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와 미래가치 ; 제주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

        허남춘 ( Nam Choon He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4

        ‘세계화’가 시대적 소명이 되어가면서 한국문화의 세계화는 문화산업의 근간처럼 말하고 있다. 국가와 민족 단위의 문화를 논하는 단계에서 하위 단위의 지역을 중시하는 경향도 나타나 세방화(세계지방화, Glocalization)가 함께 추진되고 있다. 그래서 제주문화도 세계화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한국문화의 세계화 전략이 예술·전통·생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색되었고, 지난 세기에 비하면 비약적인 성공을 보인 점도 인정되지만 아직 초보 수준이다. 음악·드라마·영화에서 ‘한류’를 형성하고 그 상승기류를 타고 한식이 부상하고 있다.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생산에도 심혈을 기울이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진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제주문화의 세계화 전략도 그 정체성 규명에서 시작돼야 하고, 제주문화의 힘 내부에 작동하는 원리를 찾아야 한다. 문화의 이론화가 선행 작업이어야 한다. 그래서 문화 연구를 위한 연구자 양성이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문화의 이미 지화·정보화·기호화를 통해 이미지를 제고해야 한다. 아울러 문화를 활용하여 기획하고 연출하고 공연할 인력양성과 문화 확산에 주력해야 한다. 삶의 총체적 현상으로서의 문화를 산업화하는 데도 나서야 하니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이 21세기 화두다. 제주는 콘텐츠의 기반이 되는 이야기가 풍부하다. 특히 구비 신화는 세계적인 수준이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 장수식품과 음식문화, 해녀를 위시한 해양문화, 돌하르방과 돌담과 같은 돌 문화도 세계인에 친숙하면서도 제주만의 독특함을 간직하고 있어 세계화가 폭넓게 진척될 수 있다. 세계화의 단서가 있으니, 문화 연구자 양성과 이론화 작업과 같은 문화 토대 사업이 전제조건임을 밝혔다. While ‘globalization’ becomes the calling of the times,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culture says like the basis of the culture industry. The tendency to make much of the area that was a national low rank unit appeared, and Glocalization became a target of the interest. So the Jeju culture has begun to establish interest for the globalization, too. A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Korean culture was groped for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rt· Tradition·Life culture. There was success that was more rapid than a last century, but still a beginner level. ‘Korean wave’ was formed in a Music· Drama·Movie, and Korea food succeed in a globalization with such situation. Korea put the energe to the culture contents production that utilized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tudy to think of identity of the Korean culture consisted lively.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Jeju culture must begin with the identity searching too. And we must look for a principle to operate in the power inside of the Jeju culture. There must be theorization of the culture by the precedent work. So the researcher training for culture studies is required. Next, we must improve an image of the culture. We must concentrate power on the talented person training and culture diffusion at the same time. If it comes to look like this, ability to plan culture, and to direct it, and to give a performance grows up. A development strategy of culture contents to make culture industry is a topic of the 21st century. A story to become the base of contents is rich in Jeju. The possibility of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very bright because the folklore myth is a global standard. Also food culture, marine culture, the stone culture can be made the world. There is not only familiarity to cosmopolitan but also uniquity in Jeju culture. The handhold of the globalization is in Jeju. Therefore operation based on culture such as the culture researcher training and the theorization must be performed.

