大幣) 및 금줄(禁줄)과 시메나와(注連繩)의 전파를 파악하는 기초적인 탐색을 하였다. 한국의 금줄과 일본의 시메나와를 외적인 모양과 기능 및 벼농사 전래와 도래인(渡來人)의 일본 이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한국의 신장대와 일본의 오누사 역시 외적인 모양과 기능 및 마지(麻紙)의 일본 전래와 도래인(渡來人)의 제사 주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오누사와 시메나와는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전파된 물질문화로 볼 수 있으나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실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A model of change in schizophrenia

        Hoe, Maanse(허만세)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0 No.2

        지역사회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그 치료기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의 부족으로 그 성공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어 왔다.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치료기제에 대한 불명확한 이해는 정신분열병의 치료 성과 연구에서 핵심적인 문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치료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한 개념적인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신분열병의 인지재활 모델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가능한 개념적 모형들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들에 대한 통계 시뮬레이션 모형 검토를 하여 최종 모형을 제시하였고, 이 모형에 대한 함의와 한계를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음주문제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

        허만세 ( Hoe Maans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1

        최근에 중년 여성의 음주문제가 매우 심각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여성의 음주문제는 낮은 자아존중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자아존중감이 음주문제와 인과적 관계를 갖는다면, 음주문제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에 자아존중감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내외 선행연구들에서 음주 문제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의 원자료를 cross-lagged panel design의 틀을 기준으로 분석 자료를 추 출하여, 두 변인의 선후관계를 분석하는 Latent Difference Score 모델을 이용하여 음주문제와 자아존중감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복지패널의 1차년도와 2차년 도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은 음주문제 변화의 원인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두 변인의 인과관계는 1차년도와 5차년도 사이에서도 유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함의를 연구방법론적인 측면과 중년여성의 음주예방에 대한 실천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l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Data was extracted from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hich began to be collected since 2006. Subjects were 497 women aged between 40 and 60 as of 2006.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every year from 2006 to 2010, were analyzed using Latent Difference Score model.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women was caused by self-esteem in the years between 2006 and 2007. Second, low self-esteem was still a cause of problem drinking in the years between 2006 and 2010. Last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was held when the factors of age, poverty status, and education were controlled. Stud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data analysis methods and alcohol prevention programs.

      • KCI등재

        한국어판 축약형 CES-D 척도의 측정불변성 검증

        허만세(Hoe, Maanse),박병선(Park, Byung-sun),배성우(Bae, Sung-wo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2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판 11문항 CES-D 척도의 요인구조를 검사하고 성별 및 연령대에 따라 측정불변성이 유지되는가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전체 응답자 중 1차, 2차, 3차년도 모두 11문항 CES-D 척도에 응답한 20세 이상의 응답자 10,609명을 대상으로 1차 연도자료를 통하여 구축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이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결과 11문항 CES-D 척도는 4요인 모형에 잘 부합되고 있었으며, 성별 및 연령집단 사이에서 측정불변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를 본문에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11-item Korean version of the CES-D scale us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to test its measurement invariance over gender as well as age group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609 adults who answered 11 items of CES-D scale from the 1st wave to the 3rd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data was extracted from he 1st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was analyzed using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11-item Korean version of the CES-D scale fits well to a 4 factor model and that its 4 factor model are invariant across gender as well as age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Assess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Symptom Inventory with People with Schizophrenia

        허만세(Hoe, Maan S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2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을 사용하여 한국판 BSI(the Brief Symptom Inventory)의 문화 및 생태학적 타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6개의 건강증진센터에 등록한 219명의 조현병 환자였다. 현장실천가가 연구 참여자들을 직접만나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거하였다. 설문조사 이후에 5명의 현장실천가들로 구성된 초점집단인터뷰가 진행되었으며, 이와는 별도로 5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심층적인 반구조화된 질적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설문지를 통하여 얻어진 양적 자료를 이용하여 BSI의 구성 타당성을 검사하기 위한 일련의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되었고, BSI를 사용함에 있어서 나타나는 현상을 이해하고 생태학적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질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BSI의 단일요인 모형이 요인상관이 있는 아홉 요인 모형보다 자료에 더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위 아홉 영역들 역시 독립적으로는 자료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자료 분석 결과 BSI는 문화적 및 생태학적 타당성을 갖춘 증상척도임이 드러났다. 하지만 BSI 문항이 응답자들에게 일정정도 심리적인 어려움을 일으키며 몇몇 문항들은 생태적 타당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 연구결과들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어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cultural and ecological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Symptom Inventory by using a mixed method approach.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19 Korean adults with schizophrenia from six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centers at Seoul. Clinicians met participants in their routine practices and administered the BSI. Afterwards, intensive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5 study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y a researcher and a clinician,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5 clinicians working at the six community based mental health centers was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BSI whil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mes related to administering the BSI.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tudy data support the one-factor model of the BSI. However, each of the nine sub-dimensions shows a good model fit to the data. Qualitative data analysis reveals three significant themes. First, the BSI is a culturally and ecologically valid symptom measure. Second, participants point out the matter of some psychological burden. Lastly some wordings in the BSI might not be culturally appropriate for Koreans. Stud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어판 CES-DC 11의 개발

