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상동사의 의미와 관련성 이론

        허광미,이상철 한국현대언어학회 2017 언어연구 Vol.33 No.3

        This paper suggests that each modal verb has a single meaning. Proposing a monosemy view implies that modals have core meanings and a theory of pragmatics is required in order to give an explanation of how they get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the various contexts in which they occur. This paper adopts the relevance theory and explains which process causes a new relevant meaning from the core meaning. The two different views about the meaning of modal verbs are also examined: polysemy and Sweetser(1989)’s views. After introducing the basic claims and assumptions of thes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y are not appropriate for modal verbs since they don’t present any solutions to some related problem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Modality: Relevance Theory versus Possible World Theory in Semantics

        허광미 미래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 Vol.27 No.4

        Language users use symbolic language expressions to communicate, and the meaning of sentences delivered is analyzed through correspondence with entities that exist in the real world. However, speakers do not always try to communicate based on the one world they belong to, and through a grammatical system called modality, they can communicate not only about the real world but also about the various possible worlds that exist. This means that statements about situations other than facts, i.e., hypothetical situations or states, can be expressed using modality, and the meaning of sentences can be analyzed through a concept of semantics as a possible world, and also through relevance theory in pragma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modal verbs through each of the two theories. First, the meaning of modal verbs is divided into necessity and possibility through existing research on modality. This analysis follows a definition of the core meaning of each modal verb through relevance theory, and evokes derivative meaning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occurrence. Possible world semantics, on the other hand, logically explains the various meanings of modal verbs by generating the real world and countless possible worlds through close connectivity using formal logical language of semantic representations from a polysemous perspective.

      • KCI등재

        관련성 이론에 의한 Will/Would의 양상성 분석

        허광미,이상철 국제언어문학회 2018 國際言語文學 Vol.- No.41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utterance is mostly made through contextual inference. Sperber and Wilson (1986/1995), through the cognitive principle of relevance theory, have explained that 'human cognition tends to be geared to the maximization of relevance’.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relevance' is the communicative principle, which grasps the explicit and the implied meaning.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the process of inference through relevance theory.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some examples in which Will is derived in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various context. Will is used as a representative future tense expression, but it is also a modal verb that conveys the subjective or psychological attitude of various speakers through the attribute of this 'future'. After all,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the proper meaning of modal verb in utterance meaning inference. This paper is composed as follows. After the introduction, chapter 2 explains the concept of modality and introduces the previous studies of the meaning of Will. In Chapter 3, Sperber & Wilson’s principles of relevance theory and the inference process are also examined. Next, Chapter 4 shows the examples of the meaning derivation of Will and Would in relevance theory, and this study concludes in Chapter 5.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화의미의 해석은 맥락을 통한 추론을 통해서 대부분 이루어진다. 이러한 추론과정은 학습이 아닌 자연스러운 인간의 인지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대해 Sperber & Wilson(1986/1995)은 관련성 이론(Relevance theory)의 ‘인지적 원리’에서 ‘인간의 인지작용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관련성을 최대화하는 방식으로 움직인다’라고 제시한다. 즉 ‘관련성(relevance)’이라는 개념이 발화된 명시적 내용과 그 안에 함축된 내용을 파악하는 ‘의사소통적 원리’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관련성 이론과 관련성 이론을 통한 발화의미추론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will, would가 각 맥락에서 다양한 발화맥락의미로 파생되는 예들을 살펴보겠다. Will은 대표적인 미래시제표현으로 사용되지만, 이 ‘미래’의 속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화자의 주관적 또는 심리적 태도를 전달하는 양상 동사이기도 하다. 양상 동사의 ‘다의성’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미의 모호성 혹은 중의성을 만드는데, 맥락에 의한 추론과정에서 최적의 관련성을 찾는 인지작용으로 인해 해소된다. 관련성 이론을 통한 이러한 의미미결정문제의 해결 과정을 다의어인 will, would의 의미분석을 통해서 보려고 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서론 이후에 2장에서는 양상성의 개념을 설명하고, will, would의 의미와 관련된 학자들의 선행연구를 소개한다. 3장에서는 Sperber&Wilson의 관련성 이론의 중요한 개념과 원리를 설명한 후 추론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will, would가 다양한 의미로 파생되는 예들을 살펴본 후 5장에서 결론으로 마무리 짓는다.

      • KCI등재

        관련성 이론에 의한 ‘Will’과 ‘Be going to’의 화용적 의미 분석: 핵심 의미와 화자 의미의 차이를 중심으로

        허광미 한국현대언어학회 2022 언어연구 Vol.38 No.2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peaker meaning inference process that occurs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s explained using Sperber & Wilson's relevance theory, one of the influential pragmatic theories. This process is revealed by examining the context that includes the representative future expressions will and be going to. In order to properly explain this process, this paper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of future expressions in Englis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nings of will and be going to, and the basic working principle of the theory of relevance. Finally, through the theory of relevance, by analyzing the context in which these two expressions are used, we will suggest the core and speaker meanings of will and be going to through the natural cognitive process of humans that enables appropriate communication. 인간의 의사소통은 언어라는 기호를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부호화된 문장의 의미는 실제 화자가 청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명제를 불분명하게 남겨놓는 경우가 많다. 모호성과 중의성 그리고 화자의 실제 의도 등은 의사소통을 저해하는 요소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의사소통과정에서 언어적 부호의 해석뿐만 아니라 언외 외적인 분석도 자연스럽게 하게 된다. 그렇다면, 이러한 언어 외적인 분석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이 과정은 실제 세계의 지식을 바탕으로 문맥이나 추론과 같은 화용론적인 요소들이 개입하게 된다. 본 논문은 언어 외적인 화자 의미(speaker-meaing) 파악 과정을 영향력 있는 화용론 이론들 중의 하나인 Sperber & Wilson의 관련성 이론(relevance theory)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 의미 추론 과정은 대표적 미래 표현인 will과 be going to의 쓰임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밝혀질 것이다. Will과 be going to는 미래 시간을 표현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교차사용이 가능하지만 때로는 분명히 구별해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이 쓰임의 구분은 인간의 인지 시스템이 관련성을 최대화하려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는 현재 상황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함축과 추론 과정을 통해 적절한 의사소틍을 가능케하는 것이다. 서론 이후에 2장에서는 Will과 Be going to의 선행연구와 관련성 이론의 작용 원리를 이론적 배경으로 제공할 것이며, 이후 3장에서는 위 두 미래 표현이 사용된 문장과 맥락을 소개하고 관련성 이론을 통한 화용적 의미 분석 과정을 통해 두 미래 표현의 핵심 의미와 화자 의미의 차이를 설명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