      • KCI등재

        琉球 오모로사우시의 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성

        허남춘(Heo Nam-choon)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지금 일본에 속해 있는 오키나와는 중세에는 유구(琉球)라는 왕국이었다. 그곳은 일본의 주변부로 전락하고 말았지만 과거에는 중세 영웅서사시를 꽃피웠던 곳이고, 지금도 많은 신화가 전해오고 있다. 그 신화로부터 새로운 정보를 흡수한다면 우리 신화 해석의 단서를 마련할 수도 있고, 보편 신화의 원리를 파악하는 데 더없이 유용할 것이다. 그런데 우선은 우리의 시각으로 그들 신화를 보려 한다. 우리 신화를 일차적인 논거로 삼아 이룩한 신화의 일반이론을 유구신화에 적용해 검증하면, 그쪽에서는 하지 못한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그래서 중심부 한국신화와 주변부 제주신화를 대비하여 얻은 성과를 중심부 일본과 주변부 오키나와 신화 연구에 적용하려 한다. 제주와 오키나와는 여러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본토와 다른 독특한 민속이 있다는 점도 같고, 본토의 폭력 때문에 큰 희생을 겪었던 점도 같다. 그러나 무엇보다 주목을 요하는 것은 무속과 신화(구비서사시)와 의례가 살아 있다는 점일 것이다. 본토에서는 유교와 불교 같은 중세 이념에 의해 거의 사라진 고대적 사유와 의례와 문학이 변방 섬에 온전하게 전한다는 것은 큰 공통점이다. 본고는 무속적 전통에 주목했고, 구비전승을 중시하는 태도를 취했다. 유구의 창세신화인 아만츄 이야기는 제주도의 〈천지왕본풀이〉 비슷하게 하늘과 땅을 만든 내력이 적혀 있다. 또한 섬을 만들고 사람이 살도록 해주었던 삽화는 설문대할망 설화와 유사한 일면도 있다. 이것이 원시 서사시적 흔적이라 하겠다. 그러나 아만츄 혹은 아마미쿄 이야기는 후에 중세서사시를 집대성한 ‘오모로사우시’ 속에 편입되고 만다. 철을 사서 농기구를 만들어 백성들에게 공급했다는 사츠토의 이야기는 철기문명과 연관된 고대 서사시의 흔적이라 하겠다. 유구 초기 지배자들은 천상계에서 하강한 신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천상계의 권위를 빌려 지상을 통치하려는 고대 영웅서사시의 전형이라 하겠다. ‘오모로사우시’는 고대 영웅서사시를 모방한 중세 영웅서사시다. 고대 서사시와 다른 점은 백성과 농업과 평화를 강조하고, 왕과 왕실에 대한 찬탄과 찬미의 주제가 주류을 이루게 바뀌었다는 점이다. 그것들은 중세예악의 질서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그래서 오모로사우시는 고대 서사시(신화)를 본떠 지배자의 가계를 신성하게 만든 조선의 <용비어천가>와 같은 사유를 담는다. 유교와 불교로 대표되는 중세 질서에 의해 지배되는 상황 속에서도, 지배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에게 익숙한 고대 영웅서사시를 복원하여 그 속에 녹여 놓았다. 유구에 오래 전부터 존재하던 원시, 고대 서사시가 ‘오모로사우시’에 남게 된 이유다. 강력한 중세 지배자의 역사 논리 속에도 고대적 사유의 흔적이 남게 마련이다. 어디에서 가져왔든 유구에도 원시적, 고대적 사유를 담은 서사시가 존재했고 그것들은 작은 폴리스 정도의 국가 형태였을 것으로 본다. 그 후 중세 질서에 의해 위압당하고, 17세기 일본의 영향 하에 놓인 뒤 19세기 말 완전히 편입되면서 유구의 전통은 말살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중심부에 의해 주변부가 억압당했던 역사는 바뀌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신화의 연구에 있어서도 주변부라 칭해지던 곳의 독자성과 지역 주권이 인정되는 쪽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In Ancient times Giant Amantsu(아만추) lived in Okinawa. It was said that meaned ‘a heavenly person’. The sky was low and the human being lived like a frog, so the Gient Amantsu(あまんちゅ) thought people miserably, and lifted the sky by the power of both arms and both legs. In addition, the sun and the moon have left this location carrying pole. There is the record that this God gave a letter, and there is the meaning as the culture hero as a giant. According to another view, the etymology has an Amami-shoto Islands person who came from Kyushu. Visiting of God from the sea coming down from Heaven ware put together. You must pay attention to the specialty as the myth in the origin had conjunction with nature separation. The founder of Miyako came out of the earth, but God and Goddess named Kisou and Husasou is the origin of the human. In addition, as for the representative Creation myth of Miyako, the Goddess who went down from the sky made Miyako-jima Island and married with the terrestrial living thing, and having made human being prosper. However, ancient myths of Okinawa are condensed in Omorosausi(오모로사우시). The reason why Shamanism courtesy of Jeju Island and Okinawa is important inherits the thing which has disappeared magnificently in the different area while just maintaining cultural inception characteristics, and it is a point to continue having a feeling of throbbing pulse. When it is destroyed for the first by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destroyed for the second thoroughly by modern civilization, it may be said that it is big value to keep elements of the ancient times well. It may not have the big meaning to be unique with the thing which Okinawa has. However, Okinawa preserve universal human`s inheritance for several thousand years before the past, so these are important value that remain the universal speculation and courtesy and literature. The reference about a north direction, a continent, and visiting God has a plan to admit into the universality of Japanese myth. It is necessary to escape from the propagation theory and system theory under pretense of universalism. We have to escape from the nationalism which denies originality that emphasizes a state instead of rural areas, and emphasizes Okinawa instead of Ryukyu Kingdom. Now, We have to begin to follow in the direction which accepts the originality of the ethnic minority alienated from a big framework called a race in response to oppression and exclusion. It is necessary to widen interest from the third world(nationalism) to the fourth world(a minority race). True modernization is completed just by conquering class inconsistency and race inconsistency simultaneously. When you consider a myth, it is necessary to classify a ancient-times nature and medieval times. Hashi Shou was sovereignty of the Middle Ages. In order to make rule steadfast, the myth loved by the public is operated and it was begun to make a new ruler’s authority. Therefore, the ancient heroic epic is included in Omorosausi.