        허만세(Hoe, Maanse),이순희(Lee, Soon Hee),김영숙(Kim, Young S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1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CES-DC(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hildren)의 축약판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도시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552명을 임의표집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분석, 내적 일치도 분석, 준거타당도를 위한 상관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구조 분석결과, 한국어판 CES-DC 11 척도는 4요인모형이 통계적으로 더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판 CES-DC 11 척도의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α 지수가 .906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준거타당도 검사 결과 동일한 심리속성을 측정하는 척도(CES-DC 20, CES-D 11)와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이론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을 측정하는 척도(PANSI-NSI)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이론적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속성을 측정하는 척도들(RES, SWLS, PANSI-PI)과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어, 한국어판 CES-DC 11의 준거타당도가 일정수준에서 잘 유지됨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어판 CES-DC 11 척도가 국내에서 청소년의 우울을 측정함에 있어서 그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척도임을 보여 준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와 후속연구를 본문에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11-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the K-CES-DC 11), examining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consisted of 552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Various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used including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ronbach’s α index was .94, showing high level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CES-DC 11. Second, the results of the criterion validity analyses showed that the K-CES-DC 11 showed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s measuring the same psychological attributes (CES-DC 20, CES-D 11); a high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s measuring the theoretically similar attributes(PANSI-NSI); high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cale measuring the theoretically negative-correlated attributes (RES, SWLS, PANSI-PI), suggesting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K-CES-DC 11 to some degree. Lastl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correlated 4-factor model of the K-CES-DC 11 fitted best to the dat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CES-DC 11 would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measuring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Korea. Stud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상생활계획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로모형 분석

        허만세(Hoe, Maan-Se),김이영(Kim, Yi-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2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독립변인을 선정하여 정신분열병 환자의 일상 생활 계획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모형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정신분열병 환자 429명을 대상으로 병식, 자기 효능감, 재활준비도, 문제해결능력 및 생활계획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회복의 관점에서 생활계획에 대한 요인들의 경로모형을 탐색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재활준비도는 병식과 일상생활문제해결 및 대인관계문제해결 변인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 효능감은 병식과 일상생활문제해결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대인관계문제해결에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병식은 문제해결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자기효능감 및 자기효능감과 재활준비도로 이어지는 간접경로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생활계획에 대한 요인들의 경로모형을 탐색한 결과, 병식은 생활계획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다른 여러 요인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생활계획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path model of influencing factors on daily life planning in persons with schizophrenia from the perspective of recovery. The sample consisted of 427 schizophrenic patients i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Insight, self-efficacy, rehabilitation readiness, problem solving skills, and daily life planning were measur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i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rehabilitation readi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two problem solving skills (daily life problem solving skill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 Second, self 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daily life problem solving skill, but did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ight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 Third, insight influenced the two problem solving skills directly while influenced them indirectly through self-efficacy as well as the mediated path of self efficacy and rehabilitation readiness. Fourth, in the final path model based on the perspective of recovery, daily life planning was influenced indirectly by insight through various paths among self-efficacy, rehabilitation readiness, problem solving skills while the direct effect of insight on the daily planning disappeared. These findings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rehabilitation programs for enhancing recovery from schizophrenia.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 자살위험군 선별을 위한 CES-D의 임계치 개발

        허만세(Hoe, Maanse),도문학(Doh, Moonhak),김영숙(Kim, Youngsoo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2

        본 연구는 자살위험이 있는 노인을 선별하기 위해 우울척도인 CES-D11 척도의 자살위험군 임계치를 개발하고, 개발된 임계치를 이용하여 자살위험군에 속하는 노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경북 의성에서 거주한 65세 이상 노인 394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ES-D11 척도의 자살위험군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ROC Curve 분석과 자살위험군 농촌노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test에 사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I 자살척도의 표준화된 절단점인 9점을 활용해 ROC Curve 분석을 실시한 결과 CES-D11 척도의 자살임계치는 6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척도의 자살임계치 6점을 기준으로 자살위험군과 비위험군을 구분하는 이분변수를 만들어 이에 대한 교차분석과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CES-D11 척도의 6점 이상인 자살위험군 집단에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연령 구분, 학력 유무, 독거노인 여부, 사별 여부, 정서적 고독감, 노인생활만족도, 절망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살예방연구와 실천에서 우울척도인 CES-D11의 활용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농촌노인의 자살예방사업에서 CES-D11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연구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ut-off score of CES-D11 for screening for suicide risk in the elderly and to explore suicide risk factors affecting those elderlie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94 persons over 65 years old living in Uiseong, Gyeongsangbuk-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OC curve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a cut-off score of CES-D11 for a suicide risk assessment and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o explore factors affecting the rural elderly suicide risk. The major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is as follows. First, ROC curv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cut-off score of CES-D11 for a suicide risk assessment is 6.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using dichotomous variables dividing suicide risk group and non-risk group by the 6 points of CES-D11, it was found that the age, education, elders who live alone, bereavement, feeling of loneliness, hopelessness, and life satisfac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e risk. These study findings imply that CES-D11 would be a useful screening tool for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implication is presented.

