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선별도구 ‘K-ASQ (한국형 Ages and Stage Questionnaires)’의 유아 연령 재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

        허계형 ( Heo¸ Kay-heoung ),임희수 ( Lim¸ Hee-soo ),송서영 ( Song¸ Seo-young ),손병덕 ( Sohn¸ Byoung-du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2006년 한국형으로 표준화된 K-ASQ(한국형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의 재표준화 필요 시점에서 실시한 예비연구로서, 연구의 목적은 K-ASQ 재표준화를 위한 타당도, 신뢰도, 유용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 및 경기지역 만 3-5세 유아 1,198명과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관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타당도를 파악하였으며, 절선 구축을 통해 변별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대부분의 유아연령지에서 양호한 수준의 내적신뢰도가 나타났다. 셋째, K-ASQ의 효용과 가치에 대한 부모 응답 결과, 선별도구로서의 적절한 유용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 따라 K-ASQ의 재표준화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K-ASQ for preliminary research on the re-standardization of the K-ASQ, standardized for the Korean population in 2006. Data was analyzed on 1,198 children aged 3-5 years and their par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ion,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and discriminability by constructing cutoffs. Second, a good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confirmed in most preschool age intervals. Third, the results of parental responses to the utility of K-ASQ also suggest that it is useful as a screening tool. As a result of this preliminary study, the possibility of K-ASQ re-standardization could be predicted. Lastly, the summary of the study, discussion of results,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우수등재

        Early Identification of 2 - and 3 - Year - Old Children for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 A Preliminary Study of the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s : Social - Emotional ( ASQ : SE )

        Kay Heoung Heo(허계형) 한국아동학회 2000 아동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 논문은 영 유아를 대상으로 한 사회 정서 문제의 선별 평가서인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Social-Emotional (ASQ:SE)의 표준화(신뢰도 및 타당도)연구이다. 특히, ASQ:SE 질문지 가운데에서도 24개월과 36개월용을 이용하여 ASQ:SE 의 내적 일치도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재검사 신뢰도 (test-retest reliability), 절선 점수 (cutoff points), 공인 타당도 (concurrent validity)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체 447명의 부모가 참여한 가운데, 237명은 24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고, 210명은 36개월용 질문지를 작성했다. 내적 일치도는 24개월 질문지에서 .71, 36개월 질문지에서는 .73이었다. 재검사 신뢰도는 24 개월 질문지에서 100%, 36개월 질문지에서 97%이었다. 마지막으로 공인 타당도는 24개월과 36개월 설문지에서 97%이었다. 끝으로, 추후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될 것이 추천되며 또한 이 연구에서 제외되어졌던 연령의 ASQ:SE 질문지의 내적 일치도, 신뢰도 및 타당도가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유아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및 문제행동 관련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유형 인식

        허계형(Heo, Kay-He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 및 문제행동 관련 변인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유형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국공립 및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21명이 인터넷 온라인 및 지면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가 유아의 내재화 행동 문제보다 외현화 및 학습 관련 사회적 기술 문제행동 유형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배경에서, 중소도시나 읍면동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에 비하여 대도시 지역 교사들이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고, 고학력 교사들이나 특수학급 포함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문제행동지원 준비도가 높은 교사들이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 인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문제행동을 인식하고 중재하는 체계적인 유아교사지원 역량 개발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n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eacher’s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variables related to challenging behaviors. A total of 321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cross the country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using on-line and paper surveys. Findings first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externalizing behaviors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 type behaviors higher than internalizing behaviors. Second, in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metropolitan areas perceived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al type higher than those working in suburban areas. And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 or teacher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perceived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 type higher than other teachers. Third, teachers who perceived themselves to be well prepared for challenging behaviors had scored children’s internalized behavior type to be higher than others. This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systematic strategies to train teachers to be perceptive and be able to mediate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Stud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dditionally discussed.