      • KCI등재

        일반논문 : 설문대할망의 창세신적 특성과 변모양상 -주변민족 여성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남춘 ( Nam Choon Heo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설문대할망 이야기는 지금 전설로 남아 있다. 할망이 밥 짓고 빨래하고 바느질하던 흔적도 있고, 할망이 놓다 만 다리도 있다. 대개는 할망의 실패담이며 그 끝에는 죽솥에 빠져 죽었다거나 물장오리에 빠져 죽었다는 비극적인 전설이다. 그런데 할망이 한라산과 360여 개의 오름을 만들었다는 지형 형성의 이야기가 있어 우리를 주목하게 했다. 그것은 창세신화의 흔적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문대할망이 천지를 분리하는 이야기에 덧붙여 바다에서 흙을 퍼올려 섬을 만들었다는 창세신화도 보인다. 이런 여성 창세신은 동아시아에 보편적이었다. 유구(琉球)에는 붙어 있는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는 여신 아만츄가 있다. 중국소수민족 신화에도 여신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킨다. 아부카허허는 하늘과 땅의 공간을 구분하고, 이어 낮과 밤의 시간을 구분하는 여신이다. 유구의 아마미쿄는 아만츄의 변형인데, 천상의 흙을 가져다가 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천상에서 가져왔다고 했지만, 일부 이야기 속에는 바다 저편에서 가져왔다는 흔적이 있어, 수직적인 세계관에 앞서 수평적 세계관이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수직적 세계관은 천상과 연결되고, 천상이 남신과 연결된다. 창세신화는 서서히 여신에서 남신으로 바뀐다. 만주족 신화를 예로 든다면, 아부카 허허는 뒤로 물러나고 아부카언두리라는 남신이 천지를 창조한 것으로 변모한다. 제주도 <초감제>에서는 도수문장이 하늘과 땅을 분리시켰다고 했다. 그 후 하늘과 땅은 저절로 개벽한다는 이야기로 바뀐다. 천지혼합의 상황에서 어느 날 천리가 분리된다고 했다. 인격신이 등장하던 이야기는 사라지고 비인격신의 이야기가 나타난다. 음양과 청탁의 기운으로 천지가 분리된다고 하는 일본 신화의 예를 보더라도 신화 속에 중세 합리주의적 사고가 작용하게 된다. 여성신에서 남성신으로 바뀐 신화체계는 지속된다. 여성신 이야기는 계속 풍화된다. 할머니 신은 마고나 노고가 되고 산신으로 숨어든다. 설문대할망도 음부로 물고기를 잡거나 사냥을 하는 세속화된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전락하고 만다. 그런데 왜 우리 시대에 갑자기 여성신이 호출되는가. 설문대할망 이야기가 다시 부활한 것은 나름의 연유가 있을 것이다. 여성신의 순수증여와 사랑은 남성신의 횡포와 우승열패의 신화가 횡행하는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기대가 작용하기도 했다. 원시와 고대의 신화 속에 담긴 중요한 메시지, ‘사람과 다른 생명체,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를 회복하려는 의도가 작용하기도 했다. 여성신화의 부활 속에서 우리는 경쟁의 사회에서 공감의 사회로 나아가고자 하는 기미를 느낄 수 있다. 무한 경쟁으로 지구를 파멸시켰던 근대문명을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생명을 중시하는 정신이 창세신화를 통해 회복되기를 기원하는 바람으로 이 논문이 작성되었다. Seolmundaehalmang story is left as a legend now. There was also a trace where an Grandmother(Halmang) cooked rice, washed and did needlework, and there is also a bridge an Grandmother made. It`s a failure story of the Grandmother and is the tragical legend which fell in the vowel and died. By the way there is a topography formation story that an Grandmother made Halla Mountain and 360`s small mountains, and the story become focus of public attention. That`s a mark of a creation myth. And there is the motif which she separated a universe and the creation myth which made an island Jeju. Such female creation of the world is general in East Asia. There is Amanchu goddess who separate sky and ground in Okinawa. Such goddess are many in Chinese minority race, for example Abukaheoheo. Amamikyo(transformation of Amanchu) of Okinawa brought soil on the sky and made an island. There was story that brought it from sky, but there is the trace which brought from the sea other side. There was a horizontal view of the world prior to a vertical view of the world, I looked. The vertical view of the world can be connected in the sky, and the heaven can be connected to the male deity. The Creation myth gradually turns into a male deity instead of goddesses. After many time has passed, A male deity separate the sky and the ground in the myth in Jeju Island genesis. This story of the male deity turned into the story that sky and the ground was created naturally. There was said that one day sky and the ground was separated in the situation of the nature mixture. The mythos which turned into a male deity from a goddess was continued. As for the goddess story, it is weathered all the time. The old woman becomes Mago and becomes a mountain god. By the way, why is a goddess asked to come suddenly in the present times? There will be some reasons why a Seolmundaehalmang story revived again. The tyranny of the male deity produced a myth of the survival of the fittest, and such a myth laid the rat race. The pure donation and love of the goddess solve the problem. There is an important message in primitive and ancient myth. We must restore desirabl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nature, between human and different all creation in a myth. Through woman mythical revival, we can appear in the society of the sympathy from the competition. I reflect on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wasted the earth, and hope that mind to make the human inside is restored through a myth.