      • KCI등재

        중년기 여성의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의 종단적 관계에 대한 빈곤의 효과 검증

        허만세(Maan Se Hoe),손지아(Ji A S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중년기 여성의 문제음주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만 40세-60세)의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이 2006년에서 2009년까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 이 두 변수의 변화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를 검사하였으며,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및 이 두 변화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빈곤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복지패널자료에서 기준 시점인 2006년에 만 40세에서 60세에 해당하는 여성 724명이었다. 문제음주와 자아존중감을 2006년에서 2009년까지 해마다 반복 측정한 자료를 이원잠재성장곡선모형(B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l)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문제음주는 연도별로 증가하고 있었다. 둘째, 중년기 여성의 자아존중감은 연도별로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빈곤가구의 경우 문제음주 변화와 자아존중감 변화 사이의 초기값뿐 아니라 변화율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빈곤가구의 경우에는 모두 다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여성에게 특화된 예방 및 치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빈곤가구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개입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women has been largely increased, but there are lack of research on the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had been changed from 2006 to 2009; to examine if there i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 of problem drinking and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to test the effect of poverty on the correlations. Data was extracted from Korea Welfare Panel Dataset, which began to be collected since 2006. Subjects were 724 women with age of 40 to 60 at 2006.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which were repeatedly measured every year from 2006 to 2009, were analyzed using Bivariate Latent Growth Curve Mod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oblem drinking in middle-aged women was changed over time from 2006 to 2009. Second,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was changed over time from 2006 to 2009. Lastly, correlations between change rates as well as between initial status of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were both significant for poverty family women while were not both significant for non-poverty family women This findings appear to confirm that poverty influences the change of problem drinking as well as the change of self-esteem and their longitudinal relationship. Stud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lcohol prevention programs are needed for middle-aged women. Second, gender-responsive treatments should be delivered to middle-aged women. Lastly, self-help improvement programs for poverty family women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지역정신보건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분열병환자의 성별 증상차이와 사회복지실천의 과제

        허만세(Maan Se Hoe),김민석(Min Suk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7 No.-

        이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성별 증상차이에 근거한 실천방안 적용시 나타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정신분열병의 성별증상차이는 비교적 명확한 것으로 보고하였지만 증상 측정시 남녀집단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되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결과들은 비교가능하지 않은 증상을 비교하거나 특정집단을 과대·과소 측정하는 등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실천방안 역시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는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이 정신분열병 남녀집단에서 유지되는지를 검토하고 이에 근거하여 성별증상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6개 지역사회보건기관에 참여하고 있는 230명의 정신분열병환자였다.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측정불변성은 다집단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토되었고 성별증상차이는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비교되었다. 다집단 확증적 요인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인 증상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간이증상검사도구의 전체기준지표와 간이증상검사도구의 하위측정영역인 신체화, 강박, 불안, 공포불안의 경우 평균비교가 가능한 측정불변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우울, 적대감, 정신증의 경우 구성불변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증상비교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기발병한 정신분열병 남자집단과 후기발병한 정신분열병 여자집단 간 증상차이를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전체기준지표, 신체화, 강박, 대인예민성, 불안증상의 정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알려준다. 첫째, 성별증상차이에 대한 실천방안 적용시 발병연령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남녀집단간 증상유형의 차이와 관련된 실천방안의 내용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정신분열병환자가 획일적 적응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지역정신보건프로그램의 가정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실천연구에서 집단간 비교를 할 경우 측정불변성검증을 수행한다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보다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measurement invariance of the Brief Symptom Inventory(BSI) in order to examine possible practical fallacies in implementing intervention approach based on symptom differences across gender in community 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people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re seems to be the symptom difference across gender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but they did not examine measurement invariance of symptom scales used which led to limitation in the validity of their findings. Thus, previous findings of symptom difference across gender might not be valid or biased caused by lack of construct validity of scales so that might mislead clinicians to apply knowledge of gender difference in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