      • KCI등재

        아동의 주관적 방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학업성적 수준에 대한 방임인식 및 학업성취가치 인식의 조절효과 탐색

        손병덕 ( Byoungduk Sohn ),허계형 ( Kay Heoung Heo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2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CYPS)”의 제5차 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아동의 주관적 방임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소와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주관적 방임인식 및 학업성취가치 인식인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려고 하였다. KCYPS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 총 2,110명을 분석한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 가정의 경제적 자원과 어머니의 근로참여가 아동의 방임인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한 모든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아동의 방임인식이 학업성취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조절효과를 가졌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방임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취가치인식이 학업성취 수준을 조절하는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들을 기반으로 가족 내 자원부족과 방임을 발견하고 지원하며 학업성취가치 인식을 고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현바앙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 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socio·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on child neglect, and controling effects of neglect and academic achievement value on academic achievement, using 5th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ubject, 2,110 elementary 5th graders are as follows: First, familial economic capital and parental labor participation positively affected child neglect. Second, 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child neglect has controling effects on acdemic achivements, althought selected socio-demograpic factors were controled. Third, academic achivement values have further controning effects on acdemic achivements, as selected socio-demograpic factors and child neglect were controled. Based on these anlysis results, further policy suggestions and pratice implications for improving children with high risks of neglect and low levels of familial capital and academic achievement value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원인에 대한 모의 인식 특성과 문제행동 지도방법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장애·비 장애유아 모의 비교

        송서영 ( Song Seo Young ),허계형 ( Heo Kay Heoung ),손병덕 ( Sohn Byoung Du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4 No.-

        본 연구는 장애 및 비 장애유아의 모가 인식하는 문제행동 유형, 원인, 지도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유아의 문제행동 유형, 원인이 지도방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만 2세부터 취학 전 자녀를 둔 비 장애유아 모 100명과 장애유아 모 76명, 총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문제행동 유형에서 내재화 문제행동과 사회적 활동의 기피요인이 대상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문제행동의 원인에서는 유아의 행동과 특성 요인에서 대상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문제행동 지도방법에서는 가정에서의 지원환경 구축과 사회정서 전략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비 장애유아는 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모의 최종학력과 유아의 특성 요인이, 장애유아는 모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월 가계소득과 유아의 기타 요인이 문제행동을 지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제안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ypes, causes and instructional methods of challenging behaviors perceiv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n it was also to determine influencing factors of mothers`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mothers` perceptions of types and causes of young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rs on using instructional methods perceived by the mothers. The subjects were 176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from two to six including 100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76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on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and avoidance of social activities for the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s. Second, on the cause of challenging behaviors, areas on children`s behaviors and natur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ird, on instructional method of challenging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reas of establishing supportive environment and social and emotional strategies. Lastly, for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children`s nature area as cause of challenging behaviors significantly affected instructional methods. For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mily`s income and others area as cause of challenging behaviors affected instructional methods. Developing practical applic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 실행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최민숙 ( Choi Min Sook ),허계형 ( Heo Kay Heoung )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2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20년간 국내에서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들이 정의한 PICOS 내용에 따라 20편의 문헌이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증진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Hedges’s g)는 랜덤효과모형을 적용하여 0.98의 큰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중재방법과 종속변인에서는 범주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주었다. 조절변인 효과에서는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유아연령, 집단규모에서는 범주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재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환경내 유아의 또래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실행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요인을 검토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icacy of a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in inclusive educational settings. Employ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he research focuses on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dex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over the past two decades. Following the criteria outlined in the researchers’ PICOS framework, a total of 20 articles were meticulously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for comprehensive scrutiny. The findings of the study unveil a noteworthy overall effect size (Hedges’s g) of 0.98, indicative of a substantial positive impact of the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ithin the realm of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Subgroup analysis accent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ubstantial effect sizes, particularly concerning intervention methods and dependent variables. While statistical disparities are not discerned in moderator effects such as children’s age and group size pertaining to the promotion of peer relationships, a notable statistical divergence comes to light with regard to intervention duration. In view of these findings, the study advocates for an exploration of factors capable of optimizing the implementation of peer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in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s, concurrently providing pragmatic insights for pract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