      • KCI등재

        〈문전본풀이〉에서 집과 인간과 자연의 관계

        허남춘(Heo, Nam-Choon)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2

        〈문전본풀이〉는 신의 좌정 과정을 보여주지만, 그것은 집안의 인간의 관계를 말해 주고 있다. 첫째는 부자관계다. 문전신과 정낭신의 관계인데, 높은 위치에 있거나 슬기롭다고 하는 사람이 실제로는 어리석고, 낮은 곳에 있거나 어리석다고 여기는 사람이 오히려 슬기로움을 보여준다. 명분의 허실을 떠나 현명하고 용기 있는 사람이 집안의 수호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하게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낡은 질서가 물러나야 새로운 질서가 서고 그것이 사는 이치로 작용해야 함을 일깨운다. 둘째는 처첩갈등이다. 조왕신과 측간신의 관계에서 우리는 우선 둘이 반목하였으니 ‘부엌과 화장실은 멀수록 좋다’는 속담 속에 과학적 지식이 숨어 있음을 알아차린다. 그런데 거리를 두지만 집안 울타리 안에 공존한다. 싸우다가 화해하게 되는데, 화해가 싸움이고 싸움이 화해인 원리다. 적당한 선에서 타협할 줄 안다. 언제나 처첩 갈등과 화합은 공존하고 있다. 선악이 공존하듯이 갈등이 화합으로 귀결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생이 상극이고, 상극이 상생이 되게 한다. 그리고 똥이 다시 먹을 것이 되고, 측간의 것이 부엌으로 가는 순환의 질서를 우리는 주목하게 된다. 이 세상 모든 것이 이렇게 순환한다. 안과 밖, 인간과 자연, 먹는 것과 배설한 것이 연결되어 있고, 분별과 공존이 연결되어 있다. 인간의 몸이 자연물이 되었다가 다시 인간의 몸으로 돌아오게 되는 순환성을 주목하면 좋겠다. 시체화생의 창세적 모티브가 있는데, 모양이 비슷한 것이 생성되었다는 것은 유감주술적 사유의 흔적이라 하겠다. 셋째는 부부관계다. 조왕신과 정낭신의 관계에서 우리는 역할분담의 지혜를 얻게 된다. 먹는 것과 아이 양육의 중심인 어머니 조왕신은 집안을 책임진다. 대문 밖 올레를 통해 나가 만나게 되는 마을길은 이웃과 통하는데, 마을의 대소사를 논하고 공동체적 삶을 일구는 것은 아버지 정낭신이 책임진다. 안과 밖의 장소성에 기대어 역할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일깨운다. 〈문전본풀이〉는 집안의 인간관계를 설정하고 있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도 돌보고 있다. 신이 인간을 보살피는 신성한 공간을 설정하여 인간이 신성하게 살아가게 하고 있다. 인간이 자연의 일부가 된다고 보아 인간과 자연을 대등하게 설정하고 있다. 〈Munjeonbonpuri〉 shows the process of God’s enthralling in the house. It also tells about human relationships in the family. The first is father-son relations. This myth rather shows that he is actually foolish who is in a high position or who is said to be wise, and shows that he is wisdom who is in a low place or considered foolish. A wise and courageous man serves as the guardian of the family. This myth shows that the old order must be withdrawn to create a new order, and that the son God has the upper hand over the father God. The second is the conflict between a wife and a concubine. The kitchen god and the toilet god fight and kill each other. So they sit at a distance, but coexist inside the house fence. The two are reconciled in a fight. This is the principle that reconciliation is a fight and a fight is a reconciliation. The two know how to compromise on the right lines. Conflicts and harmony always coexist. Just as good and evil coexist, conflict returns to harmony. The excrement becomes food again, and we pay attention to the order of circulation in which the toilet’s thing goes into the kitchen. Everything in this world circulates like this. Inside and outside, humans and nature, food and excrement are connected, and sense and coexistence are connected. It would be nice to note the circulatory nature of the human body becoming a natural object and then returning to the human body. In this myth, there is a Genesis motif in which a corpse becomes everything. The third is a marital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tchen god and the gate god, we gain the wisdom of division of roles. The kitchen god, the mother who is the center of food and child rearing, is responsible for the family. The village road, which leads through the alley outside the gate, connects with the neighborhoo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god of the gate to discuss the affairs of the village and create a communal life. The division of roles i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Munjeonbonpuri〉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takes c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Because God takes care of man, a sacred space is created, and in this holy space man lives holy. This myth sets humans and nature on an equal footing because it sees humans as part of nature.

      • KCI등재

        설문대할망과 여성신화 -일본,중국 거인신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허남춘 ( Nam Choon He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3 탐라문화 Vol.0 No.42

        Seolmundaehalmang was in charge of a duty to form a country of the huge body. She was compared with Creation God who prepared for distance of the Heaven and the Earth. It may be said that all the nature separation and the country generation enter the group line of the Creation myth. Because the creation motif of the mountain and island were piled in the folktale which looked like topography legend, I was able to find a Creation mythical characteristic. So the article looked for the Creation mythical characteristic of the Seolmundaehalmang folktale in comparison with China and Japanese Creation myth. I compared it with Yeowa(女娃) and Muriuza(姆六甲) goddess, and clarified that was Seolmundaehalmang folktale equal with a Chinese goddess as a creation goddess. The folktale that the topography was settled for by excrement and the journey of the giant looks just like Japanese Daldaravochi(ダイダラボッチ). So I investigated with a Creation divine characteristic included in a giant motif through comparison with the giant folktale called Japanese Daldaravochi. However, I understood the process when such Creation God changed into by a change of the historic time. While the first, female oriented society turned into the male oriented society, I looked for the phenomenon that the woman hero was dead that he disappeared, and a male hero appeared. Second, woman Creation God meet a male spouse and come to have a dependent position. In other words, the duty of wife and mother underwent a complete change in emphasized one from independent Goddess. After third, huge God turning into giant God, and having turned into a giant, I was seen in God who resembled human being size by the phenomenon that dwarfness did more and more. Fourth, I was saw the phenomenon that God who was like a wild animal changed into in tender women. The myth shows a method to return to the paradise which I have forgotten. The myth will carry out us who were polluted with a material to the world of the mind that is purity. The myth lets you realize the world where nature and all things coexist with a human being and will have a clean soul. I will come to realize that it is switch time of Civilization to go into the world of the woman from the world of a man fighting.

      • KCI등재

        <삼공본풀이>의 운명과 문명, 그리고 공존

        허남춘 ( Heo Nam-choo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7

        <삼공본풀이>의 여주인공(가믄장아기)은 전생신이라 하는데, 불교의 전생과 뜻이 통하고, 운명과 연관된다. 사건 전개의 가장 큰 발단은 ‘누구 덕에 먹고 사냐’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에 대한 여주인공의 대답은 “자신의 음부 덕에 먹고 산다.”고 했다. 그 진의를 살피니 풍요의 여성성에 국한하지 않는다. 첫째, 자신의 능력으로 살고 있다고 당당하게 밝히는 여성으로서의 주체성이 있다. 둘째, 집에서 쫓겨나서도 운명에 굴복하지 않고, 새로운 삶을 찾는 진취성이 보인다. 셋째, 금을 발견하여 부를 얻는 지혜력이 보인다. 넷째, 자신을 쫓아낸 부모를 다시 만나 품어주는 포용력 등이 작용한다. 그래서 여주인공은 운명의 여신이 된다. 이 논문의 목차는 2장이 운명이고, 3장은 문명이고, 4장은 공존이다. 신화의 시대적 특성으로 살피면 중세, 고대, 원시의 역순으로 꾸며졌다. 스스로 운명을 개척하는 삶에 관한 것은 중세적 질서와 연관이 된다. 그리고 구근을 파서 먹는 삶에서 쌀밥을 먹는 삶으로 이동하고, 쇠를 중시하는 문명으로 이동하는 것은 고대국가 건설기의 질서와 연관된다. 마지막으로 배려와 공존의 삶은 원시공산사회의 질서와 연관된다. 2장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여주인공은 정해진 운명에 예속당하거나 수동적이지 않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운명을 바꾸어 나간다. 이것은 자신의 운명을 개척하는 자력신앙(⾃⼒信仰)이다. 우리 인생을 우리 스스로 바꿀 수 있다고 하는 메시지는 제주도 본풀이의 백미다. 3장은 여주인공의 행적이 고대문명의 전파과정이라고 보았다. 이것은 <삼성신화> 속 3여신과 같은 역할이라 하겠다. 고대문명의 요체는 농경과 비단과 염색과 철기 등이다. 여주인공의 행로에는 미개의 장소에 고대문명을 가지고 간 문화영웅으로서의 면모가 있다. 4장에서 다룬 삶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풀이의 첫 대목에서 동네사람들이 거지부부를 걷어 먹이는 장면이 있었다. 둘째 대목에서는 악인형 인물 일지라도 자신이 이 세상 천지자연의 도움으로 살고 있다고 고백하는 장면이 있었다. 마지막 대목에서는 주인공이 부자가 되어 거지잔치를 연다. 주인공은 가난한 사람을 구제하는 책무를 저버리지 않는다. 우리는 소외계층을 배려하는 인간 공존의 정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정신을 만나게 되었다. 지나친 경쟁과 사회적 양극화와 독식 구조의 현대사회가 다시 만나야 할 정신세계는 바로 ‘배려와 공존’의 가치일 것이다. 그래서 목차의 가장 뒤에 두고 그 의미를 강조하고자 했다. The heroine (GamunJangagi) of “Samgongbonpuri” is called Goddess of the previous life, which is related to the previous life of Buddhism and is related to fate. The biggest starting poi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cident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o makes you live by?” The heroine's answer to this was, “Thanks to her genitalia, she lives on.” Looking at its true intentions, it is not limited to the femininity of abundance. First, there was a subjectivity as a woman who proudly reveals that she was living in her ability. Second, even if she was kicked out of the house, she did not give in to fate and find a new life. Third, we could see her wisdom to find gold and gain wealth. Fourth, the ability to meet and embrace parents who expelled themselves again works. So the heroine becomes the goddess of fate. Subject of the Chapter 2 is fate, subject of the Chapter 3 is civilization, and subject of the Chapter 4 is coexistence.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of mythology, it was decorat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Middle Ages, Ancient Ages, and Primaries. When it comes to a life that pioneers fate by itself, it is related to the medieval order. And moving from a bulb-eating life to a rice-eating life and an iron-oriented civilization is related to the order of the ancient national construction period. Finally, the life of consideration and coexistence is related to the order of primitive communal society. The main contents of Chapter 2 are as follows. The heroine is not subordinate or passive to a set fate, but actively changes fate. This is a self-belief that pioneers one's destiny. The message that we can change our lives on our own is the highlight of Bonpuri in Jeju Island. In Chapter 3, I saw that the heroine's actions were the propagation process of ancient civilization. This is the same role as the three goddesses in “Samsung Myth.” The essence of ancient civilization is agriculture, silk, dyeing, and ironware. The heroine's path has an aspect as a cultural hero who brought ancient civilization to an unknown place. The contents of life covered in Chapter 4 are as follows. In the first part of Bonpuri, there was a scene where local people rolled up and fed the beggar couple. In the second part, there was a scene where even an evil person confessed that he was living with the help of heaven and nature in the world. In the last part, the heroine became rich and held a beggar party. The heroine did not abandon her responsibility to rescue the poor. We came to meet the spirit of human coexistence that cares for the underprivileged and the spirit of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In the modern society of excessive competition, social polarization, and monopoly structure, the mental world that must be met again will be the value of “consideration and coexistence.” So, I tried to emphasize the meaning of the table of contents at the back.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주도 본풀이의 원시,고대,중세 서사시적 특징과 변모

        허남춘 ( Heo Nam Ch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1 탐라문화 Vol.0 No.38

        신화에는 우주 자연현상과 인간 활동의 오랜 내력이 담겨 있다. 구석기·신석기 시대부터 생성되기 시작한 신화는 고대 건국시기 왕성한 창작을 보이다가 중세에는 많은 변형이 이루어진다. 중세 불교·유교 같은 이데올로기 때문이다. 근대에 와서 신화에 대한 오해와 비판은 심하다. 긴 시간을 관통한 신화 속에는 어떤 시대적 사유가 담겨 있는지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표다. 구석기시대에는 사냥과 전쟁과 섹스를 신성하게 여겼고 이것이 신화에 반영 된다. 그리고 돌·나무·달과 같은 자연을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고, 벼락·일식·폭풍 같은 자연현상을 두려워하며 이를 신성시했다. 제주에서는 바람의 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영등신도 그 부류다. 인간과 동물이 교감하던 신화도 많이 남겨져 있다. 그때 인간과 동물은 대등하거나 인간보다 더 지혜로운 존재였다. 동물은 사냥의 대상이기도 했지만, 숭배의 대상이기도 했다. 그래서 뼈를 숭배하는 이야기(사만이본풀이)가 다양하게 전승된다. 신석기시대에는 농업혁명이 있었다. 땅과 식물에 대해 신성성을 부여했고 인간과 땅의 교감을 믿었다. 씨앗과 꽃과 열매의 중요성이 다양한 이야기 속에 녹아들었다. 특히 제주에서는 꽃의 생명력을 강조하는 신화가 두드러진다. ``서천꽃밭``의 꽃에서 아이의 생명이 잉태되고, 그 꽃으로 죽은 이도 살리고 나쁜 인간을 죽이기도 한다. 제주에는 식물이 땅에서 솟아나는 형상을 본떠서, 인간도 땅에서 솟아난다는 신화가 풍부하다. 건국신화 주인공 3신인도 모흥혈이라는 땅에서 솟아났다. 거인 여성 설문대할망 설화는 애초에 신화였던 것이 풍화된 것으로, 지형형성 신화다. 고대는 영웅의 시대다. 처음에는 여성 영웅이 등장하고 다음엔 남성 영웅이 등장했다. 제주에는 여성 영웅 신화의 원형이 제대로 남아 있다. 중세 이념에 의해 크게 억압당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영향을 피할 수는 없었다. 그래서 불교를 받아들여 미륵이 기존 신을 대신하기도 했고, 유교의 영향으로 이야기가 윤리적 가치를 강하게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면에서는 승려를 비판하고 양반에 대한 증오를 드러낸다. 신성성을 드러내던 고대 영웅은 중세를 지나면서 윤리규범의 주도자가 되었고, 근대 이행기에는 로맨스적 성격의 주인공으로 바뀐다. 고전소설의 주인공과 매우 유사하다. 이처럼 신화는 이야기의 골격을 유지하되, 고대적·중세적 변이가 계속되어 왔다. 그 변이 현상을 읽어 내야 신화를 깊이 있게 이해할 것이다. There are many accounts of human lifes and natural phenomena and the great universe in myth. Myth was made from the paleolithic age, and vigorously made in ancient age. They variously transformed in the middle age because of the Buddhism and Confucian. There are abundant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about myth in modern time. It is my goal to find the each historical thought in myth going through long time. It was reflected on the myth that men thought sacredly hunting and war and sex in primitive age. And they were afraid of natural phenomena for example the thunder and a windstorm and a solar eclipse. The nature(stone, tree, moon etc) and natural phenomena were thought to sacred as time pass. There was important meaning on the God of wind in Jeju. Men communed with nature, and it was reflect in myth. They related on equal terms men and animals. They believed that animals were superior to men under any circumstances. Animals became an object of hunting, but sometime an object of worship. There was the revolution of agriculture in the neolithic age. Men certified sacred to the earth and plant, and they believed the communion in men with nature. Myth emphasizing life force of flower stood out in Jeju. There were abundant myth spring out from earth modeled after figure of spring plant. Three heros in the birth myth of a nation(Tamla) gushed out from earth. The ancient age is a period of hero. At first heroin appeared, next hero appeared. There remained the myth of heroin in Jeju, because that was not oppressed from ideology of the middle Age. But influence of ideology in the middle Age was not able to avoid. So folk beliefs changed to Maitreya after accepting the Buddhism. Myth exposed the value of ethics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 Hero of ethics got changed to hero of romance in the age of transition to modern. It was quiet similar to hero of the classical novel. Myth keep the structure of tail, but changed a view of the world like this.

      • KCI등재

        제주의 민속 문화와 마을 만들기

        허남춘(Nam Choon Heo),강소전(So Jeon Kang) 제주학회 2014 濟州島硏究 Vol.42 No.-

        이 논문은 제주의 민속 문화를 자원으로 하여 진정한 ‘마을 만들기’의 미래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제주의 마을 만들기 현황과 양상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제주의 민속 문화와 마을 만들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마을 만들기의 중요 자원으로서 민속 문화의 의미와 마을 만들기 과정에서 민속 문화가 드러내는 애로점도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속 문화는 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실행할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실제 민속 문화와 마을 만들기의 가능성과 그 진행과정에 대해서 시론적으로 서술해 보았다. 성공적인 마을 만들기에는 주민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을의 자원 가운데 민속 문화는 역동적인 소재이다. 그 역동성 속에서 사람들은 한 지역의 시간과 공간을 살아왔다. 역동적이기 때문에 공동체의 지식이 축적된 것이며, 그로 인해 공동체가 연대할 수 있었다. 민속 문화의 역동성은 양면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민속 문화를 발굴하고 가꾸어 가는 마을 만들기 과정을 거치며 공동체의 심성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애로점도 분명히 있다. 민속 문화를 마을 만들기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마을 주민들의 인내력과 합의가 중요하다. 민속 문화를 활용함으로써 경제효과 일변도의 마을 만들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민속 문화는 진정한 마을 만들기의 핵심요소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folk Culture of Jeju and Village Making (Maeul-mandeulgi). Main resource of Village Making is folk culture. First, this paper observed simply about folk Culture of Jeju and Village Making present condition and aspect. Then, we observed about relation of Village Making with Jeju s folk culture. Folk culture is important resource of Village Making and has all good meaning and difficult problems. Nevertheless, folk culture is a resources which make it possible to practice by village inhabitants. We described about possibility and process of Village Making with folk culture. We think that it is important that take advantage of resource which can do by inhabitants. This is way that Village Making succeeds. Folk culture among resource of the village is dynamic. To use folk culture in resource of Village Making, endurance and agreement of village inhabitants are important. Folk culture is essential element of Village Making.

      • KCI등재

        서귀본향당본풀이의 특징과 의의

        허남춘 ( Nam Choon Heo ) 한국고전문학회 2016 古典文學硏究 Vol.49 No.-

        제주에는 아름다운 경관만큼 아름다운 신화가 전해오고 있다. 오래 전에 만들어져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전승되어 온 까닭이다. 농사를 짓던 것보다 오랜 수렵채취의 인간 생활에 대한 이야기가 노래로 전해 온다. 사냥을 위해 신을 섬기던 시기의 구비서사시가 남아 전해지고 있다. 신앙서사시라 할 당본풀이 중에서 < 서귀본향당본풀이 >에는 바람의 신이자 사냥의 신이 등장하고 사냥꾼 김봉태가 신앙민으로 맺어지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알타미라 동굴벽화처럼 사냥과 인간의 소망이 담겨 있어, 최초 신화의 탄생과정을 떠올리게 한다. < 서귀본향당본풀이 >에는 ‘천지개벽’ 화소가 등장한다. 태초에 어둠이었다가 하늘의 닭이 울어 세상이 조금씩 밝아졌다는 이야기처럼 어둠을 밝히는 화소가 담겨 있다. < 천지왕본풀이 >의 것보다 더 원초적인 모습의 천지개벽이라 생각된다. 고산국이나 지산국이란 인격신이 어둠을 밝혔다고 하니 자연히 어둠에서 밝아졌다고 하는 비인격신적 전개보다 앞선 형태일 것으로 보인다. 뿡개질(무릿매)과 활을 쏘아 살 곳을 정하였다는 화소는 탐라국 건국신화의 3신인이 활을 쏘아 살 곳을 정하였다는 것과 같다. 활을 쏘아 사냥하던 3신인이 3여신을 만나 정주하게 된 것처럼 고산국과 지산국도 정주하는 쪽으로 바뀌어 간 것으로 보인다. 인간의 모심을 받게 된 신의 형상이 매우 정교하고 상세하면서도 우아함과 화려함을 지녀, 신앙민들이 신을 우러르는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신의 모습이 아름답게 꾸며진 것 속에서 신화의 아름다움을 한껏 느낄 수 있고, 종교와 문학의 상호성을 다시 실감하게 한다. There is beautiful scenery and a beautiful myth in Jeju. Myth was made very before, but was handed down continuously without disappearing in Jeju. It is a story for the life of hunting and the collection to be old than farming. Such a story tells with a song(Oral Epic). It is something like miracle that Oral Epic associating with God of the hunting is left. < Myth of Seogyi Shrine > is Oral Epic of the faith. There is the story about God of wind and God of hunting and the hunter. Human wish about hunting in this myth is accepted like Altamira cave wall Picture. So it is the figure of myth that the first human beginning was born. I see a motif of ‘beginning of the world’ in < Myth of Seogyi Shrine >. There is the story that it was darkness, and the world became slightly bright in a beginning of the world. It is thought with a genesis-like figure more than < Cheonjiwang Myth(천지왕본풀이) >. There is a personified god clarified darkness. Therefore it seems to be the form that advanced earlier than non-personified god. The Motifs of Sling and archery are like the founding of Tamla(耽羅) country myth. The main characters(3God in Tamla Myth) decided the place after hitting the bow, and they settled down. The three hunting Gods came to settle down after having met 3 goddesses. Also this main characters in Myth of Seogyi Shrine turned into settling down their life. The shape of God in this myth is very precise and detailed and elegant and splendid. I understand a heart to admire that a citizen of faith wears. In a figure of beautiful and noble God, I come to realize reciprocality of religion and literature ag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